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찰수사에 있어서 정신감정절차의 개선점 (Improvement of Police Investigation in the process of the Mental Disability Evaluation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07.11
31P 미리보기
경찰수사에 있어서 정신감정절차의 개선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경찰학논총 / 2권 / 2호 / 51 ~ 81페이지
    · 저자명 : 황정익

    초록

    우리 사회는 정신장애를 가진 자를 대하는 태도나 사회 내 처우 자체가 전통적으로 편협한 면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신장애자들이 범한 범죄행위에 대해서는 더욱 무관심으로 일관하였다. 형법ㆍ형사소송법과 같은 기본법에서 조차 이들에 대한 규정은 현대 정신의학의 발전성과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채 제정 후 반세기 전의 규정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는 실정이다. 정신장애자의 범죄행위는 정신장애라는 정신의학적 영역과 범죄행위라는 규범적 영역이 서로 다른 가치관과 인간관을 가진 채 충돌하고 있는 분야이다. 양 영역에 종사하는 전문가들의 상호 이해와 양보만이 그들을 적절하게 보호하거나 치료할 수 있음은 너무나 당연한 지적이라 하겠다.
    그러한 과정에서 무엇보다도 책임무능력자의 범죄행위를 처음으로 처리할 경찰수사에 있어서 이들을 합리적으로 처리할 매뉴얼을 마련하는 것은 가장 시급한 문제라 하겠다. 예를 들어, 일선 경찰서에 정신장애자로 의심이 가는 피의자에 대해 정신감정을 의뢰할 적절한 예산이 마련되어 있는지부터 반성해야 할 것이다. 정신감정과 관련된 그 동안의 많은 연구 성과는 주로 정신감정과 형사재판 사이의 상호 영향과 치료감호법상의 치료감호제도에 집중되어 왔다. 그러나 정신감정은 피의자에서 수용자에 이르기까지 대상이 되고 있으나 그 절차상의 문제점, 특히 정신감정절차에 있어서 경찰의 역할에 대해서는 무관심으로 일관하였다.
    법원이나 검찰은 피고인, 피의자에 대한 정신감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형사소송법에 따라 병원이나 그 밖의 적절한 장소에 피고인 등을 유치하는데, 문제는 그러한 병원 등을 관할하는 경찰서에 무조건적으로 피고인 등의 호송이나 감호를 명령하고 있다는 점이다. 경찰 입장에서는 직접 수사를 담당했던 사건의 피의자나 피고인도 아닌데 오로지 정신병원 등이 자신의 관할에 있다는 이유로 피감정인에 대한 감호상의 책임을 진다는 규정은 타당성이 없다고 하겠다. 이는 해당 경찰서의 치안여건을 전혀 고려하지 않는 사법행정상의 편의만을 위한 조항으로 개정의 여지가 있다. 더불어 형사정책상 정신장애 의심자에 대한 적절한 처우를 비전문가인 경찰이 맡는 것도 비합리적이라 하겠다.
    따라서 수용자나 피고인 등의 호송이나 감호에 전문성을 가진 특별사법경찰관리인 교도관이 이러한 업무를 수행하는 것이 보다 합리적이라 보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사법경찰관리의직무를행할자와그직무범위에관한법률’의 일부 조항을 개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전국의 국공립 정신병원에 근무하는 정신보건전문요원인 정신보건임상심리사ㆍ정신보건간호원ㆍ정신보건사회복지사 등을 특별사법경찰관리로 임용하여 정신장애자에 대한 감정절차의 일체를 담당케 하는 것도 대안으로 고려할 여지가 있다. 결국 최근 우리 사회의 인권신장에 대한 높은 관심과 함께 그 동안 소외되었던 정신장애자에 대한 사법처리 과정에서의 보다 합리적인 제도의 마련은 시급한 형편이라 하겠다.

    영어초록

    Nowadays a great attention has been concentrated to the offenders presumably committed by the mentally disordered or the psychopath people who did criminal acts proved as results from the mental illness. but the articles of the criminal law and criminal process law which had related the mental illness offenders are not reflected the results of the modern professional opinions and psychiatric opinions.
    When the offense's criminal abilities are doubted in the process of the criminal trials, the judges did not completely follow and agree to the psychiatric opinions. The differences which exist between the psychiatric and judges are generated from the view of the crime and life. So the authors have to persist that it is need the more making the concession to the psychiatric opinions.
    The most importan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oint out the articles which were prescribed the process of the offender's mental disability evaluation in the criminal process law § 172 & 221.(3). Base on the criminal process law, the role of police investigator is just limited to send the defendants under guard, when the judges decided to send the defendants to the mental hospital for the psychiatric testing. It is also same when the public prosecutor need to test the suspect's mental illness. The policeman who have to guard the suspector or the defendants did not investigated the crimes that were acted the mental illness defendants, but they have to be compelled to guard the suspector or the defendants during about the thirty days till the end the test in the mental hospital.
    In the view of police administration and criminology, the role of police in the process of the mental disability evaluation is not suitable. So the article of the criminal process law have to be chang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