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의 의미 및 시사점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 of the Asian Infrastructure Investment Bank)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15.06
20P 미리보기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의 의미 및 시사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사회과학연구 / 22권 / 2호 / 55 ~ 74페이지
    · 저자명 : 이성량

    초록

    이 논문은 중국 주도로 설립되는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출범의 의미와 함께 그 시사점을 논의한다. 경제적 부상으로 중국은 세계 제1위의 국내총생산 국가가 되었으며 아시아 지역에서 미국 다음으로 중요한 국가로 부각되고 있다. 더욱이 중국이 기존의 미국 주도 국제금융기구에서 중국의 높아진 위상만큼 발언권이 없는 것에 대하여 이의 제기를 해왔던 시점에서, AIIB의 출발은 중국이 미국과 같이 G2 체제로 새로운 국제질서를 이끌어가는 서막으로 볼 수 있다. 미국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영국, 독일, 프랑스, 한국 등 미국의 전통적 우방국들을 포함하여 총 57개국이 AIIB의 창립에 참여한다는 것은 중국으로서는 매우 고무적인 일이며 확실한 성공이라고 볼 수 있다.
    AIIB가 아시아 지역 국가들의 인프라 투자 지원을 확충하고 세계은행이나 아시아개발은행 같은 기존의 다자개발은행(MDB)들을 보완하며 투명하게 운영되고 아시아 지역의 발전과 세계평화에 공헌한다면 AIIB는 대성공을 이룰 것이고 세계주도국으로서의 중국의 지위는 미국과 더불어 더욱 높아질 것이다. 반면 AIIB가 중국 중심으로 운영되고 중국이 아시아 지역에서 영향력을 독점하려는 목적으로 운영된다면 아시아 및 세계의 국가들은 중국이 선언한 아시아 지역의 발전과 세계평화에 대한 진정성을 의심하게 될 것이고, 오히려 미국이 주장하는 아시아 지역에서의 ‘중국견제론’이 더 큰 탄력을 받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중국이 미래 국제사회에서 미국과 더불어 G2 역할을 꿈꾼다면 중국은 독단적 방식이 아니라 다른 창립국가들과 상호논의와 협력을 통해서 AIIB를 이끌어가야 한다.
    한국은 정치·외교·안보적인 차원에서 AIIB에 접근하지 말고 경제적 시각에 중점을 두고 접근해야 한다. 한국에게 매우 중요한 경제 파트너로서 또한 향후 남북통일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국가로서 중국과의 관계를 긴밀하게 하고 한중협력을 확대하는 것은 필요하나, 이러한 한중협력의 확대가 한미동맹을 조금이라도 약화시키는 계기가 되어서는 안 된다. AIIB는 아시아 지역의 인프라 투자수요를 충족하기 위하여 설립된 기구인 만큼, 한국 정부는 건설과 엔지니어링 부문에서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많은 한국 기업들이 AIIB의 본격 활동으로 전개될 무궁한 인프라 시장의 잠재력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significance and the implication of China’s newly established Asian Infrastructure Investment Bank (AIIB). The establishment of AIIB is to fill the funding gap of the capital needs in the region for infrastructure build. As of 2014, China has become the largest economy in the world and has emerged second only to the United States. China’s desire to have more of a voice in Multilateral Development Banks (MNB) in correlation to China’s rising influences in the world has not been met by the majority of MNB’s shareholder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In spite of U.S. objection, close allies including Great Britain, Germany, France, and Korea have declared to join AIIB and now total fifty seven countries. China is proud and euphoric about the successful launching of the AIIB.
    The Asian Infrastructure Investment Bank can be successful if the AIIB operates with transparency and complement the offerings of MNBs such as the Asian Development Bank (ADB) and the World Bank (WB). The success of AIIB will firmly establish China’s status as the new superpower in the world order of finance along side the U.S. for years to come. However, if China tries to use AIIB to foster its power in the region, the sincerity of China’s claim that the AIIB is for Asia’s infrastructure needs will be questioned and U.S. policy of “Containment of China” will ring more true to other countries in Asia. Thus, China should lead AIIB in collaboration with other members through consensus building and cooperation.
    Korea’s approach to AIIB should be for economic reasons and not for diplomatic, political and security reasons. As an important partner in economic cooperation and unification of Korea,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is imperative. The growing importance of Korea-Chinese relationship through AIIB should not be a hindrance to Korea-US alliance. Korea should work with AIIB for economic purpose, to enhance and improve the economy. The government of Korea should focus on helping world class Korean companies to benefit from anticipated boom in the infrastructure marke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