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시대 報祀와 祭行 의미 (Performing Bosa(報祀) ritual in Goryeo Dynas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22.06
32P 미리보기
고려시대 報祀와 祭行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효원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세계 / 61권 / 37 ~ 68페이지
    · 저자명 : 정서윤

    초록

    고려시대 報祀는 국가적 환난의 상황을 극복하거나 평안과 안정적인 세태에 대한 보답의 의미로 행해지는 국가제사로, 특정 목적으로 제사한 후 이를 달성할 시, 감사의 의미로 다시금 행하는 제의를 가리킨다. 글자 그대로 ‘報答의 제사’, ‘報恩의 제사’인 것이다. 보사의 대상신 및 祭場은 대체로 선행된 기복행위의 그것과 같았기에 다양한 사상을 기반으로 祭行되었다.
    고려 보사는 크게 護國과 祈雨의 두 가지 속성으로 분류 가능하다. 고려시대는 이민족의 침입이 끊이지 않았던 탓에 호국성 종교의례가 빈번히 거행되었고, 이에 ‘호국보사’ 역시 제행된다. 外侵·반란 등을 평정한 후 시행되었던 국가 차원의 호국보사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점차 그 모습이 찾아보기 어려워지는데, 이는 와해되어가는 국가의 군 통제력에 기인한 것이었다. 軍制가 분산되어 점차 국가 주도의 軍祭 시행이 어려워졌던 것이다.
    고려시대에는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은 기우 행위가 있었고, 기우보사 역시 빈번히 행해졌다. 고려시대 기우보사는 유교식 祭場인 종묘·사직, 북교·명산대천과 토속신앙처 한강·양진, 그 밖에도 사찰 및 神祠 등 다양한 공간에서 실시되었다. 이들 보사제장은 기우제장와 동일한데, 각 제장에서 순차적으로 기우제를 지내는 가운데 비가 오는 경우 기우제가 시행되었던 모든 제장에서 기우보사가 개설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보사는 祈穀의 차원에서 설행되기도 하였다. 기우보사의 궁극적인 목적이 成農에 대한 보답이었지만, 기곡 후 풍년이 깃든 것에 대해 직접적으로 보사하는 경우도 있었던 것이다. 명종대 종묘에서의 時祭 이후 풍년이 온 것에 감사하며 보사하였는데, 매년 철마다 지내는 시제에 있어서 이 시기에만 유일하게 보사가 동반된 까닭은, 곧 선왕에게 거듭 제사함으로써 집권 무인을 대상으로 국왕의 신성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던 명종의 노력으로 짐작된다. 결국 명종대 기곡보사는 표면상으로 ‘豐農에 대한 보답’의 목적을 위시하지만, 실상으로는 국왕의 정치적 입지 확보를 위한 장치였던 것이다.
    보사는 정례, 비례 할 것 없이 모든 제의에 동반되었는데, 이는 보사가 유교 기반의 제사였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유교에서는 報恩을 기본으로 하는 의례 태도를 중시하였는데, 이러한 유교를 정치 이념으로 삼은 고려에서는 여러 기복행위에 대한 비판이 지속되었다. 결국 성리학 유입 이후 점차 유교 중심주의가 팽배해지며, 유교 이외의 사상적 제의에 대한 비판이 더욱 심해지자, 다양한 제사에 유교식 제사 인식이 드러나는 보사를 동원하여 유교성을 부여하고자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During the Goryeo Dynasty, Bosa(報祀) is a national ritual performed in return for peace and stability, or overcoming the situation of national hardship. When the prayer is fulfilled, the ritual is performed again with gratitude. Literally, it is “the ritual of reward”. Since the god and place of Bosa was generally the same as that of the preceding prayer, it was implemented based on various religion.
    Goryeo Bosa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two attributes: state protection and rain ritual. In the Goryeo Dynasty, religious rituals for patriotism were frequently held due to the constant invasion of the immigrants, and the appearance of “Hogukbosa(護國報祀)” is also often seen. Hogukbosa at the national level is a unique form of Bosa in Goryeo that cannot be found in Joseon. Bosa was performed after the retreat of the enemy in the early Goryeo Dynasty, but it is frequently implemented after the suppression of domestic rebellion during the military regime.
    In the Goryeo Dynasty, there were countless rain making rituals, and “Giubosa(祈雨報祀)” was also frequently performed. Bosa was held in various religious spaces such as royal ancestral shrine, Myeongsandaecheon(名山大川) and local religious sites such as Hangang, Yangjin, temples and shrines. The places of these Bosa are the same as the places of rain making ritual, and it is estimated that the Bosa was opened in all places where the rain ritual was implemented in case of rain after holding a rain ritual sequentially at each place.
    Furthermore, Bosa was also practiced in relation to the desire for a good harvest. The ultimate purpose of the Giubosa was a good harvest, but there was also a Bosa to directly appreciate the good harvest. After the ritual at Jongmyo, King Myeongjong performed Bosa in appreciation of the good harvest. It is presumed that the reason for the Bosa for ancestors only during this period was Myeongjong's effort to emphasize the sanctity of the king for the military ruler. In the end, Myeongjong's Bosa was ostensibly implemented for the purpose of “rewarding for a good harvest”, but in reality, it can be said that it was a device to secure the king's political location.
    Bosa was accompanied by all rituals, which was possible because Bosa was a Confucian-based ritual. Confucianism emphasized the ritual attitude based on reward. In Goryeo, which used Confucianism as a political ideology, other rituals other than Confucian rituals were constantly criticized. In the end, after the introduction of Neo-Confucianism, Confucianism-centeredism prevails in Goryeo, and criticism of religious rituals other than Confucianism intensifies. Therefore, It seems that it was intended to give Confucianism to various religious rituals by Bosa, which reveals the perception of Confucian rituals called “rewar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세계”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