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군가산점제 재도입의 헌법적 문제 (Constitutional Review on Reintroduction of the Veterans' Extra Point System)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12.02
25P 미리보기
군가산점제 재도입의 헌법적 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교공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공법학연구 / 13권 / 1호 / 67 ~ 91페이지
    · 저자명 : 정연주

    초록

    최근 일련의 안보위기사태로 인해 군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군복무에 대한 보상 차원에서의 군가산점제의 재도입문제가 강하게 대두되고 있다. 1999년 구 제대군인지원에 관한 법률상의 군가산점제가 1999년 헌법재판소에서 위헌결정을 받아 폐지된 이후 국회는 2008년 가산점을 2.5% 이내로 규정하는 등 예전에 비해 혜택의 폭을 크게 줄이는 내용의 명역법 개정안을 국방위원회에서 통과시킨 바 있다. 그러나 여성계 등의 반대로 최종적으로 법안이 확정되지 못한 상태다. 이처럼 제대군인가산점제의 재도입을 위한 법률개정 내지 입법안에 대하여 다양한 의견이 개진되고 있다.
    우리의 안보현실에 비추어 특히 남북이 분단된 현실을 감안할 때 군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반면 현재 떨어진 군의 사기와 열악한 복무환경, 군전역 후 사회복귀시의 어려움, 특히 사회에 만연한 군기피풍조를 고려한다면 군의 사기와 자부심 진작 및 군복무에 대한 어떠한 형태의 보상은 절대로 필요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그 보상 방법의 하나로서 취업시의 군가산점제도는 나름대로의 의미와 기능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개정안에 따른 군가산점제는 헌재가 지적한 위헌의 소지를 없애는 등 구법과는 상당히 다른 내용을 담고 있다. 결론적으로 개정안에 따른 군가산점제는 평등의 원칙과 비례의 원칙 및 공무담임권을 위헌적으로 침해하는 것으로 볼 수 없어 합헌이라고 하겠다. 그러나 그렇다고 하여 군가산점제가 소기의 목적달성을 위한 충분하고 효율적인 바람직한 제도라고 하는 것은 아니다. 그야 말로 목적달성을 위한 최소한의 소극적·부분적·상징적 제도일 뿐이다. 이제라도 국가는 군가산점제와 더불어 제대군인에 대하여 보편적이면서 정당하고 합리적인 보상체계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그러한 군가산점제의 보완 내지 대안책으로서는 제대군인을 위한 취업지원센터의 운영, 학자금 장기 저금리융자의 법제화, 민간기업에서 군경력인정의 법제화, 국민연금 군복무기간 반영 등 국민연금혜택의 확대, 세금혜택 및 의료보험 할인적용, 다양한 사회적응훈련제공, 병 급여의 현실화, 제대 후 일정기간 실업수당지급 등이 거론되고 있다.

    영어초록

    In December 23, 1999, the Constitutional Court ruled in the constitutional complaint against article 8 (1) of the support for discharged soldiers act that the act is unconstitutional, because the veterans' extra point system according to the act violates women and handicapped's rights to equality under the strict standard, and because the system violates women and the handicapped's rights to hold public offices. After that the veterans' extra point system was abolished.
    As is generally known, the goal of the veterans' extra point system is to restore the rights and interests that they were deprived of in being forced into the military duties and to keep the full-duty soldiers' morale up, thereby maintaining a stable national defense capability. Soldiers must forego education, career, job opportunities, and even an opportunity to prepare themselves for jobs during their service. Restoring their personal loss and assisting them in prompt readjustment into the general society is consistent with fairness in relation to those who did not perform military duties. Mechanical equal treatment of those who served in the military and those who did not and subjecting them to competition constitutes a fundamental restriction on the first group's right to hold public offices and choose their occupations, and violates the principle of substantive equality.
    Amid recent military crises, however, the reintroduction of the veterans' extra point system is being tried by the Ministry of Defense and by the lawmakers. There are diverse pros and cons about the draft of the new veterans' extra point system. According to the new draft the contents and degrees of the veterans' extra point are considerably relaxed and restricted in comparison with the old system. Unlike the old one that was decided as unconstitutional by the Court, the new draft, therefore, can be justified and decided as constitutional, because the new one does not contravene the non-veterans’ right of equality under a relaxed standard, because it does not violate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and because it does not infringe on the non-veterans’ right to hold public offi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