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국 FTC의 아마존에 대한 반독점소송의 쟁점과 시사점 (Issues and Implications of the U.S. FTC's Antitrust Lawsuit Against Amazon)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25.04
39P 미리보기
미국 FTC의 아마존에 대한 반독점소송의 쟁점과 시사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경제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제법연구 / 24권 / 1호 / 139 ~ 177페이지
    · 저자명 : 나지원

    초록

    본 연구는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가 아마존을 상대로 제기한 반독점 소송의 개요와 주요 쟁점들을 상세히 소개한다. 이 소송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미국의 ‘신브랜다이즈 운동’(New Brandeis Movement)과 리나 칸(Lina M. Khan)의 Amazon's Antitrust Paradox라는 논문에서의 문제의식도 함께 살펴본다. 미국 FTC는 소장에서 아마존은 온라인 슈퍼스토어 및 마켓플레이스 서비스 시장에서 시장지배력을 갖춘 대표적 플랫폼 사업자로서, 자사 소매와 제3자 셀러를 연결하는 플랫폼 구조를 기반으로 전자상거래 분야에서 독점적 지위를 구축해 왔으며, 이러한 지위에서 입점 판매자 가격 인하를 억제하고, 자체 물류서비스(FBA)를 강제하며, 구매상자(Buy Box) 알고리즘을 자사 상품에 유리하게 조작하고, 가격 책정 알고리즘(Project Nessie)을 통해 경쟁사의 가격결정까지 왜곡하는 등의 행위를 통해 소비자 후생 저하, 시장 혁신 저해, 경쟁사 진입 차단 등 시장 경쟁을 제한하였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법원은 2024년 9월 중간 결정에서 FTC의 주요 주장(셔먼법 및 FTC법 위반)에 대하여 본안 심리를 이어가기로 판단한 바 있다. 이 소송에는 플랫폼의 구조적 특성에 대한 기존 법 집행의 미비, 기존 주류이론인 소비자 후생 기준의 한계를 비판한 리나 칸의 문제의식이 상당 부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향후 이 소송에서 미국의 법원이 디지털 플랫폼의 특성을 얼마나 고려하려 전통적 반독점법이 금지하는 행위 유형과는 상이한 상호 연관된 아마존의 행위들의 위법성을 인정할지 여부가 주목된다. 이 사건은 현행 반독점법 집행을 통해 아마존으로 대표되는 빅테크의 반경쟁적 행태를 적절히 규율할 수 있는지에 관한 의문에 답하는 중요한 시험대가 될 것이다. 아울러 미국의 아마존에 대한 반독점소송과 함께 유럽연합(EU), 독일, 영국, 일본 등 주요 각국의 전자상거래 시장의 현황과 경쟁당국의 지배적 플랫폼에 대한 대응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우리의 전자상거래 분야 지배적 플랫폼에 대한 규율과 관련된 시사점을 추가로 도출해 보았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provides a detailed overview of the antitrust lawsuit filed by the US Federal Trade Commission (FTC) against Amazon. It also examines the New Brandeis Movement in the US, which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lawsuit, and the issues raised in Lina M. Khan’s paper, Amazon's Antitrust Paradox. In its complaint, the FTC stated that Amazon is a representative platform with market power in the online superstore and marketplace services market, and has established a monopoly in the e-commerce sector based on its platform that connects its retail business with third-party sellers. In this position, it has suppressed price reductions by sellers. It claims that it has restricted market competition by forcing its own logistics service (FBA), manipulating the Buy Box algorithm in favor of its own products, and distorting the pricing of competitors through the pricing algorithm (Project Nessie). In response, the court decided to continue the hearing of the main claims of the FTC (violation of the Sherman Act and the FTC Act) in its interim decision in September 2024. This case appears to reflect a significant portion of Lina Khan's concerns about the inadequacy of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platforms and the limitations of consumer welfare standards in antitrust enforcement. It will be interesting to see how much consideration will be given to the nature of digital platforms in this lawsuit and whether it will lead to a change in the law regarding the illegality of interrelated acts that do not fall under the types of acts prohibited by traditional antitrust laws. This case will be an important test of whether current antitrust enforcement can adequately regulate the anticompetitive behavior of big tech companies represented by Amazon. This paper aims to derive implications related to the direction of regulation of dominant platforms in the Korean e-commerce sector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current state of e-commerce markets in major countries such as the EU, Germany, the UK, and Japan, along with the antitrust lawsuit against Amazon in the United Stat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제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