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할힌골 전투에 대한 남․북한 역사 인식 비교 (Comparison of South and North Korea's Historical Perceptions on the Battle of Khalkhin Gol)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23.02
28P 미리보기
할힌골 전투에 대한 남․북한 역사 인식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몽골학회
    · 수록지 정보 : 몽골학 / 72호 / 149 ~ 176페이지
    · 저자명 : 오미영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1939년 5월 몽골과 만주 국경 지역에서 일어난 할힌골 전투에 대한 남북한의 역사 인식을 비교해 보는 것이다. 북한은 할힌골 전투를 김일성의 만주 항일무장투쟁의 큰 업적으로 여기며 역사적으로 중요한 사건으로 다루고 있다. 1958년 ‘종파사건’을 계기로 북한 역사학계는 ‘혁명전통’을 확립시키기 위해 김일성의 만주 항일활동을 대대적으로 선전하면서 할힌골 전투를 주목하였다. 사실 김일성은 1930년 초반 중국공산당 휘하에서 조선인 무장대를 조직하며 중국 국경 지역에서 만주 항일투쟁을 펼쳤지만, 할힌골 전투가 일어난 1939년에는 일제의 조선인 대토벌 작전으로 일본군에게 쫓기는 상황이었기에 북한이 선전하는 김일성의 활약은 사실과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북한 역사학계와 달리 국내에서는 할힌골 전투에 크게 주목하지 않다가 근래 할힌골 전투에 참전한 조선인의 이야기가 국내에 소개되면서 이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모아졌다. 현재 할힌골 전투에 참전한 조선인 실상을 밝히는 데에 자료의 어려움이 있지만 본 연구에서 할힌골 전투에서의 조선인 문제를 규명하는 데에 새로운 실마리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는 1944년 징병제 실시 이전에도 조선인이 징집되어 일제의 병력에 동원되었다는 것이며, 둘째는 1930년대 말 대소련 전투에서 적지 않은 조선인이 군속 신분으로 참전하기도 했으며, 셋째는 일본군이 되어 할힌골 전투에 참전한 일본 육사 출신의 친일 조선인이 있었다는 점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compared the historical perceptions of South and North Korea on the Battle Khalkhin Gol that took place in the border area of Mongolia and Manchuria in May 1939. North Korea regards the Battle of Khalkhin Gol as a great achievement of Kim Il-sung's anti-Japanese movement in Manchuria and treats it as a historically important event. With the ‘August Factionalist Incident(종파사건)’ in 1958 as an opportunity, North Korean history academia paid attention to the Battle of Khalkhin Gol while extensively promoting Kim Il-sung’s anti-Japanese activities in Manchuria in order to establish a ‘revolutionary tradition’.
    In the early 1930s, Kim Il-sung organized a Korean army under the command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and waged an anti-Japanese struggle in Manchuria in the Chinese border area. However, in 1939, when the Battle of Khalkhin Gol took place, Koreans fighting against Japan were chased by the Japanese army due to the Repression Operation against Koreans. Eventually, in 1940, Kim Il-sung lost his base of activity and had to cross the border to the Soviet Union to escape Japanese surveillance.
    Unlike the North Korean history academia, the Battle of Khalkhin Gol was not much noticed in South Korea. Recently, as the story of Koreans who participated in the Battle of Khalkhin Gol was introduced in Korea, public interest in it was gathered, but no academic study was conducted on it. However, in this study,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data,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case of Koreans participating in the Battle of Khalkhin Gol as part of the Japanese army, which provides a new clue to clarify the problem of the Military Mobilization of Korean which is facing difficulties in data.
    First, even before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scription system in 1944, Koreans were conscripted and mobilized in the Japanese military. Second, in the late 1930s, a many Koreans participated in the battle against the Soviet Union as civilian employees. Third, Koreans who graduated from the Japanese Military Academy belonged to the Japanese army and participated in the battle against the Soviet Un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몽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