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의 총력전체제와 경제참모본부 (Total War System and General Economic Staff of Japa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14.12
32P 미리보기
일본의 총력전체제와 경제참모본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아태연구 / 21권 / 4호 / 47 ~ 78페이지
    · 저자명 : 박성진

    초록

    동아시아의 경이적인 경제성장을 설명하는 한 요인으로 본 연구에서 주목한 경제참모본부는 본질적으로 전쟁의 산물이었다. 1차 대전이라는 미증유의 총력전에 대응하기 위해 일본의 정치권과 군이 내놓은 타협점이 바로 경제참모본부였다. 다만 1918년 군수국을 통해 처음 등장했던 경제참모본부는 군부와 정치권의 상이한 인식으로 인해 제대로 실현되지 못했다. 그러나 1930년을 전후로 일어난 세계대공황과 소련의 경제적 성공 그리고 만주국의 수립은 새로운 경제참모본부 구상에 힘을 실어준 결정적 사건들이었고, 특히 1937년 발발한 중일전쟁으로 인해 총력전체제의 핵심 기구로서 ‘기획원’이라는 경제참모본부의 이념적 완성형이 등장하게 되었다. 여기에는 만주국에서 이미 등장한 기획처라는 모델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그러나 한편으로 중일전쟁 이후의 총력전은 오히려 기획원의 활동에 한계를 부여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벌어졌다. 여기에는 기본적으로 기획이라는 업무 자체가 안정적인 국내외 정세를 전제조건으로 했기 때문이었다. 결과적으로 기획원은 총력전의 핵심 기관이라기보다는 총동원의 중심기관으로 활동하게 되었다. 한편 총력전에 대응하기 위해 국력의 충실을 위한 각종 조사, 경제계획의 입안 및 부처 간 조정이라는 경제참모본부의 본연의 임무가 제대로 실현한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전시 ‘전쟁국가’ 일본에서가 아닌 패전 후 ‘경제국가’ 일본에서였다. 그러한 점에서 총력전체제는 단순히 전시체제에서뿐만 아니라 현대 일본에서도 그 본질적 성격이 그대로 유지되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focused on General Economic Staff as one of elements explaining the remarkable economic growth in East Asia. General Economic Staff was intrinsically the outcome of the war. For coping with the unprecedented total war, the World War I, it was General Economic Staff that the politicians and the military authorities suggested as the compromise. The idea on General Economic Staff was proposed by the Munitions Bureau in 1918. However, it couldn't be realized because of the different views between the politicians and military authorities.
    The great depression, economic success of Soviet Union and establishment of Manchukuo around 1930 were the critical events accelerating the emergence of General Economic Staff. In particular, The Sino-Japanese War breaking out in 1937 brought the ideologically completed concept of General Economic Staff called “Planning Board” as the key organization in the total war system. It could be realized because of the model “Planning Bureau” already configured in Manchukuo.
    Meanwhile, the total war after the Sino-Japanese war caused the ironical situation restricting the activity of Planning Board. It's because the business ‘planning’ was fundamentally based on the stable domestic and global situations as the prerequisite. Consequently, the Planning Board acted as the pivotal organization for total mobilization rather than the leading organization for total war. However, it was ironically in Japan “Economic Country” after defeat not in Japan “Warfare Country” during the war when the intrinsic missions of General Economic Staff, that is, a variety of surveys for strengthening the country to cope with total war, drafting economic plans and coordination among ministers, were properly implemented. In this aspect, it can be said that the total war system maintained its intrinsic characteristics both during war footing and in modern Jap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