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블로흐와 루카치, 사상과 예술론의 일치점과 차이점 – 유토피아, 총체성 그리고 자연주체를 중심으로 (Konsens und Divergenz bei Ernst Bloch und Georg Lukács - In Bezug auf Utopie, Totalität und Natursubjekt)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17.03
19P 미리보기
블로흐와 루카치, 사상과 예술론의 일치점과 차이점 – 유토피아, 총체성 그리고 자연주체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어독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독어독문학 / 58권 / 1호 / 107 ~ 125페이지
    · 저자명 : 박설호

    초록

    본고는 1910년대 중엽의 블로흐와 루카치 사이의 사상과 예술론의 공통성 그리고 1918년 이후 그들의 사상적 예술적 관점의 이질성을 구명하려고 한다. 물론 그들이 마르크스주의를 지지했고, “자유의 나라”를 비유적으로 말해 “거짓 없는 아름다움, 환시 없는 믿음 그리고 안개 없는 비밀”로 인지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블로흐가 수미일관 현실 변화의 촉매로서의 유토피아의 개념에서 자신의 사상적 촉수를 찾으려고 했다면, 루카치는 마르크스레닌주의에서 사상과 예술의 핵심을 찾으려 했고, 예술 작품, 특히 장편소설 속에 반영된 총체성 속에서 바람직한 현실의 구체적 범례를 도출하려 했다. 나아가 루카치가 자연을 주체의 관점에서 일방통행 식으로 고찰할 수 있는 대상 내지 객체로 이해한 반면, 블로흐는 자연과 주체의 상호 관계를 물질 이론의 관건으로 규정하였다.

    영어초록

    Die vorliegende Arbeit beabsichtigt, von der Analyse der ästhetischen Werke von Georg Lukács und Ernst Bloch ausgehend eine Vielzahl von Gemeinsamkeiten und Differenzen beider Kunstauffassungen zu verdeutlichen. Während Lukács aufgrund der Relevanz der marxistischen Praxis das ganze Gedankengebäude der vorangegangenen bürgerlichen (Natur)philosophie außer Acht ließ, nahm Ernst Bloch die christliche Lehre, Hegels Dialektik, Naturrecht sowie die Theorie der Materie allesamt in Rücksicht, geschweige denn der marxistischen Philosopie. In den Augen von Lukács schienen die fast uferlosen wissenschaftlichen Bemühungen bei Ernst Bloch allzu ausgeweitet und irrelevant. Lukács kanzelte beispielsweise Blochs Begierde nach der Materie bzw. dem Natursubjekt im Hinblick auf die politischen Unruhen in den Ostblockländern als sinnlos und überflüssig ab. Die wesentlichen Merkmale der Diverganz bei beiden Philosophen zeichnen sich im Grunde darin ab: Während Lukács die Entwicklung von Mensch, Gesellschaft und Geschichte apostrophierte, so ist Bloch seinem von der Utopie ausgehenden Gedanken über das (Natur)Subjekt nachgegangen. Tendenz und Latenz der Utopie würden sich nach Bloch wechselseitig auswirken und gekreuzt auf die Vermenschlichung der Natur und Vernaturierung des Menschen hinzielen. Der Materialismus bei Marx entgehe –so Bloch- keineswegs der traditionellen Linie von Materie und Materialismus. Dabei betont Bloch, dass dem”Reich der Freiheit“, das im Kapital von Marx noch punktuell angedeutet wurde, von vornherein Wechselwirkungen von der Entwicklung von Mensch und Natur immanent waren. So ist es nicht verwunderlich, dass sich das Natursubjekt bei Bloch im Grunde als Kehrseite der menschlichen Perspektive erwei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독어독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