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기 - 정복과 우정에 반대하는 케노시스와 코이노니아 - 빌립보서 1장 27 - 30절에 나타나는 그레코 - 로만 문화에 대한 신학적 비판을 중심으로 (Keno¯sis and Koino¯nia over against Self - mastery and Friendship - Paul’s Theological Critique of the Greco - Roman Culture in Philippians 1:27 - 30)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16.09
44P 미리보기
자기 - 정복과 우정에 반대하는 케노시스와 코이노니아 - 빌립보서 1장 27 - 30절에 나타나는 그레코 - 로만 문화에 대한 신학적 비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신약학회
    · 수록지 정보 : 신약논단 / 23권 / 3호 / 765 ~ 808페이지
    · 저자명 : 김덕기

    초록

    이 연구는 어떻게 바울이 자기-정복(evgkra,teia)과 우정(fili,a)의 그레코- 로마 문화를 비판하고, 이 문화에 대한 신학적 비판에 비추어서 빌 1:27- 30의 새로운 주석학적 고찰을 제안할 수 있는지 탐구한다. 특히 자기-비움의 기독론적 모티브가 실존적 투쟁의 정치적 동기(빌 1:21-25)와 종교적이고 사회적인 특권들에 대한 거부(2:6-11과 3:12-14)가 창의적으로 상호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인정하여, 그 결과 케노시스(ke,nwsij: 비움)의 신학과코이노니아(koinwnia, : 교제)의 신학이 본문의 해석학적 원칙으로서 돋보이게 나타나는 점에 주목한다. 또한 스토워스(S. K. Stowers)의 로마서에 대한그레코-로만 문화적 읽기에 따라서, 빌 1:27-30의 신학적 주장이 로마서7-8장에 나타난 자기-정복의 그레코-로만 문화와 어떻게 서로 다른지 검토하게 될 것이다. 특별히 이 논문은 스토워스의 자기-정복에 대한 비교 연구뿐만이 아니라 피쩨랄드(J. T. Fitzgerald)의 우정의 개념에 대한 논지도비판적으로 평가하게 될 것이다. 위의 두 가지 그레코-로만 문화 연구에대한 비판적 평가의 준거틀로서 케노시스(자기-비움)의 새로운 신학적 개념이 제시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바울의 예기치 않은 투옥으로 인하여빌립보 성도들이 겪어야 했던 공동체 내의 사회적 갈등과 바울 자신의 투옥 중의 죽음의 유혹의 경험 둘 다가 위의 새로운 케노시스의 개념이 형성되는 그 발생 조건이 되었다고 가정하게 될 것이다. 빌립보서에서는 우정 대신 코이노니아가 교제, 참여, 연대의 다양한 의미로 사용된 것을 주목할 때 바울의 코이노니아의 모티브는 빌 2:6-11에 나타나는 케노시스의기독론적 동기를 매개로 그레코-로만 문화의 우정 개념을 대체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결과적으로, 위의 두 가지 신학적 비판에 비추어 보면, 빌립보서가 단순히 윤리적 권면만이 아니라 식민지에 강요되는 로마의 제국주의 이데올로기, 황제의 제국신학, 그리고 더 높은 지위를 경쟁적으로 추구하는 문화적 관습을 변혁시킬 수 있는 정치신학을 제안하도록 고안되어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결론에서는, 자기-정복과 우정의 그레코-로만문화에 대한 바울의 신학적 비판의 관점이 어떻게 빌 1:27-30에 나타나는신학적 경향에 대한 주석학적 쟁점들을 새롭게 조명하는데 적합한지 몇가지 구체적인 주석의 방향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plores how Paul criticizes the Greco-Roman culture of self-mastery (evgkra,teia) and friendship (fili,a), and proposes a new exegetical reflection on Philippians 1:27-30 in light of Paul’s theological critique. With the two motifs of ken¯osis (ken, wsij) and koin¯onia (koinwni,a) as the hermeneutical principle of the pericope, Paul ties the christological motif of self-emptiness with political motif of existential struggle (Phil. 1:21-25) while repudiating the Philippian believers for their sense of religious and social privileges (Phil. 2:6-11; 3:12-14). S.K. Stowers’ recent study of Romans offers a vantage point from which we can appreciate Paul’s theological claim in Phil. 1:21-30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Greco-Roman culture of self-mastery. So does J. T. Fitzerald’s concept of friendship. Paul’s use of the concept of keno¯sis (self-emptiness) is closely tied to both Paul’s own temptation of the suicidal death in prison and the inner schism and social conflict in Philippi caused by Paul’s unexpected imprisonment. The christological motif of keno¯sis in turn could motivate Paul to employ koino¯nia as a substitute for fili,a a Greco-Roman term for friendship. Paul’s theological critique of the Greco-Roman culture based on the two motifs evokes not only a set of ethical exhortations, but also a political theology set over against the imperialistic ideology, a Zeitgeist in the first century Philippi. It is not the Greco-Roman culture of self-mastery and friendship, but the political theology of keno¯sis and koino¯nia that offers an exegetical key to Philippians 1:27-30.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약논단”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