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금방울전」 , 「김원전」의 영웅 형상화 방식과 의미 - 설화의 수용과 영웅소설의 변주를 중심으로 - (The Methods and Meanings of Hero Embodiment in Geumbangwooljeon and Kim Won Jeon - Focusing on the acceptance of myths and variations of hero novels -)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22.03
27P 미리보기
「금방울전」 , 「김원전」의 영웅 형상화 방식과 의미 - 설화의 수용과 영웅소설의 변주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론집 / 89권 / 165 ~ 191페이지
    · 저자명 : 윤은정, 이명현

    초록

    이 논문은 영웅소설 도식성의 서사적 변주라는 측면에서 『금방울전』과 『김원전』을 살펴보고, 금령과 김원의 영웅 형상화 방식의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금방울전』, 『김원전』의 서사구조는 작품 전체적으로 영웅의 일대기를 따르지만, 난생설화, 지하국대적퇴치설화등을 수용하여 도식적 전개에서 벗어나고 있다. 『금방울전』과 『김원전』에서는 주인공의어린 시절 ‘기아(棄兒)와 위기 극복’에서 난생설화를 수용하여 형태 변이를 통한 ‘비인간에서 인간으로 전환’이 나타난다. 주인공이 비범한 능력으로 영웅성을 입증하는 과정은 지하국대적퇴치설화를 수용하여 요괴퇴치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대부분의 영웅소설에서 역모, 전쟁 등 현실 질서의 위기 극복이 나타나는 것과는 다른 방식이다.
    금령과 김원은 천상계로부터 능력을 부여받았음에도 온전한 영웅의 면모를 드러내지못한다. 금령은 초월적 능력을 지녔지만 비인간의 형상으로 태어나서 부모와 주변의 외면을 받고, 형태 변이 이후에는 초월적 능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가정 내의 존재로 한정된다. 김원은 적강한 존재이지만 비인간의 형상으로 태어났기 때문에 가족과 사회로부터 격리된다. 김원은 형태 변이와 천서(天書) 수학 이후에 비범한 능력을 획득하지만, 조력자의 도움없이 요괴를 퇴치하지 못하고, 지하 세계 탈출 이후에는 일상적 존재에게 무기력하게 죽임을 당한다.
    『금방울전』, 『김원전』은 도식화된 영웅서사를 탈피하기 위하여 설화를 수용하고, 이 과정에서 체제수호적 영웅과 설화적 인물이 혼종된다. 금방울전 에서는 설화적 상상력을수용하여 금령을 비인간의 형상을 지닌 내조형 여성 영웅으로 형상화하고, 국가 질서를 수호하는 전형적 영웅의 역할은 남편 해룡이 수행한다. 이러한 서사적 타협은 영웅소설의 장르 관습을 유지하면서 서사적 변주를 추구하는 서사 전략이라 할 수 있다.
    『김원전』은 민담의 탐색 영웅을 수용하여 전형적 영웅을 변주하려고 하였지만, 탐색 영웅의 요괴퇴치 서사는 기존 영웅서사와 중복되어 서사적 차별성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래서 재생담을 삽입하여 서사적 변주를 시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주인공의 무기력한 죽음, 신화적 존재의 현실 개입에 의한 재생은 영웅의 주도적 과업 성취라는영웅소설의 장르 관습과 서사적 충돌을 일으킨다. 김원전 에 나타난 장르 문법의 충돌은여러 서사 요소의 병렬적 나열과 인과관계가 불분명한 갈등 해결로 나타난다.
    『금방울전』과 『김원전』은 설화적 상상력을 수용하여 영웅소설의 확장을 시도하는 서로다른 방식을 보여주는 작품들이다. 이 두 작품에 나타난 기존의 장르 문법과 새로운 서사요소의 결합은 소설 유형의 변이와 장르 해체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Geumbangwooljeon and Kim Won Jeon in terms of the narrative variations of schematism in hero novels. It investigates the significance of the embodiment of two heroes, Geumryeong and Kim Won. Both follow the narrative structure of a hero’s overall story, but deviate from a schematic development by accepting the myths of egg birth and destroying a monster in an underground realm and rescuing an abducted woman. In Geumbangwooljeon and Kim Won Jeon, the protagonists undergo a “transformation from a non-human being to a human being” by changing their forms to overcome abandonment” and crisis in childhood. This shows that the novels accept the egg birth myth. The protagonists demonstrate their heroic nature with their extraordinary abilities, focusing on the extermination of a monster by accepting the myth of destroying a monster in an underground realm and rescuing an abducted woman. This is a different style from most hero novels that depict the hero as overcoming the crisis of a modern order, such as conspiracy and war.
    Even though Geumryeong and Kim Won have been endowed with abilities by the Heaven, they cannot reveal their heroic aspects completely. Geumryeong is neglected by her parents and people around her for being born in a non-human form despite her transcendent abilities. After changing her form, she is not able to exert her transcendent abilities and is restricted by her family. Kim Won is a Taoist hermit with miraculous powers, born in a non-human form and isolated from his family and society. After changing his form and studying the Book of Heaven’s Revelations, he gains extraordinary abilities. He cannot, however, destroy a monster without the assistance of a helper. After escaping from the underground world, he gets helplessly killed by an ordinary being.
    Both Geumbangwooljeon and Kim Won Jeon accepted a myth to deviate from the typical development of hero novels, in which they show hybridism between a hero to protect the system and a mythical figure. Geumbangwooljeon accepts mythical imagination to embody Geumryeong in a non-human form and a female hero that assists her husband as his wife. It is her husband Haeryong that plays the typical heroic role to protect the national order. This narrative compromise is a strategy to seek narrative variations while keeping the genre of hero novels.
    Kim Won Jeon tries to deviate from the typical hero by accepting an exploration of hero in folklore. However, an exploration hero’s narrative of destroying a monster overlaps with the old hero narrative, which does not ensure a clear differentiation. Kim Won Jeon thus attempts to have a narrative variation by inserting a resurrection tale. However, the protagonist’s helpless death and resurrection by the intervention of a mythical being clashes with the genre of hero novels that revolve around a hero’s leading roles in task fulfillment. In Kim Won Jeon, a clash between different genres appear in the parallel enumeration of several narrative elements and the resolution of conflicts in which causal relations are uncertain.
    Geumbangwooljeon and Kim Won Jeon show different methods of expanding a hero novel by accepting mythical imagination. The combination of an old genre and a new narrative element in these novels offer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variation of the novel types and the deconstruction of a gen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론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