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忠南燕岐地域蠟石製佛像群硏究 (Buddhist Statues Made from Agalmatolite in Yeongi County, Chungnam Province)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10.06
31P 미리보기
忠南燕岐地域蠟石製佛像群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악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악미술사학 / 11호 / 125 ~ 155페이지
    · 저자명 : 박영민

    초록

    본 연구는 1960년대 초반 충남 연기군 비암사, 서광암, 연화사와 그 인근의 공주 정안면 등지에서 발견된 총 7구의 납석제불상을 대상으로 한다. 이 불상들은 재질 뿐 아니라 도상, 양식, 조각기법 등에 공통성을 지니고 있어 동일한 제작집단에 의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 중 네 구에 干支名, 尊像名, 人名 등을 포함한 銘文이 남아 있다. 이 불상군은 통일신라 직후인 673년에서 689년 무렵에 제작된 백제계 상으로써, 7세기와 8세기의 경계선상에서 그 과도기적 성격을 드러내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들 7개의 불상을 ‘燕岐佛像郡’이라 총칭하도록 하며, 선행연구를 토대로 형상적 특징을 통한 명칭 재고 및 도상과 양식의 재고찰을 통하여, 계승과 수용이라는 양면성을 지닌 이 불상군의 성격을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먼저 본고에서는 연기불상군의 형태적 특징의 분석을 통하여 현재 그 명칭이 혼용되고 있는 7구의 상을 형태분류하고, 각 상의 명칭에 대한 再考를 제안하였다. 중국, 일본, 한국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碑像’이라는 용어를 정의하고, 그 형태적 특징을 각 상에 대입시켜 분석한 결과, 연기불상군의 7개 상 중 비상의 범주에 속하는 것은 〈계유명 전씨 아미타구존불비상〉을 비롯한 4개의 상이며, 나머지 3개의 상은 비상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연기불상군은 도상·양식적 특징에 있어 7세기 말의 시대적 특수성을 반영하고 있다. 우선 도상적 특징에서 가장 주목되는 것은 아미타정토의 형상화를 비롯한 다양한 도상이 표현되어 있다는 점이다. 아미타정도의 표현은 7세기에서 8세기 초반 중국, 일본, 한국에서 모두 유행하던 것으로, 연기불상군에 표현된 도상은 당시의 도상적 유행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다. 또한 양식적으로는 백제의 고양식을 토대로 새롭게 받아들여지고 있던 당 양식의 영향이 간취된다. 673년에 제작된 〈계유명 전씨 아미타구존불비상〉과 〈계유명 삼존천불비상〉은 연기불상군의 도상·양식적 모본이 되고 있는데, 그 이후에 제작된 상들은 기본적 형식을 토대로 당 양식을 점차 반영하여 통일신라 양식으로 이행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연기불상군이 백제의 古樣式이라는 기본 틀을 채택함으로써 ‘백제’적 정체성을 드러내고 있지만 시대적 흐름에도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연기불상군의 특징은 ‘達率’ 등의 백제 최고위 관등명과 백제의 유력성씨명이 포함된 명문 내용 등은 이 백제계 제작집단이 이 상을 통하여 백제 고양식의 재현을 의도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와 함께 중국 6세기 산동성 양식의 영향을 받은 납석제 조각이 백제에서 빈번히 제작되었다는 점 또한 연기불상군의 양식적 특수성에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연기불상군은 백제의 마지막 조상으로써, 그리고 통일기 백제양식을 계승한 첫 번째 작품으로서 정치·사회·사상적 과도기였던 7세기말~8세기 초반의 양식적 터닝포인트를 제시하고 있는 작품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focuses on dealing with total 7 Buddhist statues made from agalmatolite, which were all found in Biam Temple, Seogwang-am and Yeonhwa Temple located in Yeongi county, Chungnam province as well as neighboring areas (including Jeongan-myeon) in the first half of 1960's. These Buddhist statues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one another in many aspects including material, composition, mode and sculptural techniques, so it is estimated that they had been made by a same group of sculptors. Moreover, 4 pieces of these 7 Buddhist statues still keep epitaphs including sexagenary name, Buddhist sacred image's title and personal name. Historically, it is estimated that the 4 Buddhist statues were such works in the style of Baekjae as made possibly from AD 673 to 689 immediately after the foundation of Unified Silla Dynasty. They reveal a nature of transitional period between 7th and 8th century. In general term, this study called these 7 Buddhist statues as ‘a collection of Yeongi Buddhist statues’ and also referred to preceding studies to review statue designations based on shape characteristics and reexamine composition and mode of statues, so that it sought to examine the nature of these Buddhist statue collection implying both sides, i.e. succession and assimilation.
    First, this study sought to analyze morphologic characteristics found in the collection of Yeongi Buddhist statues, so that it could categorize the 7 statues with mingled designations among one another by their shapes and propose re-considering designation of each Buddhist statue. And it sought to define ‘Bisang / Bei Xiang / Hizo (碑像: Buddhist stele)’ in Korean / Chinese / Japanese language and analyze morphologic characteristics of Bisang reflected on each statue imag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4 of 7 Buddhist statues (including ‘Gyeyumyeong Jeonssi Amita Guzonbulbisang’) fall under the category of stele, while remaining 3 statues don't fall under the category of stele.
    The collection of Yeongi Buddhist statues reflects historical settings of the late 7th century in Korea from perspectives of composition and mode characteristics. In the aspect of composition, it is most noteworthy that they are expressions of various compositions including artistic embodiment of Amitabha's Pure Land. Such expressions of Amitabha's Pure Land were widely popularized across Northeast Asia (China, Korea and Japan) from 7th century to the early half of 8th century. The compositions expressed in the collection of Yeongi Buddhist statues are full reflections of contemporary compositional trends during the period. Also, they reveal cultural influence of Chinese Tang Dynasty's sculptural modes as newly embraced on the basis of ancient Baekjae's styles. In particular, ‘Gyeyumyeong Jeonssi Amita Guzonbulbisang (AD 673)’ and ‘Gyeyumyeong Cheonbulbisang (AD 673)’ become a model of composition and mode for the collection of Yeongi Buddhist statues. Follow-up statues sculpted came to gradually assimilate contemporary modes of Tang Dynasty on the basis of their ancestral models on the way to emerging fashions of Unified Silla Dynasty. This change implies that the collection of Yeongi Buddhist statues revealed original identity of ‘Baekjae’ on the adopted framework of ancient Baekjae's mode, but responded sensitively to their contemporary cultural mainstreams.
    Notably, the collection of Yeongi Buddhist statues shows that their inscriptions of Baekjae Dynasty's top official rank (‘Dalsol’) and influential people's name suggest a possibility that this group of sculptural workers who were former subjects of Baekjae Dynasty might have intentions to revive the ancient Baekjae's styles through these statues. And it is estimated that the fact that agalmatolite statutes - as a sign of influences from the mode of Chinese Shantung in the 6th century - were frequently sculpted during the period of Baekjae Dynasty could have influences on modal specialty found in collection of Yeongi Buddhist statues.
    Summing up, it is concluded that the collection of Yeongi Buddhist statues was the first artworks based on ancient Baekjae styles inherited by the last people of Baekjae Dynasty during the period of Unified Silla, and suggest a modal turning point from the late 7th century to early 8th century - as a period of sociopolitical and ideological transition in ancient Korean peninsul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악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