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스크린 상한제 법제화 쟁점 연구 (Study on the Legislation of Screen Cap Polic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25.04
35P 미리보기
스크린 상한제 법제화 쟁점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지털영상학회
    · 수록지 정보 : PREVIEW : 디지털영상학술지 / 22권 / 1호 / 53 ~ 87페이지
    · 저자명 : 노철환

    초록

    1990년대 말부터 코로나19 팬데믹 직전까지 한국 영화관시장은 성장을 거듭 했다. 그 사이 20%대를 넘나들던 한국영화점유율은 50%를 넘어서고, 연간 관객수는 4배 증가했다. 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 등 일명 ‘멀티플렉스 3사’는 한국영화의 질적 향상과 함께 시장성장을 주도했다. 주요 배급사와 밀접히 연 결된 멀티플렉스 3사는 대형 상업영화에 상영자원의 과반을 몰아주는 ‘스크린 독과점’을 종종 사용했다. 이는 천만관객영화를 만들어내는 데 주효한 상영 전 략이었다.
    팬데믹 기간 동안, 넷플릭스가 주도한 OTT 시장은 비약할만한 성장세를 보 였다. 반면 영화관 시장은 이후로도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연간 천만관객 영화 편수에는 큰 변화가 없지만 중소형 흥행영화의 감소가 시장 회복에 치명 적으로 작용하는 형태다. 스크린 독과점의 문제점에 관한 지적은 이미 2010년 대 중반부터 계속되어 왔다. 지난 20대 국회에서도 스크린 독과점을 제한하는 법률안들이 발의된 바 있다.
    본 연구는 크게 세 단계로 진행된다. 먼저 스크린 독과점의 정의와 현황을 시작으로 한계와 문제점을 살펴본다. 이어 스크린 독과점을 제한하는 스크린 상한제 관련 법안들을 소개하고 비교한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스크린 상한제 법제화에 필요한 고려사항을 제언한다. 이는 한국 영화산업의 지속성장을 위한 상영질서 확립과 관련 정책 수립에 기여하기 위함이다.

    영어초록

    From the late 1990s to just before the COVID-19 pandemic, the South Korean movie theater market has been on a growth spurt, with the market share of Korean films exceeding 50% and annual attendance quadrupling from the low 20%s. The so-called “multiplex trio” - CGV, Lotte Cinema, and Megabox - led the market growth, with the quality of Korean films improving. Closely connected to the major distributors, the three Korean multiplexes have utilized a system whereby the majority of screening resources are devoted to a large-scale commercial film. This “screen monopoly” has been instrumental in generating ten-million-audience movi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OTT market, led by Netflix, grew by leaps and bounds. The movie theater market, on the other hand, has struggled. While the number of ten-million-audience movie releases per year hasn't changed much, the decline in small and medium-sized box office films is proving fatal to the market's recovery. The problems of the screen monopoly have been pointed out since the mid-2010s. In the 20 National Assembly, legislation has been proposed to limit screen monopolies.
    This study is organized in three main chapters. It starts with the definition and current status of screen monopoly phenomenon, and then examines their limitations and problems. Then, it introduces and compares screen cap bills to limit screen monopolies. In the final step, it propose considerations for enacting a screen cap law.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a screening order and the introduction of related policies for the sustainable growth of the Korean film indus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PREVIEW : 디지털영상학술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