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대 오순절 신학의 성령 중심 오순절 해석학 연구 (An Exploration of Contemporary Pentecostal Pneumacentric Theology’s Hermeneutics)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21.09
35P 미리보기
현대 오순절 신학의 성령 중심 오순절 해석학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조직신학논총 / 64호 / 253 ~ 287페이지
    · 저자명 : 한상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 오순절 신학에서 발견되는 성령 중심 신학의 오순절 해석학에 관한 본질과 통찰을 연구하고 오순절주의 신앙과 신학에서 오순절의 정체성과 영성의 구체화를 신앙적 실천과 연결하는 도구로 여겨지는 성령 중심 신학 해석학의 신학적 함의를 고찰하기 위함이다. 오순절주의자들에 따르면, 오순절 해석학은 그 기원부터 다른전통과 구별된 특징과 방법이 존재했다고 주장한다. 여기에는 오순절적 신앙체험과 성경적 교리의 진리를 통해 실천적 면이 강조된 것을 통칭하는 오순절 실재(Pentecostal reality)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구별되는 실재는 신자의 실질적 삶에 역동적인 성령의 사역을 통해 하나님의 초월과 내재를 구체적 현실로 경험하여 신앙적 실천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오순절 해석학은 성령 중심 신학의 해석학으로 실천 중심(Praxis-based)의 성경 해석을 강조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필자는 오순절적 해석학의 신학적 공헌은 단순히 성경의 내용을 석의 방법(exegetical methodology)으로만 온전히 담아낼수 없다는 사실을 알려주고자 한다. 오순절 해석학의 역할은 영적 체험과 관련하여 충성된 증인으로서 성령으로부터 주어진 변혁의 능력을자기 통찰과 자기 고백의 신앙으로 승화하여 소통하는 신앙 실천을 도모하는 데 있다. 성경적 메시지를 충실히 전달하기 위해 현시대의 필요를 반영하는 적합한 형식과 더불어 이야기(간증)를 통해 전달하고자한다는 사실에 주목하고자 한다. 여기서 이야기(story-telling)의 중요성은 단지 과거를 회상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현재 우리가 경험하는성령의 역사를 바르게 이해하고 재해석하여 성령 안에서 하나님의 이야기(계시)와 하나님 백성의 이야기들 사이의 통합을 시도하고 소통하는 데 있다. 이러한 이유로, 역동적 간증(이야기)를 신학화하는 것은 신앙체험(affections)의 중요성을 다시 고려하게 하며, 동시에 대중의 상황과 관심의 관점에서 하나님에 관해서 통찰하는 새로운 신학적 패러다임을 제공한다. 본 연구를 통해 이러한 오순절 해석학의 특징과 공헌에 관해서 논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constructive approach to the nature and meaning of Pentecostal hermeneutics which is based on Pentecostal pneumacentric theology, and it also attempts to explore the theological reflections of Pentecostal hermeneutics as a tool for articulating the embodiment of Pentecostal identity and spirituality. According to contemporary Pentecostals, historically, the Pentecostal hermeneutics has distinctive features and method in light of their spiritual experiences and theological thinking. Particularly, it has deeply engaged with Pentecostal reality which can be characterized as an integration of Pentecostal experiences and bible-based doctrines in the works of the Holy Spirit. In this reality, through the dynamic works of the Holy Spirit one can be possibly experience both transcendence and immanence of God as a concrete reality in one’s living reality and it leads one to actively participate in way of faithfully reflecting one’s spiritual experiences in the context of faith praxis. In this light, Pentecostal hermeneutics is built on pneumacentric theological reflections with the emphasis of praxis-based biblical interpretation.
    In this study, I will seek to focus on Pentecostal hermeneutics’ theological contribution which bears a faithful witness to the ever-present transforming power of the Spirit expressed in sharing and discerning testimonies as a communal exercise of Christian faith with critical self-reflections and self-confessions in its relation to affections (i.e. spiritual experiences) in order to make biblical messages relevant to the need of people in our lives. Within distinctive theological feature in Pentecostalism is to exercise recalling the stories in the past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esent realities of what it means to live in the Spirit; that is, the re-telling (or re-presenting) of Pentecostal testimonies correlates the stories of God and God’s people in the present context of living in the Spirit. Thinking in this way, theologizing the powerful testimonies (narratives) can be allow one to reconsider the importance of affections and, at the same time, served as a new theological paradigm which speaks about God from the position of people’s situations and concerns. Therefore, I would like to explore this distinct feature and a possible theological contribution through this present stud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조직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