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육사의 절명시 「꽃」 - 동지를 부르는 초혼가 (The Last Poem Flower(꽃) by Lee, Yuk - sa: An Evocation Song of Revolutionary Comrades)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16.05
21P 미리보기
육사의 절명시 「꽃」 - 동지를 부르는 초혼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학연구 / 46호 / 37 ~ 57페이지
    · 저자명 : 도진순

    초록

    <꽃>은 육사가 일제의 북경 감옥에서 쓴 생애 마지막 시로 추정된다. <꽃>에는 어려운 어휘가 거의 없지만, 여전히 제대로 해독되지 않고 있다. 그 결정적 이유는 3연 1~2행에 있는 ‘한바다 가운데 용솟음치는 곳’에 있는 ‘꽃성’의 정체가 해명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큰 바다 가운데 용솟음치는 곳’에 있는 ‘꽃성’이 불교의 이상향인 수미산(須彌山)에 있는 도리천궁(忉利天宮)임을 밝혔다. 그리하여 <꽃>은 북경감옥에서 죽음을 앞둔 육사가 자기보다 먼저 죽어 이미 수미산 도리천궁에 가 있는 혁명 동지들을 회상하면서, 그들을 부르는 초혼가(招魂歌)요, 그들에게 바치는 만가(輓歌)임을 밝혔다.
    이로서 필자는 육사의 절명시 3부작이 모두가 죽음 및 영원과 관계되는 것임을 밝혔다. <나의 뮤-즈>가 자신의 일대기를 시로 쓴 비명(碑銘)이라면, <광야(曠野)>는 자신에게 바치는 만가(輓歌)이자 유언(遺言)이며, 마지막 시 <꽃>은 동지들에게 바치는 만가라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연구는 육사의 이러한 절명시 3부작을 아일랜드 시인 예이츠(W. B. Yeats)의 『최후의 시편』들과도 비교하였다.

    영어초록

    The Flower by Yuksa is presumed to be the last poem written at Japanese Prison in Beijing before his death. Even though there are hardly any difficult vocabularies, the poem still has not been interpreted correctly. The primary reason is due to a misinterpre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line in the third stanza: 'At a spurting place in the middle of a vast sea', and 'the castle of flowers.'
    This study revealed 'At a spurting place in the middle of a vast sea', and 'the castle of flowers' is a metaphorical phrase indicating the Trāyastriṃśa palace(忉利天宮) at the top of the Mount Meru(須彌山) in the Buddhist. Furthermore, the study revealed the Flower is an elegy to dedicate the souls of dead revolutionary comrades at the Trāyastriṃśa palace in the Mount Meru, as well as an evocation song calling for the souls to guide Yuksa himself to the Trāyastriṃśa palace.
    These findings indicate a direct correlation between all of the last trilogy by Yi Yuksa and their sharing theme; death and eternity. As My Muse implies the epitaph of Yi Yuksa's biography written in a form of poem, the Wildness is an elegy and a will for his own, while the Flower is an elegy to dedicate his comrades. Additionally, this study made a comparison between the last trilogy of Yi Yuksa and the Last poems by an Irish poet, W. B. Yea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