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조의 제왕학과 『御製自省編』 (King Yeongjo’s Study and Eoje-jaseongpyeon(御製自省編))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12.04
29P 미리보기
영조의 제왕학과 『御製自省編』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藏書閣 / 27호 / 234 ~ 262페이지
    · 저자명 : 김문식

    초록

    이 글은 영조가 제왕학 교재로 편찬한 『御製自省編』의 내용과 활용을 검토한 것이다. 『어제자성편』은 1746년에 영조가 유교 경전과 역사서에서 개인의 수양과 국가의정치에 유익한 항목을 간추려 편집한 책이다. 책의 편찬과 교정은 영조의 經筵官들이맡았고, 금속활자인 丁酉字로 인쇄했다. 책의 序文과 跋文은 영조가 직접 작성했으며,內篇에서는 유교 경전을 인용하여 개인의 수양을 이야기했고, 外篇에서는 역사서를인용하여 국가의 정치를 이야기했다. 영조는 이 책에서 書筵과 經筵에서 학습한 서적, 世宗과 肅宗을 비롯한 선왕들의 행적, 자신의 정치적 경험을 바탕으로 후계자에게 가르침이 될 내용을 정리했다. 그는 『小學』, 『歷代君鑑』, 『歷代臣鑑』, 『大學衍義補』같은 서적을 인용했고, 특히 『周禮』와 周官의 제도를 주목했다. 또한 그는 세종의 忌日에 이 책의 서문과 발문을 작성하고, 숙종의 敬天과 愛民을 강조하면서 두 선왕의행적을 계승하겠다고 다짐했다. 『어제자성편』은 원래 思悼世子에게 제왕학을 가르치기 위해 작성한 교재였다. 궁중에서 편안하게 자란 사도세자에게 특별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영조는 사도세자에게 자신이 일상생활에서 절실하게 느낀바를 전수하려 했으며, 사도세자가 사망한 후에는 正祖에게 동일한 기대를 했다. 『어제자성편』은 영조에서 사도세자, 정조에 이르기까지 제왕학 교재로 꾸준히 활용되었다. 영조는 후대의 국왕들이 『어제자성편』을 읽으면서 자신의 행적을 계승하고 자신의 부족한 점을 보완하는 사람이 되어주기를 기대했다. 그는 조선 왕실의 家法을 제대로 계승한 후계자가 나오기를 기다렸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contents and use of Eoje-jaseongpyeon using for King yeongjo's coursebook. Eoje-jaseongpyeon is the book written by King yeongjo in 1746. on the former half of the book, the King said a individual develop quoting Confucian scriptures and he said a national politics quoting Chinese history and Korean history on the latter half. The book edited by king's teacher and printed in metal type. King Yeongjo introduced his studying book and King Sejong and King Sukjong's activities and his political experience on the book. He quoted elementary studies(小學) and Mirror of Succeeding Monarchs(歷代君鑑) and Mirror of Succeeding Vassals(歷代臣鑑) and Supplement to the Great Learning(大學衍義補). He especially stressed on Zhou Rites(周禮) and Zhou dynasty's institution too. He wrote the preface and the epilogue on the anniversary of King Sejong's death and laid stress on King Sukjong's worship of Heaven and love of the people. It means that he was in succession to his former two king's Activities. Eoje-jaseongpyeon was originally the book for Crown Prince Sado's education. King Yeongjo thought the Crown Prince needed a special education because he was brought up in comfortable circumstances within a palace. So the King wanted to deliver the Crown Prince what he keenly experienced in his daily life. After Crown Prince Sado's death, King Yeongjo' expectation moved to King Jeongjo. Eoje-jaseongpyeon was used for King's coursebook from King Yeongjo to King Jeongjo. King Yeongjo expected his successor would strengthen his strength and make up for his weakness after reading Eoje-jaseongpyeon. He wanted to see the successor inheriting the king's family rules we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藏書閣”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