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창극집』(1955) 소재 창극 대본 <흥보전>의 특징과 의미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 A Changgeuk(Korean Classical Opera) Script Included in 『Joseonchanggeukjip』(1955))

5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15.03
52P 미리보기
『조선창극집』(1955) 소재 창극 대본 &lt;흥보전&gt;의 특징과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어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어국문학 / 170호 / 273 ~ 324페이지
    · 저자명 : 송소라

    초록

    북한은 6.25전쟁 이후 사회주의 기초건설의 기조 아래 이전에 비해 보다 엄격하게 문화예술을 통제한다. 남북이 공유하던 전통극으로서 창극은 이 시기에 북한에서 많은 변화를 겪는데, 『조선창극집』은 바로 이 무렵에 간행된 창극집이다. 『조선창극집』은 1950년대 중․후반 북한이 지향하는 창극의 면모를 일부나마 구체적으로 확인하게 한다는 점에서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 본고는 이 작품에 수록된 <춘향전>, <심청전>, <흥보전>의 세 작품 가운데 박태원이 각색을 맡은 <흥보전>을 대상으로 남한 창극과의 비교를 통해 그 특징을 살피고, 이로부터 북한 내 고전서사 <흥보전>의 인식과 수용 양상을 논의하였다.
    먼저, 본고는 『조선창극집』의 간행 경위와 <흥보전>이 각색되는 과정을 월북 문인 박태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박태원은 전쟁 중에 월북하여 국립고전예술극장의 전속 작가가 된다. 국립고전예술극장은 민족문화예술을 전통적 형식에 입각하면서도, 사회주의 사상에 걸맞게 보충․변형함으로써 북한이 원하는 전통음악을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1952년 겨울에 창립되었다. 박태원은 이곳에서 <이순신 장군>을 첫 창극 작품으로 올리면서 활동을 시작한다. 이후 그는 1954년 12월 창극 <춘향전>을 조운과 공동으로 각색하여 공연하고, 이듬해 <춘향전>, <심청전>, <흥보전>을 수록한 『조선창극집』을 간행한다. 그러나 1956년 이태준을 포함한 남로당의 숙청에 연루되며 집필 금지를 당한다. 그의 <흥보전>은 1954년 문인 자백사업으로 그가 심적 고통을 받은 때에 집필된 것으로, 남한의 창극과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본고는 3장에서 박태원이 각색한 창극 <흥보전>의 서사적 특징을 남한 창극과의 비교를 통해 살펴보았다. 먼저, 북한 창극 <흥보전>은 판소리 창본은 물론 고전소설, 남한의 창극에서 중요하게 다루지 않았던 마당쇠를 새롭게 부각시킨다. 북한 창극 <흥보전>에서 마당쇠는 단순히 놀보의 명을 따르는 수동적인 노비가 아닌, 지혜를 발휘하여 그의 부당함을 저지하고 때론 그의 심술을 강한 어조로 비판하며, 그의 부도덕함에 적극적으로 분노하는 인물로 재탄생한다.
    또한 북한 창극은 흥보의 가난함의 이유를 부정부패한 사회의 부조리에서 찾고 이를 적극적으로 장면화한다. 아무리 열심히 일을 하여도 돈과 세력이 있는 자에게 착취를 당하는 현실, 환곡을 빌려 굶주림을 면해보고자 하나 정작 극빈자에게 줘야할 환곡을 주지 않는 나라의 모순, 부자는 죄를 지어도 돈이 있으면 피해갈 수 있는 부당함, 매를 대신 맞으면서까지 가난함을 면해보려는 서민들의 비참한 현실까지 북한 창극 <흥보전>은 흥보가 처해있는 부조리한 현실을 적극적으로 드러낸다. 더불어 흥보의 자식들을 밥타령만 하는 철없는 아이들이 아닌, 노동을 통해 부모와 함께 어려움을 이기고자 하는 아이들로 재해석하여 흥보 가족의 부지런함과 진지함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북한 창극 <흥보전>은 남한 창극에 공통으로 등장하는 도승을 제거하고, 대신 제비가 가져오는 행운의 과정을 구체화함으로써 서사의 논리성을 살린다. 또한 인물 간 등․퇴장의 근거를 세밀하게 마련함으로써 이야기의 유기성을 추구한다.
    북한 창극 <흥보전>의 서사적 특징은 북한이 인식하는 고전서사 <흥보전>과 긴밀히 연결된다. 북한은 고전서사 <흥보전>의 중요한 요소로 ‘흥보의 노동’과 ‘착취자인 놀보의 풍자’, 나아가 ‘조선 후기 봉건사회의 불합리함’을 꼽는다. 박태원은 <흥보전>을 각색하면서 북한이 평가하는 <흥보전>의 가치를 의식하였을 것이다. 물론 그의 각색이 <흥보전>의 비평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비롯되었다고 말할 수는 없다. 다만 박태원은 분단 이후 북한이 인식하는 <흥보전>의 모습을 수용하여 이를 구현하고자 노력하였다고 할 수 있다. 체제에 적응하면서 소설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과 새로운 해석이 박태원으로 하여금 남한과는 다른 창극 <흥보전>을 만들도록 한 것이다. 이후 북한에서 <흥보전> 수용의 양상은 1962년 예술영화 <흥부전>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이 영화는 흥보 가족의 노동과 부패한 사회 현실을 보다 정밀하게 그리고 나아가 부패한 사회에 저항하는 마당쇠와 흥보의 성격 창조를 통해 북한이 지향하는 <흥보전>의 면모를 구체화한다.
    분단 이전 남북은 동일한 이야기를 공유하였지만, 이념의 차이로 인해 이야기의 수용에 있어 서로 다른 길을 걷게 된다. 본고는 북한 창극 <흥보전>을 통해 그 일면을 들여다보고, 이를 통해 박태원 각색 <흥보전>의 의미를 조명하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After the Korean War, North Korea controled culture and art more strictly than before, founded on basic construction of socialism. As a traditional opera shared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Changgeuk underwent a lot of changes in North Korea during this period and 『Joseonchanggeukjip』 is a Changgeuk collection which was published in this period. 『Joseonchanggeukjip』 is valuable as a material to show some aspects of Changgeuk pursued by North Korea in the mid and late 1950s.
    Among the three works; <Chunhyangjeon>, <Simcheongjeon>, and <Heungbojeon> included in this collection, this paper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Heungbojeon> which was adapted by Park, Tae-won by comparing this with South Korean Changgeuk and discussed the recognition and the acceptance process of North Korean classical narrative, <Heungbojeon>.
    First, this paper investigated the publication motive of 『Joseonchanggeukjip』 and the adaptation process of <Heungbojeon>, focusing on the writer, Park, Tae-won who defected to North Korea. Then, this paper explored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Changgeuk, <Heungbojeon> by comparing this with South Korean Changgeuk, <Heungbojeon>. As the result, North Korean Changgeuk, <Heungbojeon> was characterized by ① Madangsoe which was recreated as a satirist and an aggressive critic of Nolbo, ② figuration of the irrational society of the time as a reason for poverty of Heungbo, and logicality-orientation of narrative. Lastly, this paper explained the aspects of Changgeuk, <Heungbojeon> which was pursued by Park, Tae-won, based on North Korea's recognition of classical narrative, <Heungbojeon> and furthermore, discussed the acceptance aspects of <Heungbojeon> in North Korea by considering <Heungbojeon> that was accepted as a film in 1962.
    Before the divisio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shared the same story, but in terms of the acceptance of story, they began to go different ways due to the ideological differences. This paper aimed to look into the aspects of North Korean Changgeuk, <Heungbojeon> and shed light on the meaning of <Heungbojeon> adapted by Park, Tae-w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어국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