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리점법의 문제점과 향후 과제 (The Problem and Task of The Distributorship Agreement Fair Trade Practices Act)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16.05
27P 미리보기
대리점법의 문제점과 향후 과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57권 / 2호 / 171 ~ 197페이지
    · 저자명 : 김용중, 이황

    초록

    대리점 거래관계에서의 불공정거래행위가 사회적으로 크게 문제되고 이에 대한 규제필요성이 제기되면서 2015년 대리점법이 제정되었다. 2013년 소위 ‘남양유업 사태’로 촉발된 대리점법은 입법과정에서는 많은 갑론을박 끝에 제정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이러한 단행법의 제정 필요성 및 규제 실효성에 대한 회의적인 의견들이 제기되고 있으며, 법적 체계성이나 공정거래법 및 기존 거래공정화에 관한 법률들과의 정합성 측면에서 불완전한 요소들을 내포하고 있다.
    비교법적 측면에서도 외국의 경우 대부분 이러한 대리점거래를 일반적으로 규율하는 입법례는 없는 것으로 보이며, 입법례가 있는 국가의 경우에도 특정 산업에 대해서 제한적으로 운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규제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도 경쟁법을 통해 사후적으로 규율하는 것이 보통이다. 외국의 입법례들을 검토해 볼 때 현행 대리점법은 유사 입법례를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법의 적용범위가 넓으며, 규제내용 측면에서도 지속적인 개정이 필요하다고 보인다.
    대리점법은 입법과정에서 다양한 측면에서의 건설적 논의와 합의가 부족했던 탓에 실제 법률을 통한 규율 및 집행과정에서 여러 문제점들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대리점거래의 개념 및 정의규정을 명확히 하여 공정거래법상 불공거래행위 금지규정과의 차별성을 명확히 하여야 하며, 실질적인 대리점 거래관계에 대한 지속적인 실태분석을 통해 대리점거래의 특성을 반영한 구체적인 행위유형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위반행위에 대한 제재수단에 있어서도 제재의 실효성을 담보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하되 다른 법률들과의 형평성을 고려하여 규정을 정비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With the unfair practices in distributorship agreement becoming significant social issues and the necessity to regulate such practices being raised, the Distributorship Agreement Fair Trade Practices Act (DAFTPA) was enacted in 2015. The DAFTPA, which had been provoked by the so-called 'Namyang Dairy Products case' in 2013, had gone through a long line of pros-and-cons debates during the course of legislation. However, we still see that skeptical opinions are being raised with respect to the necessity of the legislation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enforcement. Also, it is criticized that the DAFTPA contains certain incomplete factors in terms of its legal structure and of its consistency with the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MRFTA) and various special laws.
    From comparative law perspective, it does not seem that a general law exists in foreign countries for purpose of regulating such distributorship agreement. Although we find a few relevant special laws in some foreign countries, such laws are only being enforced against certain industries within limited scope. Further, it is common understanding that the unfair practices are subject to the ex-post regulation under the competition law, if needed. Reviewing such foreign legislations, the DAFTPA is too comprehensive in its enforcement scope and it is hard to find any other legislation that is similar to the DAFTPA in terms of such broadness of the scope. In the meantime, it is also needed to amend the provisions on a continuous manner.
    It is expected that various problems may occur upon the practical enforcement of the DAFTPA because there has not been sufficient discussions and agreements during the course of legislation. In order to minimize such problems that may occur, we need to provide clear definition provisions on the meaning of the distributorship agreement in the DAFTPA so that it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provisions of prohibiting unfair trade practices of MRFTA. Also, we need to classify the unfair practices into more concrete types through a continuous analysis on distributorship agreement practices. Further, we need to refine the provisions regarding the standards for remedies in the DAFTPA so that such remedies can have effectiveness in its enforcement, while we make sure that such standards remain equity in terms of a comparison to the other relevant law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