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구려 初傳佛敎의 공인과 그 의미 (Official recognition of Koguryo's earliest Buddhism and the meaning)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11.08
28P 미리보기
고구려 初傳佛敎의 공인과 그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총 / 36권 / 1 ~ 28페이지
    · 저자명 : 김두진

    초록

    삼국 중 고구려는 일찍부터 북방의 塞外민족은 물론 남방의 중국민족과도 부단하게 접촉하면서 그 문화를 수용하였다. 신라에 비해 고구려에는 불교가 일찍 전래되어 있었다. 신라에는 초전불교의 전래전승을 비롯해서 불교가 공인되기까지비교적 많은 내용이 기록으로 남았다. 그런데 고구려의 경우 그러한 사정이 자세하게 전하지 않는다. 신라의 초전불교가 공인되는 과정에 대한 이해를 통해 고구려에 처음 전래된 초전불교와 그 후의 공인불교의 성격을 각각 끌어내고자 하였다.
    불교가 고구려에 처음으로 전래된 시기는 소수림왕 때라고는 하지만, 이미 그이전에 왕실 중심으로 수용되어 있었다. 前燕과의 전쟁이나 後趙와의 교섭과정을통해 불교는 고구려에 충분히 알려졌다. 당시 중국에 유행한 청담적인 格義불교가고구려에 전해졌다. 고구려 왕실 중심으로 수용된 초전불교는 공인과정을 거쳐 귀족에게까지 홍포되면서 국가불교로 성립하였다. 공인 이후 고구려 불교가 空觀에대한 이해를 깊게 하였다. 공인불교는 전륜성왕 관념이나 토착의 신이신앙을 포용하였을 뿐만 아니라 선악의 업보에 의한 인과응보 신앙을 가졌다.
    공인이후 고구려 불교에 나타난 석가불과 전륜성왕 신앙이 왕실 중심으로 수용되었다면, 미륵신앙은 귀족에게 보다 가깝게 다가갔다. 국가불교를 성립시키면서왕실과 귀족이 불교신앙 면에서 서로 타협함으로써, 고구려는 귀족연합 정권을 창출시키고는 정복국가 체제를 갖추면서 밖으로 뻗어갔다. 공인 이후 고구려 국가불교는 비록 구세보살 신앙을 다소 포용하였을 지라도 여전히 정복국가의 성격과잘 어울릴 수 있는 요소를 지녔다. 공인불교에서 내세워진 전륜성왕 신앙은 구세보살에 초점을 둔 것이라기보다는 전제왕권이 정복전쟁을 수행해나가는 면을 강조하려는 의도를 지녔다.

    영어초록

    Koguryo had accepted Buddhism early among the tree Kingdoms by consistent contacts with northern frontier minorities and southern regions of China. Compared with Shilla, Buddhism was introduced in Koguryo earlier.
    There are comparatively much historical content that had passed down in Shilla, including transmission of the earliest Buddhism and to the official recognition of Buddhism by the nation. However, such detailed historical evidence had not survived in Koguryo. To elic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rliest and the authorized Buddhism of Koguryo,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how Buddhism underwent a process from the beginning to become an official status in Shilla.
    It has known that Buddhism was first introduced to Koguryo in the reign of the Sosurim Dynasty. However, Buddhism was accepted among the royal families in advance. Buddhism was known sufficiently to Koguryo throughout the war of Jun-yun(前燕) and the negotiation process with Hu-jo(後趙).
    Gyuk-Eu(格義), China's popular Buddhism in that period, was brought into Koguryo. It was characterized by plain and pure. The earliest Buddhism embraced among the royal families in Koguryo was broaden to aristocrats throughout the process of official recognition, and it was developed as nation's religion. Koguryo Buddhism after official approval helped the understanding of Gong-gwan(空觀) deeply. The authorized Buddhism not only embraced a Cakravartin concept and aboriginal superstitious faith, but also punitive justice in the result of good and evil karma.
    During this period, if Sakyamuni Buddha and a Cakravartin faith was accepted centrically among royal families, Maitreya faith was approached more easily by aristocrats. To develop Buddhism as their nation's religion, royal family and aristocrat arranged compromise with religious beliefs. In the result,Koguryo could seize the aristocrat alliance government and expanded their power outside of the country as a subjugation nation. Although the authorized Buddhism in Koguryo embraced salvation Bodhisattva faith to a certain degree,still it possessed some features meeting characteristics of a subjugation nation.
    A Cakravartin faith which was developed in the authorized Buddhism, placed emphasis on the execution of conquest battles by the premise sovereign power rather than focused on salvation Bodhisattva fai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