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Dwight Waldo의 행정학과 관료제 다시보기 (A Study on Dwight Waldo's Public Administration and Bureaucracy)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12.12
25P 미리보기
Dwight Waldo의 행정학과 관료제 다시보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정부학연구 / 18권 / 3호 / 67 ~ 91페이지
    · 저자명 : 임의영

    초록

    관료제는 행정의 열쇠다. 관료제는 Max Weber에 얽매이지 않고 계속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중요한 주제이다. Dwight Waldo는 특이하게 자기의식적 행정학을 발전시킨 훌륭한 학자이다. 그리고 그는 Weber의 영향권 밖에 있다. 따라서 이글은 Waldo의 어깨위에서 행정과 관료제를 재고찰한다. 첫째, 이글은 자기의식적 행정학의 본질을 살펴본다. Waldo는 행정에 대한 성찰을 통해 공공성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둘째, 이글은 정치와 행정의 관계에 대한 Waldo의 관점을 살펴본다. 그는 엄격한 이원론은 반대하지만, 분석적 차원에서 정치-행정 도식을 유용한 것으로 본다. 셋째, 이글은 관료제와 민주주의의 관계에 대해 논의한다. Waldo의 기획은 관료제와 민주주의에 다리를 놓는 것이다. 지형적 차이와는 무관하게 어디에나 어울리는 보편적인 다리를 놓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지형적 특수성을 분석적으로 드러내는 것은 중요한 작업이다. 여기에서 다리는 공공관료제 혹은 민주적 관료제를 의미한다. 넷째, 이글은 공공관료제를 분석하기 위한 정치철학적 프레임을 구성한다. 그 프레임은 Waldo가 ≪행정국가≫에서 논의했던 정치철학적 주제들―좋은 삶, 행위기준, 지배의 주체, 권력분립, 집권화의 정도―로 구성된다.

    영어초록

    Bureaucracy is a key concept of Public Administration that has to be studied over and over again without being fettered by Max Weber. Dwight Waldo was a giant scholar who developed the self-conscious Public Administration distinctively. And he was free from Weber.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public administration and public bureaucracy on the shoulder of giant. First, this article examines the self-conscious Public Administration. Waldo emphasized on 'the public' of public administration through self-consciously reflecting on the orthodox Public Administration which had been immersed in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In Waldo's vocabulary, the public means the political. Second, this article discusses the Waldo's viewpoi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s and administration. While Waldo opposed the rigid separatism of politics and administration, he recognized the analytical usefulness of politics-administration formation. The politics-administration formation may be useful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cracy and bureaucracy. Third, this article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cracy and bureaucracy. Waldo tried to build the bridge between democracy and bureaucracy. That is a very difficult work, because there can not be any universal bridge regardless of topographical differences. Waldo's project is to build the bridge that is suitable to the topographical distinctiveness. That bridge means public bureaucracy or democratic bureaucracy. Forth, this article constructs the politico-philosophical frame to analyze public bureaucracy. That frame consists of the politico-philosophical topics which Waldo discussed in The Administrative State: good life, criteria of action, subject of rule, division of power, degree of centraliz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4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