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국 共同不法行爲責任(多數當事者責任)의 시사점 (The Implications of Joint and Several Liability for Korean Tort Law)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15.02
22P 미리보기
미국 共同不法行爲責任(多數當事者責任)의 시사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재산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재산법연구 / 31권 / 4호 / 85 ~ 106페이지
    · 저자명 : 가정준

    초록

    본 논문은 ‘공동불법행위책임’이 불법행위책임법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며 실제로 잠재적 가해자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법경제학적 측면에서 기술하고, 미국 불법행위법에서 ‘공동불법행위책임’의 역사적 배경 및 현재의 위치에 대해 검토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오늘날 미국의 ‘不眞正共同責任’과 민법상 ‘부진정연대책임’에 대해 서술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내용을 종합한 결론을 맺었다. 궁극적으로 ‘부진정공동책임’에 관련한 쟁점은 다수의 불법행위 가해자들이 피해자 손해에 대해 그 책임을 어떻게 부담하느냐 이다. 피해자의 과실 부분이 있다면 이를 제외한 나머지를 가해자들이 모두 연대하여 ‘공동책임(joint liability)’을 부담하느냐, 연대를 인정하지 않고 ‘개별책임(several liability)’을 부담하느냐, 아니면 그 절충안으로 ‘공동책임(joint liability)’을 지는 경우와 ‘개별책임(several liability)’을 지는 경우를 분별하느냐이다. 특히 ‘다수당사자책임’ 중 ‘부진정공동책임’은 가해자와 피해자의 과실을 전제로 자신의 과실 부분과 다른 당사자의 과실 부분을 어떻게 책임을 부담하느냐이다. ‘공동책임’이라는 요건에 충족되면 불법행위 가해자의 과실 부분의 크기에 관계 없이 전체 가해자의 책임을 부담함으로써 ‘공동책임’은 피해자를 좀 더 확실히 구제받을 수 있는 역할을 한다. ‘공동책임’은 피해자의 손해를 전보시켜야 한다는 원칙에 충실하기 위해서 가해자들이 경우에 따라서는 자신들의 행위 이상의 책임을 부담시키게 한다. 현재 미국의 ‘공동불법행위책임’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모습으로 다수의 가해자에게 책임을 분배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연구는 우리 법제에 다양한 잠재적 法源을 제공할 기회라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It is not easy to explain joint and several liability in American torts in the sense of Korean tort law. The joint and several liability includes two opposite liability; joint liability and several liability. Korean Civil Code 760 may be compared with joint liability. Korean Civil Code 760 section (1) and (3) provides what the act of several tortfeasors in concert is and how they are liable for that. Restatement (Third) of Torts describes that several tortfeasors act in concert if (i) they have committed tortious conduct under a common design, (ii) they knows that the other's conduct constitutes a breach of duty and gives substantial assistance or encouragement to the other, or (iii) one gives substantial assistance to the other in accomplishing a tortious result and his own conduct, separately considered, constitutes a breach of duty to the third person. They are jointly liable for what they or one of them has committed.








    The City appeals from a judgment determining the City to be liable for the 1% causal negligence of a school crossing guard. The parents of a six-year-old boy who was killed in a car accident at an intersection supervised by a City crossing guard. They commenced a wrongful death action against the City instead of an uninsured driver who failed to apply the brakes. The parties stipulated that the driver was causally negligent as a matter of law. The jury found the City 1% causally negligent. It means that the City is jointly and severally liable for all damages to the victim although its negligence is 1%. The appeal was denied.








    The efforts for Tort Reform occurred to reduce tort litigation or damages in the U.S. Its try was not successful at the Federal level because Congress overrode a veto by President Clinton in 1995 but a quite successful at the State level. In particular, the common law rule of joint and several liability was replaced with different rules under the most legislative success. Of the forty-six states that had a joint and several liability rule, thirty-three states have abolished or limited the rule.








    For examples, some states have purely kept joint and several liability for independent tortfeasors while a few states have abolished joint and several liability for independent tortfeasors but establishes several liability for them. A certain number of states have created hybrid liability based on threshold percentage of comparative responsibility. Only tortfeasors who are assigned a certain percentage of comparative responsibility determined by the statute are jointly and severally liable for the indivisible harm.








    In Korea, it is likely that joint liability by multiple tortfeasors has easily been recognized to protect the injured. In my opinion, this trend is considered positive because Korea is necessary for ‘Tort Reform’ to increase the scope of tort liability and the amount of damages. It is necessary to easily to recognize the joint liability for plaintiffs. In the tortious context of Korea, it makes more likely to cure the injustice among tortfeasors, to internalize externalities. That is why supreme court has made that decisions. However, supreme court needs to develop good reasonings for these decisions. It is the time to compare other legal system and learn how to deal with multiple independent tortfeasors for individual harm although the U.S. has tried to decrease the scope of the joint liabi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재산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