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덕수궁 석조전 정원의 조성과 변천 (A Study on the Forming and the Transformations of Seokjojeon Garden in Deoksugung)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15.09
22P 미리보기
덕수궁 석조전 정원의 조성과 변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통조경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33권 / 3호 / 16 ~ 37페이지
    · 저자명 : 김해경, 오규성

    초록

    본 연구는 석조전 정원 조성 과정과 변천을 사회적 배경에 따른 덕수궁 권역의 변천과 연계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원의 변천 과정을 4단계로 구분하였다. 첫째, 개항기 말인 1896년에서 1914년이다. 1896년부터 1897년까지 경운궁은 법궁으로 조성되어 고종의 거처로 중화전과 석조전이 마련되었다. 석조전 건립 초기에는 브라운이 관여했고, 준공과 정원은 데이빗슨이 마무리했다. 정원 조성 과정에서 중화전 회랑이 훼철되고 돈덕전이 편입되었다. 정원은 중심부에 원형 기식화단과 축선을 겸한 동선을 지닌 단순한 형태였고 독수리 조각상을 세웠으나 곧 철거되었다. 둘째, 1915년에서 1932년으로 17년간 형태가 유지되었던 시기이다. 1911년 대한제국 말기 궁내부를 계승한 이왕직이 1915년에 주전과를 설치하여 덕수궁 내 건물들을 조사했다. 당시의 정원은 1차 조성 형태 요소 중 중심축선은 유지하였지만, 녹지대는 비대칭형으로 하였다. 세부화단은 원형이고 오픈 노트 기법과 경계부 식재를 했고, 세분된 동선을 조성했다. 셋째, 1933년에서 1937년까지로 석조전이 개방된 시기이다. 1932년 석조전을 상설미술관으로 개방하기 위해 많은 건물을 훼철했다. 새로 조성한 정원은 중심축과 연계된 동선 중심에 거북이 조각상이 놓인 직사각형 수반이 있는 형태이다. 넷째, 1938년에서 해방까지로 덕수궁이 공원화된 시기이다. 이왕가미술관을 건립하여 석조전과 브리지로 연결하였고, 정원은 선큰(sunken) 정원으로 변모했다. 분수대, 파고라가 도입되었고 이후 부분적인 변형이 있었으나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이처럼 현재 남겨진 석조전 정원은 최초의 모습이 아니며, 따라서 본 연구는 석조전 정원에 대한 언설이 재작성되어야 함을 밝힌 것에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orming and the transformations of Seokjojeon Hall garden by linking it to the changes of Deoksugung Palace influenced by the social atmosphere, the Seokjojeon garden can be classified into four phases.
    The first phase starts from 1896 to 1914. Gyeongungung was built in the late 19th century(1896-1897) as an official palace and Junghwajeon Hall and Seokjojeon Hall was built for Gojong. J.M.Brown was in charge of the construction of Seokjojeon in the beginning but H.W.Davidson saw the end also set up the garden.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garden the incorporating of Dondeokjeon Hall and the demolishing of the west wing corridors of Junghwajeon Hall occurred. At this phase of the garden a statue of an eagle was put up in the garden but was soon taken down. The shape of the garden was quiet simple with a central axial pathway, a round assorted flower bed placed in front of Seokjojeon Hall.
    The second phase starts from 1915 to 1932 which lasted for 17 years. At the last years of the Great Han Empire the duties of Gungnaebu(宮內府) was transferred to Leewangjik(李王職) in 1911 and a research on the existing buildings was done by Jujeonkwa(主殿課) in 1915. According to the research drawings, the garden still maintained the axial pathway formed in the previous phase but the garden had an asymmetric form. The flower bed was formed in a round shape and an open-knot technique and boundary plantation was applied to the garden.
    The third phase starts from 1933 to 1937 and is the period when Seokjojeon Hall was made public. By the year of 1932 many buildings of Deoksugung Palace had been demolished in the preparation of the opening of Seokjojeon Hall as a permanent exhibition hall. The central axial pathway still remained in the new garden and added a pond with a turtle statue in the center.
    The fourth phase starts from 1938 until the liberation from Japan and is the period when Deoksugung Palace became a park. Yi Royal-Family Museum was built and linked to Seokjojeon Hall with a bridge and the garden transformed into a sunken garden. The garden adopted a fountain and a pagora. Despite the minor changes in the after years the garden still posses most of its form from the fourth phase.
    As we can see the current garden of Seokjojeon Hall is not the same as the initial garden and therefor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modifications to the statements regarding to Seokjojeon Hall garden should be mad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전통조경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