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崔忠傳>과 일본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ChoiChungCheon(崔忠傳)' and Japa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16.12
25P 미리보기
&lt;崔忠傳&gt;과 일본의 관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열상고전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열상고전연구 / 54호 / 193 ~ 217페이지
    · 저자명 : 유광수

    초록

    16세기 조선에서 창작된 <최고운전>은 한문본, 한글본으로 전승되면서 다양한 제명으로 불렸는데, 그 중 ‘최충전’이란 제명을 지닌 일련의 이본들이 있다. 그동안 <최충전>을 조선에서 필사된 것으로 여겨 <최고운전> 이본의 계통을 세우거나 논의하는데 심각한 오류가 있었다.
    본고에서는 <최충전> 이본 6종을 수집ㆍ정리ㆍ분석하였다. 1883년 일본외무성에서 간행된 활판본을 비롯하여, 아스톤본, 와세다본, 도쿄대본, 교토대본, 심수관본 등 6종의 이본을 면밀히 비교ㆍ대조하여 분석한 결과, 이들 <최충전> 이본들은 단순한 조사 같은 어휘적 차이를 제외하고는 완벽하게 부합하는 이본임을 밝혀냈다. 또한 이 이본들은 모두 조선이 아닌 일본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데, 전승된 곳이 일본일 뿐만 아니라, 소장한 인물, 필사한 인물 등이 모두 조선이 아닌 일본과 관련 깊음을 알아냈다.
    <최충전>이 일본에서 전승된 것은 오래되었는데, 와세다본이 1750년에 필사되었고 도쿄대본이 1873년, 활판본이 1883년에 간행되었다. 필사연도는 아니나 수집연도가 1900년인 아스톤본까지 감안해 보면, 대략 150년 정도 전승되면서도 그 변이의 폭이 거의 없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100년 이상 전승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본적 편폭이 거의 없었던 것은 <최충전>을 중요한 텍스트로 인식했기 때문이고, 그것은 <최충전>을 조선어 통역관 양성을 위한 교재로 사용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ChoiGoWoonCheon(崔孤雲傳)> created in 16th century Joseon was called by diverse titles in a transmission with Korean letter and Chinese character, and some of those variations are called ‘ChoiChungCheon(崔忠傳)’. There has been a serious error in debating or claiming the system of <ChoiGoWoonCheon(崔孤雲傳)> remake by regarding <ChoiChungCheon(崔忠傳)> as a one written in Joseon.
    In this article, 6 types of <ChoiChungCheon(崔忠傳)> adaptations was collected, organized and analyzed. Including a printed book published in 1883 at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ston Edition, Waseda Edition, Tokyo University Edition, Kyoto University Edition Simsukwan Edition and etc was precisely compared and analyzed, resulting that these <ChoiChungCheon(崔忠傳)> adaptations were perfectly the same except lexical differences. Also, all of these editions had close relationship with Japan but not with Joseon, and revealed that not only they were passed down in Japan, but also the person who kept, and the one who wrote this book were deeply related with Japan, not Joseon.
    It has been a while since <ChoiChungCheon(崔忠傳)> transmitted and during this period, Waseda Edition was written in 1750, Tokyo University Edition in 1873 and Printed Book was published in 1883. Considering the collected year of Aston Edition, even though it is not the written year, it is noticeable that it has been almost no variation during about 150 years of succession. The reason for the stability of these adaptations despite of more than 100 years of transmission, is because they thought <ChoiChungCheon(崔忠傳)> as an important text, which used as a textbook to train Joseon language interpret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열상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