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하수법」상 지하수 오염방지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A Study on Problems and Improvement of Groundwater Pollution Prevention System in “Groundwater Act”)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19.04
39P 미리보기
「지하수법」상 지하수 오염방지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환경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환경법연구 / 41권 / 1호 / 37 ~ 75페이지
    · 저자명 : 박종준

    초록

    수량과 수질의 통일적 관리와 지속가능한 물관리 체계의 구축을 위하여 국토교통부의 수자원 보전・이용 및 개발 기능이 환경부로 이관되어, 기존의 분산되었던 물관리 체계가 일정 부분 일원화됨에 따라, ‘지하수의 적절한 개발・이용’과 ‘지하수의 효율적인 보전・관리’에 관한 사항을 정하고 있는 「지하수법」은 이전과는 다른 패러다임의 전환을 요구받고 있다. 특히 이러한 차원에서 「지하수법」에서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지하수 오염방지 제도는 기존의 법적 문제를 해소하고 새로운 정책적 환경에 부응하기 위한 제도개선방향의 모색이 필요한 상황이다. 「지하수법」 제16조부터 제16조의4까지의 조항에서 지하수의 수질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규제의 법적 근거로 적용되고 있는 지하수 오염방지 제도는 첫째, 대상, 요건, 조치사항 등에 있어서 규율이 불명확하며, 둘째, 「지하수법」내의 관련 규정 간의 관계, 「지하수법」과 관련 하위법령 간의 관계 및 「토양환경보전법」과의 관계에 있어서 연계성이 부족하고, 마지막으로 행정주체 간 효율적인 역할 배분의 미흡, 기초지방자치단체에 주로 집중된 권한, 실질적 법적 수단의 미비 등으로 인한 규율의 실효성 부족 등을 주요한 문제점으로 꼽을 수 있다. 지하수 오염방지 제도의 개선을 위해서는 첫째 우선적으로 지하수 오염방지 제도를 중심으로 주요 관련 용어 개념을 명확하게 정립하여야 하며, 둘째 「지하수법」내에서 지하수 오염방지와 관련된 규율의 비중을 확대하되 지하수 수량 관리 체계와의 합리적인 관계설정을 위한 조정이 필요하다. 셋째, 지하수와 토양 간의 밀접한 연관성을 고려하여 「토양환경보전법」과의 법적 연계성을 강화하여야 하고, 마지막으로 지하수 오염방지라는 정책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전략적 규제체계가 「지하수법」에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연관 제도 간의 유기적인 연계를 뒷받침하는 법제개선이 필요하다. 물관리 일원화라는 큰 틀에서의 제도 변화를 계기로 하여 지하수 오염방지 제도도 중장기 차원에서의 법제개선 노력을 지속적으로 전개해 나가야 한다.

    영어초록

    In order to build an integrated and sustainable management system for water quality and water quality, the authority on water resources of the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has been transferred to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 existing decentralized water management system has become unified. Accordingly, the “Groundwater Act”, which stipulates matters relating to the proper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groundwater and the efficient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groundwater, requires a new paradigm shift. In particular, the groundwater pollution prevention system, which occupies a low portion in the “Groundwater Act”. needs to find ways to improve the system in order to solve the existing legal problems and to respond to the new policy environment. The groundwater pollution prevention system is based on Article 16 through Article 16-4 of the “Groundwater Act”. The first problem with the groundwater pollution prevention system is that the regulations on the objects, requirements, and measures are unclear. Second, there is a lack of connectivity in relation to the regulation itself, the sub-regulations, and “Soil Environmental Conservation Act”. The last problem is the lack of effectiveness of regulations, which is due to the inefficiency of role allocation among administrative agencies and the lack of practical legal means. In order to improve the groundwater pollution prevent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clearly establish the concept of the key terms related to the groundwater pollution prevention system.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proportion of regulations related to the prevention of groundwater pollution within the “Groundwater Act”, and to make a reasonable adjustment to the ground water management system. Third, considering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groundwater and soil, the legal connection with “Soil Environmental Conservation Act” should be strengthened. Finall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legal system to support the strategic regulatory system to effectively achieve the policy objective of preventing groundwater pollution. As a result of the unification of water management, the groundwater pollution prevention system should be continuously developed in the long ter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환경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