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 중기 궁주 책봉제의 시행과 정착 (The Implementation and Settlement of the Gungju Installation System in Middle Goryeo)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23.12
44P 미리보기
고려 중기 궁주 책봉제의 시행과 정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학연구 / 152호 / 49 ~ 92페이지
    · 저자명 : 신혜영

    초록

    본고는 고려시대 궁주 책봉제를 전론으로 다룬 글로, 궁주 책봉제가 인종대 처음 시행되어 의종 연간 이후 정착하였음을 밝혔다. 기존 연구에서 고려의 궁주 칭호는 ‘책봉’을 받거나 ‘국왕으로부터 수여 받는 칭호’로 이해하였지만, 실제로 궁주 책봉제의 실상을 고찰한 연구는 부재하다. 본고는 이러한 기존 연구의 공백을 채우고자 궁주 책봉제가 언제 그리고 왜 시행 및 정착되었는지 살펴보았다.
    고려에서 궁주 칭호는 현종대 본격적으로 등장한 칭호로, 고려 전기만 해도 궁주 책봉제가 시행되었다고 볼만한 직접적인 근거는 없다. 하지만 인종 4년(1126)에 확인되는 최초의 궁주 책봉 기록, 「후비전」에서 궁주 칭호를 소개할 때 사용되는 술어가 인종 연간을 기점으로 ‘稱·號’字에서 ‘冊·封’字로 변화하는 경향성, 후비 책문 등을 두루 검토한 결과 인종 연간에 궁주 책봉제가 처음 시행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인종대 궁주 책봉제가 시행된 이유는 당시의 정치적 상황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이자겸은 자신의 권력 유지를 위해 자신의 딸을 연이어 국왕에게 납비시켰으나 당시 여론은 부정적이었다. 그러므로 이자겸은 자신의 딸이 국왕의 적격한 후비이자 당시 왕실 여성 가운데 최고 지위에 있는 여성임을 강조하기 위해 연덕궁의 위상을 활용하여 연덕궁주로의 책봉을 거행한 것으로 이해하였다.
    궁주 책봉제는 의종 연간 이후에 하나의 제도로 고려 사회에 정착하였다. 인종대 공예태후 임씨의 경우 궁주 책봉 기록이 확인되지 않지만, 의종∼원종대 후비는 모두 궁주로 책봉되었으며 또한 충렬왕비 정신부주 왕씨마저도 충렬왕 즉위 초에 정화궁주로 책봉 사실이 확인된다. 다시 말해 궁주 책봉제는 12세기 초 처음 시행되어 12·13세기에만 존재했던 책봉제였다. 이 시기는 정치적으로는 무신정권이 성립되었고, 사회경제적으로는 백성의 유망, 자연재해, 전염병 발생 등이 발생하였던 시기였다. 이러한 시대적 분위기로부터 영향을 받아 후비 궁원 역시 점차 하사 대상이 축소되고 또 후비 궁원을 하사하는 시기도 늦어지기 시작하였다. 결과적으로 후비 가운데 궁원을 하사받을 수 있는 후비는 최고 지위에 있었던 왕비로 한정되었다. 그러므로 이 시기의 궁주는 이전 시기보다 한층 더 후비의 실질적인 위상을 내포하는 칭호로 변화하였다. 이에 궁주 책봉제가 줄곧 시행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discussed Goryeo’s Gungju installation system. The system was first implemented during the reign of King Injong and settled down since King Uijong. The academic world was early to understand Gungju as a “title following an installation or presented by the king” in Goryeo, but there have been no studies on the reality of the Gungju installation system. Trying to fill this gap i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investigated when and why the Gungju installation system was implemented and further institutionalized.
    In Goryeo, the Gungju title first appeared in the first year(1010) of King Hyeonjong’s reign. There were no direct grounds to verify that the Gungju installation system was implemented in the first half of Goryeo. In Hubijeon, which contains the first record of Gungju installation in the fourth year(1126) of King Injong’s reign, a tendency of predicates used to introduce the Gungju title appears from ‘稱·號’字 to ‘冊·封’字 during the reign of King Injong. In addition to these records, the study also reviewed the seven remaining Hubi Chaekmuns comprehensively and found that the Gungju installation system was first implemented during the reign of King Injong. In Goryeo, the implementation of the Gungju installation system seems to have derived from the unique political situation of those days. As it is well-known, Lee Ja-gyeom exercised powerful authority as King Injong’s maternal grandfather during the early days of his reign. Lee ensured the consecutive Nabi of his daughters to maintain his power, but the public opinion was negative. He thus had his daughter installed as Yeondeok Gungju based on the status of Yeondeokgung to emphasize that she was the legitimate Hubi of the King and further establish her as the king’s legitimate wife.
    The Gungju installation system settled down as a system in Goryeo’s society since King Uijong. All the Hubis from King Uijong to King Wonjong were installed as Gungju. Even Lady Wang, who was Jeongsinbuju of King Chungryeol, was installed as Jeonghwa Gungju during the initial days of his enthronement. The Gungju installation system was first implemented in the early 12th century and existed only in the 12th and 13th century as a Hubi installation system. This period witnessed the appearance of a military regime politically and the occurrence of drifting people, natural disasters, and infectious diseases socially and economically. Under the influence of this atmosphere of the times, changes happened including the gradual reduction of objects to receive a Hubi Gungwon and the postponement of its bestowal. As a result, Hubis eligible for a Gungwon were restricted to queens of the highest status. During this period, therefore, Gungju changed into a title connoting the practical status of a Hubi further than the previous periods. This enabled the continuous implementation of the Gungju installation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