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해양경관생태학의 시작점에서 (Seascape Ecology from the starting poin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21.12
22P 미리보기
해양경관생태학의 시작점에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도서문화』 / 58호 / 269 ~ 290페이지
    · 저자명 : 김재은

    초록

    세계적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과 해양 환경변화는 해양을 연구하는 학자들에게 더 나은 연구를 위해 다양한 도전을 시도하게 하였다. 해양은 경계가 없고, 시각적으로 관찰하기 어려운 한계점이 있으며, 규모(scale)에 따른 영향력이 넓다. 여러 가지 문제를 안고 있는 해양 환경은 국경을 초월하고 생태학만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가 많아서 국가 간의 정치적이고 정책적 문제해결을 위한 명확한 자료와 대안 제시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복잡한 조건과 필요성에 의해 해양경관생태학이 나타나게 되었다. 해양경관생태학(Seascape ecology)은 본래의 해양생태학적 접근법에 경관생태학(landscape ecology)적 접근법을 적용하고 활용하면서 비교적 최근에 쟁점이 된 학문 분야다. 이것은 해양 생태계의 서식지 분포와 인간을 포함한 생물종 간의 상호작용으로 나타난 공간패턴 분석과 원격탐사와 지리정보시스템 등을 활용하여 분석한다. 또한 원격탐사와 지리정보시스템 활용은 해양 환경 변화와 같이 국가 단위를 넘나들며 광범위하게 발생하고 있는 변화 분석에 매우 적합하다. 경관생태학적 개념과 분석법을 이용한 해양경관생태학은 총체적이고 다학제적 관점에서 정량적이고 시각화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과학적 분석 자료는 실질적으로 해양생태계를 보존하고 인간의 활동을 조절하면서 지속가능하게 활용할 수 있는 정책적 대안을 만드는 데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해양과 사람을 포함하는 총합적이고 다학제적 연구를 통해 해양경관변화, 해양경관 지도화와 모델링, 해양경관 연결성, 생태학적 기반의 관리 등을 위한 연구가 앞으로 더 해양경관생태학을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연안에 서식하는 많은 생물종이 인간과의 관계를 통해 서식에 영향을 받기도 한다. 경관생태학적으로 육지의 농촌은 도시와 삼림 사이에서 오랫동안 자연과 인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종다양성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알려졌다. 우리나라 연안 지역은 농촌과 같이 끊임없는 인간의 활동이 있었던 지역이다. 앞으로 연안 지역에 인간의 활동이 연안 생태계와 어떤 영향을 주고받는지에 대한 해양경관생태학적 연구가 필요하다. 이 논문은 삼면이 해양으로 둘러싸여 반도 국가인 한국에서 아직 시작점에 있는 해양경관생태학적 연구의 필요성과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어초록

    Changes in the marine environment due to climate change and human disturbance, such as rising sea levels, have caused scientists to study a variety of challenges and problems. Marine environments are complex objects of study. They have no boundaries, they are difficult to observe visually, and they have different influence on their surroundings depending on their scale. A marine environment often transcends national borders, and the multifaceted problems at play cannot be solved solely by marine ecology in its traditional sense. It is essential to present insightful data and alternatives for resolving political and policy problems between countries. The complexity of conditions and requirements has led to the emergence of seascape ecology, an academic field that applies a landscape ecology approach to enrich the original marine ecology approach. It advocates the analysis of spatial patterns by remote sensing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to reveal the habitat distribution of marine ecosystems and interactions between species including humans. This includes the use of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as well as combining holistic and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s. Also seascape changes that occur across country borders can be analyzed as such. The aggregate of scientific data forms a rich source that will help to create policy alternatives that support sustainability by conserving marine ecosystems and regulating human activities. Through its holistic and multidisciplinary research involving the sea and people, it is obvious that the field of seascape ecology is destined to develop in conjunction with research on topics such as seascape change, seascape mapping and modeling, seascape connectivity, and ecological management.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sea and people may have received less attention as a research topic, but simultaneous developments in this direction will be crucial to the future of the field. For example, in the coastal areas of Korea many marine species have been affected by human activities from a long time ago, which to some extent resembles how rural areas have been driven by interactions between humans and nature. Landscape ecological research has shown that these interactions in rural areas are important for biodiversity through the manifestation of ecotones. Likewise, seascape ecology has the potential to give insights into how human activities affect coastal ecosystems. This paper discusses the necessity of seascape ecological research and its future directions in order to illustrate its applicability to Korea as a peninsular coun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서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