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면세점 휴게공간의 실내 공간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Interior Space Characteristics of Consumer Rest Space in Duty Free Shops)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19.12
12P 미리보기
면세점 휴게공간의 실내 공간 특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4권 / 7호 / 509 ~ 520페이지
    · 저자명 : 유단경, 문자영, 황연숙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소비자의 수요가 다양해짐에 따라 면세점 판매 공간의 기능에 대한 관심보다 고객들의 휴게공간에 대한 관심이 더 많아지고 있다. 휴게공간은 사람들이 쇼핑 활동을 하면서 잠시 휴식을 취하는 장소로, 실내공간의 수준을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휴게공간의 실내디자인, 편리성, 쾌적성 등은 고객들에게 면세점 전체 이미지에 대한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지금까지 면세점에 관한 연구 중 대부분의 논문은 면세점 판매 공간에 대한 연구에 치중하고 있으며, 실내 휴게 공간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면세점 실내 휴게공간의 공간특성에 대해 분석하고, 면세점 휴게공간의 배치 및 공간특성을 파악하여 앞으로 새롭게 출현할 면세점 휴게공간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 및 범위) 본 연구의 범위는 서울에 위치한 6곳의 면세점 휴게공간을 대상으로 실내공간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먼저 이론적 고찰을 통해 면세점과 휴게공간의 개념과 구성 등을 분석하였다. 그 후 휴게공간의 특성에 대한 분석의 틀을 마련하기 위한 선행연구를 진행하였다. 최종적으로 사례조사 대상에 대해 분석 요소로 도출된 편리성, 접근성, 인지성. 쾌적성의 표현특성에 따라 면세점 휴게공간의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사례별 비교 분석을 통한 최종적인 결론을 도출하였다. (결과) 조사대상의 공간특성은 두 개 사례를 제외하고 대부분 사례에서 엘리베이터 옆에 휴게공간이 설치되어 있었으며 접근성, 인지성, 쾌적성, 편리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문 휴게공간은 모든 사례에서 설치되어 있었으며 편리성, 쾌적성, 인지성, 접근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즉, 휴게공간은 엘리베이터 위치에 따른 쇼핑공간과 접근이 용이하도록 계획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전문 휴게공간은 다양한 편의시설 및 가구배치 등을 통해 다양성과 선택성을 제공함으로써 편의를 높여주고, 공간의 구획을 통한 소음의 차단, 자연채광의 유입 등으로 쾌적성을 높였다. (결론) 6곳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면세점 휴게공간 특성 중 인지성과 쾌적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은 편리성이었으며, 접근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대부분 사례의 휴게공간은 다양한 조명과 가구 배치 등의 색채, 마감재 등 사용을 통해 다른 공간과 명확하게 구분하였으며, 휴게공간은 조절 장치를 통해 온도, 통풍, 환기 등을 양호하게 조절하였고, 자연채광과 인공조명을 사용하여 공간의 쾌적성을 제공하였다. 휴게공간은 쇼핑공간과의 접근성도 중요하며, 동시에 이용자들에게 휴게공간에서의 프라이버시의 확보도 함께 계획되어야 한다. 또한 휴게공간을 인지하기 쉽도록 하는 안내도나 사인이 명확히 설치 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구의 개수, 다양성을 두어 사람들이 불편함 없이 이용할 수 있고, 다양한 고객들의 편의성을 고려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With the diversification of consumer demand, people have paid more attention to the rest space than the function of the duty-free sales space. The rest space is a place where people rest during shopping space activities. The convenience and comfort of the space and the layout design directly affect people's satisfaction with the overall image of the duty-free store. So far, most documents for duty-free stores focus on the sales space of the duty-free store and the external floor space of the build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interior resting space of duty free shops,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on the new duty free rest spaces by grasping the layout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duty free shop resting space.(Method)The scop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six duty-free shops in Seoul. As for the research method, space characteristics for case analysis were deducted through the contemplation of precedent studies on the concept of space composition of rest spaces in duty free shops. Convenience, accessibility, awareness and comfort, which were deducted as analysis elements of rest spaces, were analyzed for each case and final conclusion was deducte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Results)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ed subjects were located next to the elevators of all surveyed subjects except two cases were in order of accessibility, cognition, comfort and convenience. In all cases, professional rest spaces were installed, followed by convenience, comfort, cognition and accessibility. In other words, rest spaces are often planned to be easily accessible to shopping spaces according to the elevator location, and specialized rest spaces increase convenience by providing diversity and selectivity through various amenities and furniture arrangements, and partitioning of spaces. (Conclusions)As a result of analyzing 6 cases, cognition and comfort were the highest among rest space characteristics, followed by convenience and lowest accessibility. In most cases, the resting space is clearly distinguished from other spaces through the use of various lighting and furniture arrangements, colors, and finishes. The resting space is well controlled by temperature control, ventilation, and ventilation through the control device. In the rest space, access to the shopping area is important, and at the same time, the privacy of the resting space should be planned for the users. 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install a guide map or a sign that makes it easy to recognize the resting space, and it is necessary for people to use without inconvenience due to the number and variety of furniture, and to consider the convenience of various custom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