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국과 미국의 AI 규제 정책과 시사점 (Comparison of AI Regulation Policies in the UK and the U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24.08
39P 미리보기
영국과 미국의 AI 규제 정책과 시사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아법학 / 104호 / 1 ~ 39페이지
    · 저자명 : 손은지

    초록

    영국과 미국은 그 역사적 밀접성에도 불구하고, 양국의 발전 과정에서 나타난 정치, 경제, 문화적 특성이 각국의 규범체계 형성에 영향을 주면서 독자적인 AI 규제 정책 및 체계를 수립해 나가고 있다. 먼저 영국은 자국의 AI 기술 발전과 혁신 촉진 및 국제사회에서의 리더십을 강조하는 유연한 규제 정책하에 ‘원칙과 결과 중심’의 기관별 AI 규제 체계를 정립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친기업적’이고, ‘친혁신적’인 규제 원칙을 제시하는 동시에 국제사회의 강력하고 포괄적인 AI 규제 강화 움직임을 견제하기 위한 ‘양자간-다자간’의 AI 규제 협력체계를 구축한다. 한편, 미국은 2023년 10월, 바이든 대통령의 행정명령 발효 이후, 지금까지의 ‘친성장’ 중심의 AI 자율규제 정책에서 벗어나 AI 규제 강화 움직임을 보이기 시작하였다. 즉 연방과 주의 분권적 법체계에 기반한 이원적인 AI 규제 체계를 형성하고 있는 미국은 그동안 의회 제정 법률을 통한 AI 규제 정책을 펼치고 있는 주 정부와 달리, 연방정부는 주로 연성적이고 자율적인 AI 규제 정책을 채택해 왔다. 그러나 AI로 인한 다양한 규범적․윤리적 문제들이 발생하고, 이에 대응한 규제 필요성이 사회 각계에서 제기됨에 따라 연방정부는 행정명령 및 관련 AI 규제 조치를 시행하는 등 기존의 AI 규제 정책에 대한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특히 엄격한 삼권분립 하의 미국의 행정명령이 순수 행정적인 목적에서 벗어나 의회 입법과 동등한 지위를 가지는 사실상의 입법 장치로 변모하고 있는 미국의 상황에서 행정부의 이러한 조치는 EU의 ‘AI법’과 함께 국제사회에 적잖은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영국과 미국의 AI 규제 정책은 국제사회 전반이 겪고 있는 일종의 ‘적응규제(Adaptive regulation)’ 패러다임 속에서 자국의 규제 원칙과 목표, 그리고 규범체계에 따라 수립․시행되고 있다. 다만, 양국 모두 AI 기술의 안전성과 지속가능성, 그리고 혁신이라는 AI 규제 원칙에 근거하여 자국 내 질서 유지, 국제사회에서의 기술경쟁력과 규제 선도력 강화를 위한 전략적 접근을 취한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그리고 이러한 양국의 AI 규제 정책은 향후 이어질 국가 간 AI 규제 협력체계 구축에 앞서 규제 예측을 위한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우리의 규제 대응 방안을 모색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Despite their historical closeness, the UK and the US have developed distinct AI regulatory policies, influenced by their unique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These policies have shaped their respective regulatory frameworks.




    The UK emphasizes a flexible regulatory policy that promotes the advancement and innovation of AI technology, aiming to assert leadership on the international stage. The UK has established an agency-specific AI regulatory framework based on principles and outcomes, advocating for pro-business and pro-innovation regulatory principles. Concurrently, the UK seeks to counter the growing trend towards stringent and comprehensive AI regulations globally by building bilateral and multilateral AI regulatory cooperation frameworks.




    In contrast, following President Biden's executive order in October 2023, the US is showing signs of moving away from its previously growth-centric self-regulatory AI policy. The US has a dual AI regulatory framework based on its federal and state decentralized legal systems. While state governments have implemented AI regulatory policies through legislative measures, the federal government has mainly adopted soft and voluntary AI regulatory policies. However, with the emergence of various normative and ethical issues related to AI and the corresponding regulatory needs raised by various sectors of society, the federal government has begun to demonstrate a strong commitment to AI regulation through executive orders. This shift is particularly significant given that, under the strict separation of powers in the US, executive orders are evolving into de facto legislative tools with equivalent status to congressional legislation.




    Both the UK and US AI regulatory policies are framed within a broader “adaptive regulation” paradigm experienc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Despite being developed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regulatory principles, goals, and normative systems, both countries' AI regulatory policies revolve around specific principles. These principles focus on the safety, sustainability, and innovation of AI technology. Through these policies, the UK and the US aim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ir AI technology and maintain regulatory leadership in the international arena. Research on these regulatory policies is crucial as they provide essential foundational data for predicting the future development of inter-country cooperation framework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