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유자본 『周易傳義大全』의 간행과 교정 (The Printing and Proofreading of Jeongyujabon Juyeokjeonuidaejeon)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14.09
24P 미리보기
정유자본 『周易傳義大全』의 간행과 교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지학연구 / 59호 / 371 ~ 394페이지
    · 저자명 : 장원연

    초록

    이 연구는 한국의 금속활자인쇄기술에 있어서 조판교정에 관한 것이다. 서책 간행시 교정은 인출 전 원고의 교정과 인출과정에서의 교정으로 크게 구분을 할 수 있는데, 인출교정은 匠人들의 역할이 중요하며, 특히 활자의 조판을 담당하는 균자장의 기술적인 능력이 많이 요구되는 부분이다. 인출시 교정에 관해서는 시험 인출해서 교정을 표시한 교정쇄를 보면 가장 잘 알 수 있으나, 교정쇄는 인출이 끝나면 대체로 폐기하거나 다른 용도로 재활용 되어 완전한 모습을 갖춘 교정쇄를 찾기란 쉽지 않다. 다행히 최근에 발견된 1793년 정유자로 간행한 『周易傳義大全』의 교정쇄본 두 책은 인출시 교정내용을 상세히 기록하고 있어서 조선후기 금속활자 인쇄의 교정수준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게 되었다. 교정쇄본 『주역전의대전』은 1793년 정유자로 간행한 『주역전의대전』의 再見에 해당하는 인출지를 모두 모아 책으로 엮은 것으로, 전체 23권 14책 중 제1책(권1~2)과 제13책(권23~24)에 해당하며, 매장마다 붉은 색으로 교정을 지시하고 있다. 권1에 표시된 1,600건의 교정내용에 근거하여 조판교정의 양상을 살펴보면, 활자의 높이와 수평이 고르지 않아 교정된 것이 825회로 전체 교정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글자가 좌우로 기울어져서 교정을 지시한 것이 513회(32%)로 두 번째로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외에도 오자, 탈자, 흔들려 인쇄된 글자 등의 교정내용이 확인된다. 이 책이 전체 24권과 총목 1책을 포함해서 권1과 비슷한 수준의 교정이 지시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주역전의대전』의 再見에만 무려 40,000여 자에 대한 교정이 있었음을 추정해 볼 수 있고, 초견에서는 이보다 훨씬 많은 횟수의 수정이 있었을 것이므로, 금속활자인쇄에서 조판의 어려움을 대략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금속활자의 조판은 활자를 고르게 조판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어려운 작업이었으며, 또한 조판은 활자의 모양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때문에 조선후기로 갈수록 활자의 모양을 규격화하여 인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bout proofreading the typeset in Korea’s metal type printing techniques. In publishing books, proofreading can be largely divided into proofreading the manuscript before printing and proofreading in the process of printing. And the proofreading of printing is the part that particularly demands the technical skills of master craftsmen, especially Gyunjajang in charge of typesetting. The best way to understand proofreading at printing is to examine the proof sheet marking the proofreading after the trial printing ; however, once the proof sheet is printed out, most of them get to be discarded or reused for another usage, so it is not easy to find a proof sheet that is complete. Fortunately, however, the recently found two volumes of proof sheet edition of Juyeokjeonuidaejeon published in Jeongyuja in 1793 provide crucial data that allow u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proofreading the metal type printing during late Chosun. The proof sheet edition of Juyeokjeonuidaejeon is a volume collecting all the printed paper corresponding to the second viewing of Juyeokjeonuidaejeon issued in Jeongyuja in 1793. They correspond to the first (Vol. 1~2) to the thirteenth book (Vol. 23~24) among total 23 volumes and 14 books. And each page refers to proofreading with red color. According to the examination on the aspects of proofreading the typeset based on the 1,600 cases of proofreading marked in Vol. 1, those proofread for the uneven height or horizon of the type are 825 cases which form over 50% of the total proofreading. And those ordered to be proofread for the letters leaning towards left and right are 513 cases (32%) which form the second most. Other than these, there are also cases of proofreading for misprinted, omitted, or blurred letters. If we suppose that this book ordered proofreading equivalent to the level of Vol. 1 including total 24 volumes and 1 complete catalogue, we can estimate that only on the second viewing of Juyeokjeonuidaejeon there must have been proofreading for up to 40,000 or so letters. And since at the first viewing, there must have been much more corrections than this, so we can assume the difficulty of typesetting in metal type printing. In the typesetting of the metal type, setting the type evenly is the most difficult and important task to do. Also, it has been learned that typesetting is influenced by the shape of the type most greatly. Therefore, they tried to standardize the shape of the type during late Chosun in order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print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지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