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춘향전에 담긴 일상의 문학적 형상화와 비판 의식 (Everyday Lives and Critical Consciousness in the Late Joseon Period as Depicted in Chunhyangjeon)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12.04
25P 미리보기
춘향전에 담긴 일상의 문학적 형상화와 비판 의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진단학회
    · 수록지 정보 : 진단학보 / 114호 / 391 ~ 415페이지
    · 저자명 : 오수창

    초록

    『완판84장본』을 포함한 춘향전의 이본 14종을 검토하여 춘향전에서 조선후기의 冊客, 『천자문』, 암행어사의 수령에 대한 봉고․파직이 문학적으로 어떻게 형상화되었으며 거기에 담긴 의식이 어떤 성격을 지니는지 검토하였다. 위 3가지 주제에 대한 이본들의 서술 추세는 『완판84』에서 종합되었다고 판단된다. 춘향전은 동헌이라는 공적 공간에서 정부 조직상의 지위를 지니지 못한 채 수령의 사적 참모로서 미묘한 처지에 놓인 조선후기 책객의 현실적․인간적 면모를 문학적으로 절묘하게 형상화했다. 또한 구관․신관 사또 대조적인 성격과 연관된 두 책객 사이의 차이도 선명하게 조명하였다. 춘향전은 전체적으로 문자 활동을 비롯한 지배층의 문화를 비판하는 의식을 보일 뿐 아니라, 조선후기인들의 현실 교육에 대한 비판의식을 더욱 구체적으로 반영하였다. 『완판84』나 『이고본』에 담겨있는 방자의 『천자문』 읽기는 『천자문』이 아동 교육에 초래하던 오해를 풍자한 것이며, 그러한 견해가 『천자문』의 전통적 권위를 지키려는 이도령에 대해 승리를 거두는 구조라고 판단된다. 하지만 당대 교육에 대한 춘향전의 비판의식이 현실에 새로운 지평을 개척하던 것은 아니었다. 암행어사는 수령을 현지 주민들 앞에서 파직할 권한을 갖지 못했으나 춘향전의 봉고․파직에 대한 형상화는 춘향의 투쟁과 승리라는 주제의식을 강조하기 위해 현실의 제도를 과감하게 뛰어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완판84』에서는 어사가 신관사또를 봉고⋅파직하였을 뿐 아니라 사대문에 방을 붙여 주민들에게 그 사실을 알렸다. 그러나 국가권력의 대표자인 수령에 대한 춘향의 투쟁과 승리가, 홍경래난 등이 일어나던 19세기에 새로운 사회 질서를 제시한 것은 아니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imed at understanding how the authors and readers of Chunhyangjeon depicted the private consultants of magistrates, Cheonjamun and punishments for guilty magistrates, and where their critical consciousness had its place in the historical context. 14 versions of the novel were examined. The dialogues between magistrates and their private consultants have not been fully explained becau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ivate consultants have been ignored. Those dialogues reflected the awkwardness and oppressed pride of the private consultants as intellectuals who were wholly dependent on their magistrates. There is also a sharp contrast between two private consultants as their two magistrates each had different characteristics. Specific meanings implied in the dialogues about Cheonjamun between the male protagonist and his attendant have not been clear until now. The attendant's recitation of Cheonjanmun represented criticism of the textbook while the male protagonist's the vindication. Although the ruling class's vindication was overwhelmed by the commoners' criticism, the critical consciousness toward the traditional textbook in Chunhyanjeon was behind the reality of education which saw new textbooks to replace Cheonjamun. The secret royal inspector had the right to close the warehouse of the town in which the magistrate committed fiscal frauds but not to dismiss the magistrate on the spot. However, the last version examined in this paper changed the reality by describing the inspector firing the evil magistrate in his own right.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is novel is the vivid images of the confrontation by Chunhyang, one of the lowest of people, against the magistrate of her own tow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진단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