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월남전 휴(종)전의 정치경제적 심상 (Political and Economic Image of Cease-fire (Cessation of War) of Vietnam War)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16.04
33P 미리보기
월남전 휴(종)전의 정치경제적 심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논총 / 72호 / 41 ~ 73페이지
    · 저자명 : 김주현

    초록

    이 논문은 월남 휴(종)전이 한국 사회에 미친 정치경제적 심상을 크게 세 방향에서 분석했다. 월남전 휴전 협상은 1968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지만, 한반도 휴전을 월남 휴전의 ‘부정적’ 모델로 삼은 한국 정부는 휴전에 부정적이었다. 그러나 휴전론이 가시화되면서 휴전은 경제적 관점에서 모순적으로 상상되었다. 최초의 ‘휴전=월남 특수 종료’라는 시각에 반해 전후재건에 참여할 새로운 기회로서 휴전이 강조되기 시작한 것이다. 이 시각은 ‘메콩종합개발계획’으로 집약돼 비상한 관심을 끌었으나 월남이 패망하자 싱겁게 종결된다.
    휴전론은 또한 1960년대 후반 인력 수출 장소로 떠오른 동남아 표상에 선택적으로 관여했다. 라오스, 캄보디아는 중립주의에 관계없이 월남전에 휘말린 위험 지역으로, 친서방 국가는 낙후됐으나 개발 가능성이 무궁한 자원의 보고로 표상되었다. 이러한 인식은 월남전을 중심으로 동남아를 가르고 묶는 발상이며, 현재의 동남아 이미지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한국 정부는 월남 패망을 안보의 반면교사로 전유하여 월남전 종결을 승공(勝共) 성장론으로 재빨리 종합한다.
    이 일련의 과정에서 공식적 파월 담론에 도전하는 지식 사회의 ‘비판적’ 개입은 드물었고, 방법적으로도 대중의 관심을 끌기에 부족했지만, 시기와 내용으로 판단하건대, 70년대에 발표된 월남전 소설 텍스트는 휴(종)전론의 파장을 월남전 재현의 새로운 모멘텀으로 수용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political and economic images of cease-fire (cessation of war) of Vietnam War affecting Korean society from 3 different aspects. While cease-fire talks on Vietnam War were initiated in 1968, the Korean government was largely negative on the talks since the cease-fire in the Korean Peninsula was a ‘negative’ model for Vietnam War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government. When the cease-fire talks became more evident, however, the cease-fire was contradictively visualized from the economic perspective. On the contrary to the earlier view of ‘Cease-fire representing the end of special economic boom from the Vietnam War,’ the cease-fire began garnering attentions as new potential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post-war reconstructions. These views were integrated into ‘Mekong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to draw unusual interests, but it all abruptly ended when Vietnam collapsed.
    The cease-fire talk also selectively engaged in the Southeast Asian region which emerged as a manpower expert site in the late 1960s. Laos and Cambodia viewed as a war-infested danger zone regardless of neutralism, whereas pro-Western nations perceived the region as a rich repository of natural resources with unlimited potentials despite primitivity. It is believed that such perception not only divided the Southeast Asia based on the Vietnam War but also significantly impacted the image of the Southeast Asia. Lastly, the Korean government promptly moved on to accumulate the end of Vietnam War into a growth theory by defeating communism after asserting to learn lessons of national security from the fall of Vietnam. Throughout these series of processes, it was rare to find ‘critical’ interventions from the intellectual society challenging the expedition of troops to the Vietnam War. And although it was methodologically insufficient to draw public interest, the social text on the Vietnam War published in the 1970s can be deemed to accept the aftermath of cease-fire talk as new momentum of the Representation of Vietnam War when judging it based on the time and its cont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