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국 배심제에 대한 법인류학적 고찰 - 과학주의의 관점에서 본 미국 배심제의 논리 - (A Legal Anthropological Analysis of the American Jury: - the Logic of the American Jury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Scientism -)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09.09
41P 미리보기
미국 배심제에 대한 법인류학적 고찰 - 과학주의의 관점에서 본 미국 배심제의 논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서울대학교 법학 / 50권 / 3호 / 337 ~ 377페이지
    · 저자명 : 이재협

    초록

    이 글은 미국 배심제의 태동과 변천을 역사적,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고찰하고자 하는 법인류학적 시도이다. ‘문화적 인식’ 개념을 분석틀로 하여 배심제 관련 규칙들과 담론들의 의미를 살펴본 결과, 미국의 배심제가 미국 사회와 미국인들의 의식 속에 뿌리 깊게 자리잡을 수 있었던 기반에는 공정성이라는 법적 논리와 과학주의라는 문화적 논리의 상호지지가 존재한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배심제의 구체적 규칙들에서 ‘지역사회의 정의’를 표방하는 규범적 가치가 퇴색하고 ‘평결의 정확성’을 추구하는 과학적 가치가 점차 우세하게 된 점, 배심원의 적정 숫자에 대한 판결이나 제도 관련 논의에 사회과학적 시각이 적극적으로 채택된 점, 배심원 선정을 위해 객관화될 수 있는 정교한 절차적 규칙들을 도입한 점, 배심원의 평의 과정에서 주관성이 작용할 여지를 철저히 배제하면서 구조화된 증거와 전문가 증언의 역할을 증대시킨 점 등에서 과학주의라는 문화적 인식이 배심제에 스며들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미국 배심제의 주요 규칙들은 과학주의적 문화가 반영된 결과일 뿐 아니라 동시에 과학주의의 문화를 구성하게 되며, 이러한 과학주의의 문화는 또한 법제도를 통해 지속적으로 정당화되고 강화되는 것이다. 또한 미국에서 배심제가 민주적 보장 장치로서 채택되었지만 배심제의 보다 구체적 규칙들에 스며든 문화적 인식은 참여와 정의보다 정확성과 객관성, 전문성 등이었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의 국민참여재판제도에 대한 향후 연구의 방향에 대해서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미국과는 여러 차원에서 다른 문화적 인식틀을 갖고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우리나라에서 국민참여재판제도가 어떤 문화적 논리에 의해 지지되고 유지될 것인지를 고찰하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연구 대상이 될 것이다. 또한 선진국에서 먼저 받아들인 제도의 목표를 공유한다 하더라도 그 제도의 규칙들이 표방하는 가치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좀 더 심도깊은 고찰이 필요하다는 점을 본 연구는 시사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approaches the American jury system from a legal anthropological perspective. Viewing ‘culture as law’ and ‘law as culture’, American jury system as a legal institution is analyzed as closely inter-wined to the American culture, especially the scientism. It reviews major rules that constitute the modern-day American jury. Then it provides historical contexts in which these rules emerged and how they have transformed over time. As a wide authority the American jury once enjoyed has narrowed, a significant reinterpretation of the fairness of the jury trial has been made based on the scientism. American jury system is a remarkably powerful political institution but at the same time a remarkably enduring cultural institution. The fundamental ideal of jury as peers who render common-sense judgment is still retained in the context of jury nullification. However, in many other areas of jury rules, the concept of justice is reinterpreted and reenforced from the perspective of scientism. The number of jury, elaborate rules and mechanisms utilized in the jury selection process, the control of outside influence during the court procedure all demonstrate the scientific cognitive framework that untainted, controlled information can guarantee fair and independent jury decision-making. Although many criticisms on the jury system have been produced and jury reform is under way in many jurisdictions, the fundamental core principles of the American jury system are intact and the legacy of the American jury will still live 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울대학교 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