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국 의사소유병원의 성장과 규제의 시사점 (The Growth and Regulation of Physician-Owned Hospitals in the United State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24.10
32P 미리보기
미국 의사소유병원의 성장과 규제의 시사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공법연구 / 53권 / 1호 / 583 ~ 614페이지
    · 저자명 : 최혁용

    초록

    우리나라에서 비의료인과 영리법인은 의료기관을 개설할 수 없다. 미국의 ‘상업적 의료행위 금지의 원칙(Corporate Practice of Medicine Doctrine)’ 역시 의사가 아닌 자, 즉 비의료인과 영리법인(unlicensed individuals and entities)의 의료기관 소유를 금지하였다. 다만 미국은 의료의 상업성과 독점의 가능성이 충돌하는 상황에서 독점 금지의 가치를 보다 높게 판단했다. 지금 미국은 영리병원이 의료공급의 한 축을 형성하고 있다.
    의사소유병원(Physician-Owned Hospitals)은 영리병원의 한 형태로, 의사의 자가의뢰(self-referral)를 금지하는 규제가 강화되던 시기에, 전체병원에 대한 예외(whole hospital exception)가 인정되면서 급성장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의사소유병원은 이해충돌, 과잉진료 등의 문제와 함께 영리적 행태로 인해 여러 가지 논란을 야기하였다. 이에 미국 정부는 ‘환자보호 및 적정의료법(Patient Protection and Affordable Care Act, 오바마케어)’ 에 따라 의사소유병원의 신규 개설을 금지하고, 이들을 공공보험 시스템에서 제외하는 조치를 취하였고 이후 의사소유병원의 수는 크게 감소하였다.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전체 의료기관의 92%가 개인의료기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처럼 우리나라에서 금지된 영리병원이 미국에서는 중요한 의료공급 체계의 일부를 구성하는 한편, 미국의 공공보험 체계에서 배제된 의사소유병원이 우리나라에서는 개인의료기관 형태로 의료공급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의료기관을 통한 영리추구는 의료인의 독점적 권리로 자리 잡았다. 특히 우리나라의 개인의료기관은 높은 경제적 유인, 의료전달체계의 부재, 과잉경쟁, 비급여 진료 확대 및 행위량 증가로 인해 강한 영리성을 나타내고 있다. 미국에서 상업적 의료행위 금지 원칙이 약화되고 의사소유병원의 이해충돌 및 영리적 행태가 규제 대상이 된 상황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에서 의료인에게만 의료기관 개설권을 부여하는 현 체제와 개인의료기관 운영에 대한 규제 부족 문제는 재검토가 필요하다.

    영어초록

    In Korea, non-medical personnel and for-profit corporations are prohibited from establishing medical institutions. Similarly, the U.S. adheres to the Corporate Practice of Medicine Doctrine, which restricts the ownership of medical institutions to licensed medical professionals and prohibits non-medical individuals and for-profit corporations from owning such institutions. However, when the commercialization of healthcare intersects with concerns over monopolization and anticompetitive practices, the U.S. has placed a stronger emphasis on preventing monopolization and promoting competition. As a result, for-profit hospitals have become a significant part of the healthcare system in the U.S.
    Physician-owned hospitals, a subset of for-profit hospitals, expanded rapidly due to exceptions made to regulations aimed at prohibiting doctors from referring patients to facilities they own. However, this growth raised issues related to conflicts of interest and anticompetitive conduct, such as over-treatment driven by profit motives. In response, the U.S. government implemented measures to restrict the establishment of new physician-owned hospitals and excluded them from Medicare and Medicaid. Strict regulations under the Patient Protection and Affordable Care Act (commonly known as “Obamacare”) have significantly reduced the number of physician-owned hospitals.
    In contrast, 92% of all medical institutions in Korea are physician-owned. While for-profit hospitals are banned, physician-owned medical institutions dominate Korea’s healthcare system. In Korea, the right to profit from operating medical institutions is exclusively reserved for medical professionals. These physician-owned institutions display high levels of profitability, driven by strong economic incentives, the absence of a structured healthcare delivery system, excessive competition, the expansion of non-covered services, and an increase in the volume of services provided.
    Considering the situation in the U.S., where the Corporate Practice of Medicine Doctrine has been largely symbolic and where anticompetitive practices and conflicts of interest in physician-owned hospitals have become subject to regulation, it is necessary to reassess Korea’s current system. In Korea, the system grants a monopoly on establishing medical institutions to medical professionals but lacks sufficient regulation on the operation of these physician-owned institutions, raising potential concerns about unfair methods of competi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