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통령 결선투표제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Presidential Run-off Syste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12.10
28P 미리보기
대통령 결선투표제에 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법학논고 / 40호 / 159 ~ 186페이지
    · 저자명 : 김정현

    초록

    현행 헌법상 대통령제 선거제도는 상대다수대표제는 채택하고 있다. 후보자 가운데 득표수에서 1위를 한 자가 당선인으로 결정되는 방식이다. 이에 대해서는 국민다수의 지지를 얻지 못해 민주적 정당성이 취약한 대통령을 출현시킨다는 비판이 있다. 그 대안으로 제시되는 것이 결선투표제이다. 결선투표제는 1차 투표에서 과반수를 획득한 자가 없을 경우 2차 투표를 실시해 다수의 지지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대통령의 민주적 정당성을 강화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결선투표제에 대해서도 비판은 존재한다. 결선투표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추가로 소요되고, 결선투표로 당선된 대통령이 민주적 정당성을 남용할 위험이 있다는 것이다. 특히 결선투표를 통해 당선자는 과반수의 지지를 확보하지만, 이는 실제 국민의 지지여부와는 별개의 문제라는 주장도 있다.
    프랑스, 핀란드, 브라질을 비롯한 일부 라틴아메리카 국가에서는 대통령 선거제도로 결선투표제를 채택하고 있다. 이들 국가의 헌정실제를 살펴보면, 다당제 정당구도에 따른 정당간의 연립정치가 보편화되어 있다는 공통적인 특징을 갖고 있다. 대통령선거에서 후보자가 난립한다는 점도 유사하다.
    1987년 이후 한국의 대통령선거결과를 보면, 최근 두 번의 대통령선거였던 2007년 제17대 대통령선거의 당선자 득표율이 48.7%이고, 2002년 제16대 대통령선거의 당선자 득표율이 48.9%에 달한다. 이와 같은 추세가 이어진다면 결선투표제 도입이 큰 의미가 없을 수도 있다. 또한 한국의 정당제는 양극화된 다당제적 성격을 갖고 연립정치가 보편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결선투표제를 채택한 다른 국가와 정치현실에 있어서도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결선투표제의 제도적 장점에도 불구하고, 이를 도입하는 것에 대해서는 신중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Under the current constitution, the presidential election adopts Plurality system. That’s the way the candidate who received the highest polling score is elected.
    This way has been criticized for creating a president who is vulnerable to the democratic legitimacy without support from majority people. For this reason, the runoff system has been proposed as an alternative.
    The runoff system should find its advantage in strengthening the democratic legitimacy of the president. In this system, if no one gains a majority vote in the 1st election, the 2nd one should be conducted to make sure the support of majority.
    However, there’s also an argument on the risk of the runoff system in terms of it causes the additional cost for the election and the president might abuse the democratic legitimacy.
    There’s another allegation. The president gets the majority support through the final vote, but it is another issue to get the actual support of people.
    Some Latin American countries including France, Finland and Brazil adopt the runoff system for their presidential election. Those countries share some traits that coalition of multiparty is more common and presidential election flooded with candidates.
    Looking at the result of presidential election since 1987 in Korea, the polling score of the presidential election of 17t hand 16th was respectively 48.7% and 49.9%. Runoff system might not be meaningfu lin this trend and if It continues.
    Also Korean party system is quite different in political reality from other countries adopting runoff system in terms of that the parties are polarized under multiparty system and a coalition is less common.
    Therefore adopting runoff system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in spite of its institutional advant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