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시대 지상건물지 전면구들의 등장 과정 연구 (Research on the Appearance of Full Floor Heating Gudeul of the Above-ground Buildings of the Goryeo Dynasty)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21.08
33P 미리보기
고려시대 지상건물지 전면구들의 등장 과정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부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고고학 / 20권 / 2호 / 151 ~ 183페이지
    · 저자명 : 박종규

    초록

    이 글은 고려시대 지상건물지 유적에서 발굴조사된 구들 유구를 각 세기별로 정리·분석하여, 전면구들의 등장 과정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전면구들은 11~12세기 다양한 변화 과정을 거쳐 12세기 중·후반 무렵에는 초기적 형태가 나타난다. 용인 유운리 유적 4호 건물지, 강화 신봉리·장정리 유적, 울주 연자도 유적 11호 건물지에서 이러한 모습이 잘 나타나고 있다. 13세기 전반 용인 남사(아곡) 유적 5-마 지점 5호 건물지, 시흥 장현 유적 4지점 1호 건물지 단계가 되면 본격적으로 전면구들이 등장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3세기 전·중반 평택 백봉리 유적 A-1, A-2호 건물지 단계 이후에는 전면구들이 완전히 정착된다. 이후 구들시설은 평면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건물 내 필요에 의해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전면구들의 등장에 앞서 12세기 전반에는 칸으로 독립된 마루방이 나타난다. 전면구들과 마루방의 등장은 입식생활에서 좌식생활로 주거 방식이 변화하는 요인이 된다.
    전면구들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14세기 이후에는 효율적인 난방 기능 증대를 위한 다양한 기술적 변화들이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designed to compile and analyze the gudeul elements excavated from the remains of above-ground buildings built during the Goryeo Dynasty according to each century in order to find out the process of the appearance of the full floor heating gudeul.
    The full floor heating gudeul underwent various changes in shape during the 11th and 12th century before it arrived as its initial shape during the mid to late 12th century. That is well shown by Yongin Yuun-ri No. 4, Ganghwa Shinbongri-Jangjeongri, and Ulju Yeongjado No. 11. In the early 13th century when the full floor heating gudeul of Yongin Namsa (Agok) No. 5-Ma point Building No. 5, Siheung Janghyeon Building No. 4 (No.1) were constructed, the full floor heating gudeul appeared as the main elements. In early and mid-13th century, when Pyeongtake Baekbongri Building A-1 and A-2 were built, the full floor heating gudeul fully took roots as the main heating system. After that time, the gudeul system appeared in various shapes if required by buildings, not bound by the plan of the building site.
    In the early 12th century, prior to the adoption of full floor heating gudeul as the main heating system, there appeared the wooden-floored room which was made independently by the compartment. The appearance of full floor heating gudeul and floor room are the main cause of the transition of the living mode from standing to sitting.
    In and after the 14th century, when the full floor heating gudeul was widely used around the country it was found that the various changes took place in the technology for the efficient increased heating fun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