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국 다문화교육의 패러다임 변화와 시사점 고찰 (A Study on the Paradigm Shift and Implica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20.06
25P 미리보기
미국 다문화교육의 패러다임 변화와 시사점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교육문화연구 / 26권 / 3호 / 611 ~ 635페이지
    · 저자명 : 손영화, 김영순

    초록

    미국 다문화교육의 목표는 모든 학생이 학교에서 균등성의 원칙하에 다양성 존중을 위한 협동과 책임감을 기르는데 있다. 미국에서 다문화교육의 태동은 시민권운동은 물론 지속적인 이민의 증가에 기인했으며, 공교육기관으로서학교가 다문화교육을 실천하는 데 중요한 사회기관으로 역할을 하였다. 또한, 학교는 다양한 사회집단이 그들만의단체를 형성하도록 장려하고, 다양한 학습자들간 성취 격차를 좁히고, 연대, 팀워크, 도덕성을 증진시키는 데 도움이되는 참여활동과 프로그램을 실시해 왔다. 그러므로 학교는 다문화교육을 통해 다른 문화, 사회계층, 민족 및 인종집단의학생 및 학습자들을 위한 동등한 교육기회를 제공하는 데 기여해 왔다.
    미국 다문화교육의 발전과정 및 역사적 전개를 살펴볼 때, 사회 구성원 모두 사회적 소수자를 이해하고 상호 이해를바탕으로 동등한 구성원으로서 미래지향적으로 함께 발전을 도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듯 미국 다문화교육의가장 큰 시사점으로는 다문화교육이 정주민-다수자가 사회적 소수자를 이해하고, 상호 이해를 바탕으로 사회의 동등한구성원으로서 지속가능한 다문화 사회 발전에 기여한다는 점이다. 특히 미국의 다문화 역사를 통하여 우리나라의주류문화로 다문화를 동화시키는 동화주의는 바람직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주민의 문화를 다양한 문화의 하나로서인정하고, 그럼으로써 이주 배경 학생들이 우리 사회의 동등한 자격 있는 시민으로서 성장하고 제 몫을 할 수 있도록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문화교육 담당 교사의 선발과 학교평가 등과 관련한 제도적인 면에서는 학교 간 서열을 내세우는엄중한 학교 및 교사평가보다는 큰 교육목표 아래에 협업을 통한 다문화교육이 보다 큰 성과가 있었다는 미국 교육행정의역사 역시 우리에게 시사점이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e concept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too broad. It is important to make all students active participants in society through multi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has been developed through civil rights movements and sustained immigration. The primary goal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to establish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especially for students and learners of different cultures, social classes, ethnic and racial groups. It contains principles to help both students/learners and teachers, so it is one of the slowest ways to improve teaching. The benefi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re to reduce the number of dropouts among minority students, and to reduce the number of ignorance, fear, and personal isolation among such students.
    Looking at the development proc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U.S., it seems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should be done on the premise that social strong and social weak understand each other, and seek future-oriented development of the country as equal members of Korea based on mutual understanding. In particular, we can see that assimilationism, which assimilates multiculturalism into the mainstream culture of Korea, is not desirable through the history of multiculturalism in the United States.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multiculturalism as one of the diverse cultures, so that multicultural students can grow up as citizens with equal qualifications in Korean society and play a role as a full-fledged member of society. In addition, the history of U.S. educational administration, which says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has achieved greater results through collaboration than strict schools and teachers' evaluations, will be helpful for u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