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화점 휴게공간의 실내환경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Rest Spaces in Department Stores)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15.12
10P 미리보기
백화점 휴게공간의 실내환경특성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4권 / 6호 / 3 ~ 12페이지
    · 저자명 : 허한, 어성신, 황연숙

    초록

    사람들의 소득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백화점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의 소비행태나 니즈에도 많은 변화가 계속 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로 백화점은 유통기능뿐만 아니라 문화적, 사회적 기능까지 지니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소비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와 생활정보 등을 제공한다. 백화점은 상품판매 목적의 매장시설 외에도 각종 서비스 시설 및 편의시설을 설치함으로써 다양해지고 있는 소비자들의 니즈를 만족시키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이 중 백화점 휴게공간은 다른 공간 못지않게 소비자의 니즈와 상품구매를 위한 중요한 공간으로 작용한다. 백화점 내 휴게공간은 백화점을 이용하는 소비자가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백화점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기존의 백화점 휴게공간과 관련된 연구들을 살펴보면, 백화점 휴게공간의 개선, 이용경험, VMD 요소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되어져 왔으나 백화점 휴게공간의 실내환경특성을 다룬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으로는 백화점 내 휴게공간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휴게공간의 유형 및 환경특성을 파악하였고, 백화점 휴게공간의 환경특성을 도출하여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였다. 체크리스트를 바탕으로 현장조사를 통해 백화점 휴게공간에 대한 공간별 환경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범위로는 서울시에 위치하고 있는 백화점의 휴게공간 중 출입구, 통로 옆, 에스컬레이터 옆, 엘리베이터 홀, 여자 화장실 파우더 룸으로 제한하였으며 백화점 휴게공간의 환경특성을 도출하기 위해 ‘백화점’, ‘복합 상업공간’, ‘휴게공간’을 키워드로 선정하여 선행연구 총 9편을 바탕으로 휴게공간의 5가지 환경특성 요인을 추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백화점 휴게공간의 특성을 살펴보고, 조사대상 백화점 실내 휴게공간에 나타난 실내 환경특성을 분석하여 휴게공간 계획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영어초록

    Recently, the spatial design of resting spaces in department stores has been changed. The design elements such as colors, materials, lighting, natural elements, furniture arrangement, and VMD are not only providing a pleasant and natural indoor atmosphere in resting spaces but also providing various services to customers. In this study, it aims to analyze how the spatial design characteristics of resting spaces in department stores are appear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resting spaces in department sores came up as five factors; accessibility, recognition, comfort, convenience, and esthetics. As the result, the accessibility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resting spaces. Second, the resting spaces was well located near by the elevators and escalators providing easy accessibility to customers to floor. Third, the resting spaces need to improve the spatial design for emphasizing the recognitions by using colors, materials and lighting. Fourth, the resting spaces were provided different atmosphere by their location. Fifth, the various forms of furniture, curved, zigzagged, and cubed, were placed in the resting spaces for comport use. Sixth, the aesthetic was the least important factor of all. To improve this problem, the resting spaces need to provide cultural contents by installing art pieces, moving picture facilities, and VMD. Seven, most of the resting spaces had similar floor plan type that they did not perform their role successfully. The resting spaces need to provide both individual rooms and unique open spaces for giving a choice to use when customers visit th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