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보림차와 청태전의 역사적 연원 연구 (A Study on the Historical Origin of ‘Borim Tea’ and ‘Cheongtaejun Tea’ in Jangheung area)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24.12
23P 미리보기
보림차와 청태전의 역사적 연원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남도문화연구 / 53호 / 205 ~ 227페이지
    · 저자명 : 이욱

    초록

    이 글은 19세기 장흥에서 생산되었던 두 종류의 떡차인 보림차와 청태전의 상관관계를 살핀 것이다. 두 차는 생산 지역과 외형이 유사하여 청태전이 보림차 제다 기법의영향을 받은 것으로 이해해 왔다. 그러나 보림차의 가장 중요한 제작 기법인 9증9포의방식이 청태전에 적용되지 않는 등 중요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므로 두 종류의 떡차의문헌을 통해 역사적 연원을 재검토하였다.
    보림차는 곡우 이전에 채엽하여 9증9포의 방식으로 찻잎을 가공하여 만든 떡차였다.
    다산과 초의의 제다 기법을 계승하여 보림사 승려들이 만든 차였으며, 기존의 떡차가갖고 있는 강한 성질을 약하게 하여 인체에 끼치는 해독을 줄이기 위한 목적이 강한것이었다.
    반면 청태전은 세작이나 중작을 채엽하여 한 차례 찻잎을 쪄서 만든 떡차였다. 이는다산 이전부터 장흥 지역에서 떡차를 만들던 방식을 계승한 것으로 보인다. 민간에서는 손님 접대나 약용을 주목적으로 하고, 시장 판매보다는 자가소비를 위해 청태전을 만들었다. 이러한 목적을 가졌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지는 곡우 이전 채엽, 많은 노동 시간을 요하는 9증9포와 같은 방법을 청태전 제다에 채용할 필요성이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찻잎으로 우린 차가 아니라고 오해할 정도로 약한 맛은 민간의 기호에 맞지 않았을 가능성도 없지 않다. 이 때문에 청태전은 다산 이전부터 전해 내려오던 제다법에따라 만들어진 것이라고 생각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Borim Tea’ and ‘Cheongtaejun Tea’, two types of cake-tea produced in Jangheung in the 19th century. While the two teas are similar in appearance to the production area, it is understood that the tea-making technique of Borim Tea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Cheongtaejun Tea. However, there are important differences, such as the method of ‘9-Jeung 9-Po (9 times of steaming and drying), the most important production technique of Borim tea, in the making of Cheongtaejun Tea. This article reviews the historical origins of these two types of cake-tea based on existing literature.
    Borim Tea was a type of cake-tea made by processing tea leaves collected before grain rain using the ‘9-Jeung 9-Po method. The tea was made by the monks of Borimsa Temple who inherited the tea-making techniques of Dasan and Cho-ui. The primary purpose was to soften the strong qualities of traditional cake-tea and reduce any adverse effects on the human body.
    On the other hand, Cheongtaejun Tea was a cake-tea made by steaming and drying tea leaves once by collecting small (細雀) and medium-sized sparrows (中雀). This seems to have inherited the method of making cake-tea in the Jangheung area even before Dasan. In the private sector, Cheongtaejeon Tea was built for self-consumption rather than market sale, with the main purpose of being hospitality and medicinal applications.
    Because of this purpose, it seems that there was no need to adopt methods such as leaf harvesting before grain rain, which is less productive, or the ‘9-Jeung 9-Po process, which requires a lot of working time, for Cheongtaejun Tea. Furthermore, it is possible that the taste of tea leaves, which is so weak that we misunderstand that it is not tea, did not suit the tastes of the private sector. For these reasons, Cheongtaejun Tea is believed to have been made according to the tea-making methods passed down from before Dasan’s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