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복수영화와 젠더를 절합하기 - ‘모성 복수영화’와 ‘여성 액션 복수영화’를 중심으로 (Articulating Revenge Films and Gender - Focusing on ‘Maternal Revenge Films’ and ‘Female Action Revenge Films’)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25.02
35P 미리보기
복수영화와 젠더를 절합하기 - ‘모성 복수영화’와 ‘여성 액션 복수영화’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중서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중서사연구 / 31권 / 1호 / 471 ~ 505페이지
    · 저자명 : 주유신

    초록

    본 논문은 2000년대 이후 한국 복수영화의 등장 배경 그리고 흐름과 특징 등을 개괄한 후에, 이 중에서도 여성이 중심적 역할을 하는 복수 영화들을 ‘모성 복수영화’과 ‘여성 액션 복수영화’로 범주화하여 주체와 주제의 차이가 어떻게 형식적, 미학적 차이들을 만들어내고, 이것이 갖는 사회문화적, 젠더정치학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2000년대 이후 복수영화가 한국 영화의 주요 트렌드가 된 것은 사법 정의와 공공성의 붕괴 그리고 1997년의 IMF 사태가 끼친 사회경제적, 심리적 영향이다. 복수영화에서 한국 사회는 탐욕스러운 자본과 권력이 전횡하는 아수라장으로 형상화된다. 포스트IMF 시대에 대한 한국 영화의 재현은 ‘파국 서사’와 ‘외상적 상실의 전면화’를 특징으로 하는데, 특히 후자는 개인들이 자신을 가해한 대상에게 폭력적으로 복수하는 영화로 이어진다.
    복수의 주체가 여성인 영화들도 점차 등장하는데, 특히 자식을 잃은 후에 점차 병리화되어가는 모성을 범죄와 연계시키는 모성 복수영화 중에서 <오로라 공주>와 <김복남 살인사건의 전말>은 여성의 동일시와 정체성 그리고 여성의 목소리나 동성애와 같은 주제들을 통해서 모성이라는 이슈를 흥미롭게 제기한다. ‘여성 액션’에 초점을 맞추는 <악녀>와 <발레리나>는 영화적 스타일의 적극적 활용을 통해서 리얼리티 자체보다는 그 표면과 감각성의 표현 그리고 인공적 이미지의 생산에 치중하는 ‘하이퍼리얼하고 포스트모던한 폭력의 이미지화’를 보여준다.
    본 논문은 남성중심적 복수영화와 여성중심적 복수영화가 보여주는 조금은 다른 전개 과정과 특징 그리고 여성중심적 복수영화의 주체와 스타일의 변화를 전반적으로 시네페미니즘의 시각으로 살펴본다는 데에서 의미를 지닌다. 향후에 ‘복수영화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사회적 윤리와 정의에 대한 요구로 나아갈 수 있는가’와 ‘복수영화 속의 저항 에너지는 한국 사회에 대한 어떤 성찰과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과제로 남겨져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outlines the background, flow, and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revenge films since the 2000s, and then categorizes revenge films in which women play a central role into ‘maternal revenge films’ and ‘female action revenge films’ to examine how differences in subject and theme create formal and aesthetic differences and what the socio-cultural and gender-political implications of this is.
    The reason that revenge films have become a major trend in Korean films since the 2000s is the collapse of judicial justice and publicness, and the socio-economic and psychological impact of the IMF crisis in 1997. In revenge films, Korean society is depicted as a pandemonium where greedy capitalism and power dominate. The representation of the post-IMF era in Korean films is characterized by ‘catastrophic narratives’ and ‘aggravation of traumatic loss,’ the latter leading to films in which individuals take violent revenge on those who did injury to them.
    Films in which the subject of revenge is a woman are gradually appearing. Among the maternal revenge films that link the pathologizing motherhood after losing a child to crime, <Princess Aurora> and <Bedeviled> interestingly raise the issue of motherhood through themes such as women’s identification and identity, women’s voices and homosexuality. <The Villainess> and <Ballerina>, which focus on ‘female action’, show a ‘hyperreal and postmodern visualization of violence’ that focuses on the expression of surface and sensibility and the production of artificial images rather than reality itself through active using of cinematic style.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slightly different development process of male-centered and female-centered revenge films and the differences in themes, meanings, forms, and styles shown by female-centered revenge films from the perspective of cinefeminism. Research on the following questions remains as tasks: ‘Can revenge films move toward demands for social ethics and justice of a new paradigm? and ‘What kind of reflections and visions for Korean society can the resistance energy in revenge films present?’This paper outlines the background, flow, and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revenge films since the 2000s, and then categorizes revenge films in which women play a central role into ‘maternal revenge films’ and ‘female action revenge films’ to examine how differences in subject and theme create formal and aesthetic differences and what the socio-cultural and gender-political implications of this is.
    The reason that revenge films have become a major trend in Korean films since the 2000s is the collapse of judicial justice and publicness, and the socio-economic and psychological impact of the IMF crisis in 1997. In revenge films, Korean society is depicted as a pandemonium where greedy capitalism and power dominate. The representation of the post-IMF era in Korean films is characterized by ‘catastrophic narratives’ and ‘aggravation of traumatic loss,’ the latter leading to films in which individuals take violent revenge on those who did injury to them.
    Films in which the subject of revenge is a woman are gradually appearing. Among the maternal revenge films that link the pathologizing motherhood after losing a child to crime, <Princess Aurora> and <Bedeviled> interestingly raise the issue of motherhood through themes such as women’s identification and identity, women’s voices and homosexuality. <The Villainess> and <Ballerina>, which focus on ‘female action’, show a ‘hyperreal and postmodern visualization of violence’ that focuses on the expression of surface and sensibility and the production of artificial images rather than reality itself through active using of cinematic style.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slightly different development process of male-centered and female-centered revenge films and the differences in themes, meanings, forms, and styles shown by female-centered revenge films from the perspective of cinefeminism. Research on the following questions remains as tasks: ‘Can revenge films move toward demands for social ethics and justice of a new paradigm? and ‘What kind of reflections and visions for Korean society can the resistance energy in revenge films pres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중서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