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방송 저작권 관련 국제규범의 현황과 시사점 (A Study on International Broadcast Copyright Law)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14.06
49P 미리보기
방송 저작권 관련 국제규범의 현황과 시사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총 / 38권 / 2호 / 361 ~ 409페이지
    · 저자명 : 손경한, 박진아

    초록

    원래 방송은 국내적(local)이었다. 방송전파는 원칙적으로 특정국내에서만 수신되고 방송 언어는 특정국어를 사용하여 왔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국제적 방송저작권 문제라고 해 보아야 전파월경(spill over) 문제나 외국 방송저작물의 수입․ 방송 정도에 그쳤다. 그러나 오늘 날에 와서는 방송은 국제화 되었을 뿐 아니라 세계화, 글로벌화 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한국의 드라마나 다큐멘터리 등 방송프로그램이 해외 시장에서 인기 있는 품목의 하나가 되고 심지어는 한국의 방송 포맷이 외국에 판매되고 있다. 방송프로그램 제작을 위한 해외로케나 외국과의 공동제작도 빈번해졌다. 외국에 시나리오의 작성을 의뢰하거나 외국의 드라마를 리메이크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물론 그 반대의 경우는 말할 것도 없다.
    인터넷의 등장과 방송의 디지털화는 더욱 많은 국제적인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방송은 방송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인터넷 전송을 포함한 공중송신으로 확대되어 가고 있다. 이제는 방송이 거의 실시간에 인터넷을 통하여 국제적으로 전송되는 시대가 되었다. 정보화의 진전으로 가속화되고 있는 방송의 글로벌화는 다른 한편 방송저작권의 침해의 글로벌화를 가져오고있다. 드라마의 불법 다운로드나 스트리밍 서비스는 일상화 되고 외국의 전파 가로채기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외국의 음악저작물도 불법적으로 방송에 사용되는 경우가 부지기수이다.
    또한 방송⋅통신기술혁신의 가속화로 인한 다매체 다채널 시대의 도래, 유비쿼터스화의 진전, 이용자 요구의 다양화, 개인에 의한 콘텐츠 창작 및송신 등 방송산업을 둘러싼 환경이 극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큰변화는 방송과 통신의 융합으로 통신이 방송을 점령하는 상황으로까지 발전하고 있다는 것이며 이에 따라 방송 개념이 확장되고, 더 나아가 방송 개념이 공중전달에 포섭되어 글로벌화 하는 상황으로 나아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작권제도는 아직도 국내적(local)이다. 저작권은 속지주의의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저작권의 국제적 나아가 세계적인 보호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아래에서 살펴볼 국제규범 중 대표적인 베른협약도 속지주의를 기반으로 내국민 대우와 최소보호기준을 정하고 있을 뿐이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저작권에 관한 국제규범이 발전하고 있으나 족탈불급의 느낌을 금할 수 없다. 또한 아래에서 살펴보는 바와 같이 방송저작물에 특유한 저작권 문제를 별도로 다루어야 할 현실적 필요가 있음에도 종래 영상저작물에 관한 논의만 있었을 뿐 방송저작물의 보호에 관한 국내외적 논의가 거의 없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이러한 방송 저작권에 적용되는 국제 규범의 현황을 살펴보고 그 규범이 방송의 개념 확대와 방송 저작물의 저작자 및 방송사업자의 권리 확대에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고찰한 다음 그 국제규범의개선방향과 우리 저작권 제도의 개선을 위한 과제를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고는 먼저 방송 저작권 관련 국제규범의 발전(II)과 방송의 개념에 관한 국제규범의 동향(III)을 살펴본 후, 방송 저작권 관련 국제규범의 동향(IV)을 검토하고 이를 기초로 방송 저작권 관련 국제규범이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V)의 순서로 살펴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Traditionally broadcast has been national because it was transmitted to a national audience or a particular linguistic area. However, these days cross-border broadcasting has become common via satellite and internet. Also, astechnologies converging broadcast and communication have been rapidly developed, broadcast works as well as other audiovisual works also have been transmitted over different flatforms and networks, whether via traditional broadcasting (terrestrial, cable and satellite) or via the internet and may be delivered to any one through a number of devices such as TV(includinginternet-enabled TV), PC, games console and/or mobile media devices. To enhance the chances of their business under these new situations, the makers of broadcast works are increasingly developing new business models to activate multi-use of the works.
    To enable our copyright system to meet with the rapidly-changing present circumstances surrounding broadcasting industry as stated above, this paper tried to provide an overview on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international norms appliable to broadcast copyright and examine the role of the current international legal regime which is responsible for expanding the definition of broadcast and for enlarging the rights of the authors and the broadcast makers. Furthermore, This paper tried to reduce certain ideas for legislative improvements of the Korean copyright law with regard to broadcast works in line with the corresponding international norms. For this purpose, firstly the authors address history of international norms on broadcast copyright(II) and current situation of the international norms on the concept of broadcasting(III). Then, the authors discuss current situation of the international norms regarding copyright protection for broadcast works(IV). Finally, the authors propose certain items to improve the Korean copyright law on broadcast works in consideration of the recent developments in the international copyright law on broadcasting(V).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