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진도 쌍계사 대웅전 내벽화의 제작시기와 특징 (The Time of Cre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rals in Daeungjeon at Ssanggyesa, in Jindo)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19.10
22P 미리보기
진도 쌍계사 대웅전 내벽화의 제작시기와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불교미술사학 / 28권 / 547 ~ 568페이지
    · 저자명 : 최엽

    초록

    진도 쌍계사 대웅전 벽화는 20세기 전반에 제작된 것으로 대웅전 보수공사시 눈에 보이는 채색층 아래로 이전에 그린 벽화들이 드러나면서 알려지게 되었다.
    이들 벽화는 <신중도>와 <치성광여래도>, 그리고 <산신도> 등 주요한 예배대상이 되는 존격들을 탱화가 아닌 벽화로 구성하였다는 점에서 현전하는 1940년대와 50년대의 <치성광여래도>와 <독성도> 등의 탱화가 제작되기 이전의 시기인 1930년대에서 1940년대 초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비정하였다.
    이들 벽화는 특히 유화를 연상시키는 표현기법을 사용하고 있어 발견 당시부터 주목받았으며, 전통적인 사찰벽화와는 도상에 있어서도 특이한 양상을 보인다. 도상은 전라도와 전라도 인근 지역의 불화들을 참고로 하여 그린 것을 알 수 있었고, 종규 도상을 주요 도상으로 채택하기도 하였다. 뿐만 아니라 <산수도>와 <비학도>의 경우 서양의 풍경화와 유화를 연상시킬 만큼 유화 기법을 사용한 붓터치를 확인할 수 있어 주목된다. 실제로 과학적 조사결과에 의하면 이들 벽화는 근대기 유성계 인공안료, 즉 유화로 추정되는 재료를 사용하여 그려졌음이 밝혀졌다. 이를 통해 진도 쌍계사 대웅전의 내벽화가 20세기 전반에 제작된 사찰 벽화의 특수한 사례로서 근대라는 복합적이고 다양한 시대적 면모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고찰의 의미가 있다.

    영어초록

    Created in the early 20 th century, the murals in Daeungjeon(mainhall) at Ssanggyesa Temple, in Jindo, were discovered during renovations of the mainhall after they had been hidden beneath layers of paint visible to the naked eye. Because these are mural portrayals of the main subjects of Buddhist worship, such as Sinjung-do, Chiseonggwang-yeorae-do, and Sansin-do, their date of creation was estimated to be between the 1930s and early 1940s, before surviving Buddhist altar paintings(taenghwa) from the 1940s to the 1950s such as Chiseonggwang-yeorae-do and Dokseong-do were produced.
    These murals captured the public’s attention upon discovery for their use of techniques resembling oil paintings and for their iconographic patterns distinguished from traditional temple murals. Studies found that the iconography of these murals was based on Buddhist paintings found in Jeolla-do and its neighboring regions, and the theme of Jonggyu(vanquisher of evil beings) was adopted as their principal iconography. Furthermore, the brushstrokes in Sansu-do and Bihak-do are evocative of those in Western landscape and oil paintings. In fact, scientific studies found that these murals were painted using the artificial oil-based paint used in the modern period, namely, the material used in oil painting. Thus, as an exception to the tradition of temple murals created in the early 20 th century, these murals in Daeungjeon at Ssanggyesa, in Jindo, call for a closer examination because they provide insight into the modern era as a period of complexity and divers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