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총체적인 오순절 신학의 성령적 특성 (The Pneumatological Character of Holistic Pentecostal Theolog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12.12
38P 미리보기
총체적인 오순절 신학의 성령적 특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영산신학저널 / 26권 / 179 ~ 216페이지
    · 저자명 : 이상환

    초록

    이 논문은 총체적인 오순절 신학의 성령적 특성을 논한다. 이는 오순절 신학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오순절 조직신학의 한 방법을 제시한 것이다. 먼저 오순절 신학과 복음주의 신학과의 관계를 언급하고 문제점을 지적한다. 현재의 오순절 조직신학은 구조적으로 이중적인 형태를 띠고 있다. 복음주의적 조직신학의 체계와 내용에 오순절 교회의 핵심 신학을 첨가한 형태를 띤다. 이러한 이중적 형태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 이는 오순절 신학의 투명성과 일관성을 제공하는 데 걸림돌이 된다.
    오순절 신학의 투명성과 일관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총체적인 오순절 관점의 조직신학이 필요하다. 총체적인 오순절 관점의 조직신학이란 오순절적 핵심 신학과 영성을 조직신학의 전 체계와 내용에 적용시킨 온전한 오순절 관점의 조직신학을 의미한다. 성령세례의 경험은 현대 오순절 신학과 신앙의 핵심에 서있다. 이는 오순절 신앙과 신학을 주도하는 축이다. 총체적인 오순절 관점의 조직신학이란 성령세례 경험의 신학적 의미를 조직신학의 전 체계와 내용에 적용시킨 것을 말한다. 이는 자연스럽게 성령적 특성을 초래할 수밖에 없음을 주장한다.
    기존의 그리스도 중심적 신학은 성령의 독특한 사역과 인격적 주체와 존재를 간과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기독교 신학계는 이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성령적 관점의 신학을 고려해야 할 것을 지적한다. 총체적인 오순절 관점의 조직신학은 현대 기독교 신학이 요구하는 성령적 관점의 신학을 제공할 0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성령적 관점의 오순절 조직신학은 복음주의의 성령적 관점의 조직신학과도 구별될 수 있다. 왜냐하면 후자의 가능성은 구원적 신앙에 의존하지만, 전자의 가능성은 구원적 신앙 후에 주어지는 성령세례의 경험으로부터 유래하는 은사적 신앙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총체적인 오순절 관점의 조직신학은 은사적 가능성(a Charismatic possibility)이다.
    총체적인 오순절 관점의 조직신학에는 큰 장점이 있다. 이는 먼저 그동안 배제되었던 성령의 신학적 의미를 모든 신학적 체계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스도 중심적 신학으로 제대로 다룰 수 없는 신학적 주제들(예: 성령세례와 충만과 은사)을 논할 수 있는 새 지평을 열 수 있다. 더 나아가, 오순절 신학의 투명성과 일관성을 제공하여 오순절 교회의 신학적 정체성을 확립시키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 오순절주의가 기독교의한 주요 전통으로 그리고 오순절 교회가 개신교의 가장 큰 교단으로 계속 성장·발전하기 위해서는 그 신학적 정체성과 방향성을 확실히 제시해 줄 수 있는 총체적인 오순절 관점의 조직신학이 절실히 필요하다.

    영어초록

    This paper demonstrates the pneumatological character of holistic Pentecostal theology. It proposes a method for Pentecostal systematic theology that could establish and develop the theological identity of Pentecostalism. The relationship between Pentecostal and evangelical theology is considered to highlight the dualistic structure of current Pentecostal systematic theology. There is a serious problem in its dualistic structure, for it remains as an obstacle for Pentecostals to illustrate their theological clarity and coherence.
    A holistic Pentecostal theology that can offer its theological clarity and coherence is desperately needed. It is a pentecostalization of the whole structure and content of systematic theology by applying the core Pentecostal spirituality and theology to them. The experience of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is the center of Pentecostal spirituality and theology. It is the dominating and constitutive pivot of Pentecostal spirituality and theology. Holistic Pentecostal theology is to apply the theological implication of Spirit-baptism to the whole structure and content of systematic theology. The pneumatological character is transparent in this, for it relies on the experience of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It has been said among theologians that there is a noticeable weakness in the Western Christocentric theology that undermines the distinctive work and personal being of the Holy Spirit. A pneumatological perspective of theology should be considered to overcome this weakness. A holistic Pentecostal theology can offer a pneumatological perspective of theology. Its pneumatological perspective can be differentiated from the pneumatological perspective of evangelical theology. The possibility of evangelical pneumatological theology rests on salvific faith, whilst that of Pentecostal pneumatological theology derives from Charismatic faith that drives from the experience of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subsequent to salvific faith. For Pentecostals, one of Charismatic gifts of the Holy Spirit always accompanies with his baptism. Holistic Pentecostal theology is a Charismatic possibility.
    There is a remarkable strength in the pneumatological character of holistic Pentecostal theology. It enables us to explore the theological implication of the Holy Spirit in the whole structure and content of systematic theology, and opens a new horizon for us to recognize the distinctive work and personal being of the Holy Spirit in the discussion of his baptism, fullness, and gifts. Such exposition and recognition is not found in the Western Christocentric theology. Above all, holistic Pentecostal theology could offer a clear and coherent Pentecostal theology to establish and develop the theological identity and direction of the Pentecostal church. It is thus necessary not only to claim Pentecostalism as “a major tradition of Christianity,” but also to maintain continuous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Pentecostal churchas the largest church among the Protestant churches. A constant growth and development of any organization including the Pentecostal churchis not possible without its own clear ident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산신학저널”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