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3의 공간’ 개념으로 본 축제 공간기획 과정 연구 : 제16회 정남진장흥물축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lanning Process of Festival Space based on the Concept of 'third space’ : Focusing on the 16th Jeongnamjin Jangheung Water Festival)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23.12
14P 미리보기
‘제3의 공간’ 개념으로 본 축제 공간기획 과정 연구 : 제16회 정남진장흥물축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콘텐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 23권 / 12호 / 686 ~ 699페이지
    · 저자명 : 이영민, 유동환

    초록

    본 연구는 크리스티안 미쿤다의 저서 『제3의 공간』에서 제시된 스페이스 마케팅 디자인 연출 방법을 검토 조정하여 축제장의 장소기억을 살리는 공간 스토리텔링 모델을 제시한다. 축제 공간은 축제의 내용이라고 할 수 있는 일탈, 진정성, 카타르시스라는 3대 본질가치와 이를 반영한 축제프로그램이 잘 실현되도록 하는 그릇이다. 도시의 장소성을 잘 보존하여 유서 깊은 광장과 건축물을 현재까지 보존한 서구와 달리 일제강점기 이후 급격한 도시화를 겪은 우리의 축제 공간은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런 연유로 ‘운동장 축제장’, ‘아스팔트 축제장’이라는 오명을 쓰게 되었다. 이는 유사한 형태의 무대와 똑같은 몽골텐트 대열, 원도심과 무관한 고립된 축제장, 1년 내내 축제를 즐기는 문화공간의 부재 등 많은 문제점을 드러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형별로 축제장의 장소기억을 되살리는 스토리텔링 측면의 보완 방법을 제시하고자 했다. 또한 공간 스토리텔링이 장소기억을 되살리고, 각 공간이 가지고 있는 장소특성이 축제 주제를 드러내는 콘텐츠로 작동하기를 의도했다. 그리고 감성 공간연출 단계와 축제 공간기획 과정의 대비를 통해 도출한 모델의 실증적인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올해 개최된 여름 축제인 장흥물축제를 중심으로 분석했다. 또한 최종적으로 축제 장소인 탐진강의 장소기억을 살리는 스토리텔링 측면의 보완 방법을 제시하고자 했다.

    영어초록

    This study presents a spatial storytelling model that saves the festival's memory by reviewing and adjusting the space marketing design production method presented in Christian Mikunda's book 『The Third Space』. The festival space is a vessel that ensures that the three essential values of deviation, authenticity, and catharsis, which are the contents of the festival, and the festival programs reflecting them, are well realized. Unlike Western Europe, which has preserved historic squares and buildings by preserving the location of the city well, Korea's festival space, which has undergone rapid urbanization since Japanese colonial era, has many problems. For this reason, the venue for the festival was also stigmatized as a "an athletic field festival site" and an "Asphalt festival site." This revealed many problems, including the same Mongolian tent line as a similar main stage, an isolated festival venue unrelated to the original city center, and the absence of a festival cultural space that enjoys festivals all year round.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present a supplementary method in terms of storytelling to revive the memory of the festival venue by type. In addition, it was intended that spatial storytelling would revive the memory of the place a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pace would work as content that reveals the festival theme. In addition, to verify the empirical applicability of the model derived through the contrast between the emotional space spatial production and the festival space planning process, the analysis focused on the Jeongnamjin Jangheung Water Festival, a summer festival held this year. In addition, it was intended to present a supplementary method in terms of storytelling that saves the memory of the place of Tamjin River, the festival pl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3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