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국 혁명기 노예제 담론 (Slavery Discourse in American Revolutionary Period)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18.11
41P 미리보기
미국 혁명기 노예제 담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국사연구 / 48권 / 105 ~ 145페이지
    · 저자명 : 이영효

    초록

    노예제는 1770년대에 최초로 대서양 세계에서 정치적, 도덕적 이슈로 전면에 등장했다. 북미 영국 식민지에서는 영국 왕이 식민지인들을 ‘노예제’의 상태로 전락시키려 한다는 수사가 넘쳐났고, 그와 함께 자유 이념과 노예제 현실의 괴리에 대한 비판의 소리도 높아져갔다. 그런데 노예제 메타포가 광범하게 사용되었다는 것은 진짜 노예제 이슈가 혁명적 담론의 일부가 아니었다는 증거였다. 노예제에 대한 비판이 거세어지자 새뮤얼 애덤스와 같은 애국파 논객들이 취한 전략은 자유보다는 독립의 담론을 더 부각시키고 노예제 이슈는 침묵시키는 것이었다. 또한 혁명 선전가들은 자유의 개념을 미덕과 절제, 용기, 저항의지로 정의하면서 노예들은 자유를 누릴 자질이 부족한 존재임을 암시했다. 즉 노예제 반대는 애국파의 선전 담론에 포함되지 못했고 독립에 수반되는 혁명의 목표가 아니었다. 제퍼슨은 1770년대 말까지 남부 지도자들 중에서 가장 적극적으로 노예무역과 노예제를 비판하는데 앞장섰고 여러 개혁 입법을 시도했지만, 흑인과 백인의 공존이 불가능하다는 신념을 공고히 하면서 해방노예들을 미국 밖에 식민화하는 것을 노예제의 유일한 대안으로 생각했다.
    무엇보다 전쟁의 발발과 급박한 전개 와중에 노예들의 무장을 북돋는 영국과 왕당파의 위협이 현실화되자 노예제는 더 이상 도덕적 사안이 아니라 군사적 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의제로 바뀌었다. 노예들의 대의를 옹호하거나 노예제를 비판하는 것은 친영파로 여겨질 위험을 감수해야 했고, 이러한 전쟁의 상황 논리는 노예제와 혁명 이념 사이의 모순을 해명해야 했던 애국파의 부담을 덜어주었다. 전쟁 기간 동안 혁명지도자들은 노예제를 정치적 의제로 논의하는 것을 미뤄둘 수 있었고, 전쟁에 이긴 후에는 외국 국가들로부터 독립을 승인받음으로써 더 이상 노예제를 변명하거나 그 불가피성을 설득할 필요도 없어졌다. 이제 미국 지도자들은 노예제가 비도덕적인 제도라 하더라도 그 폐지보다는 신생국가의 단합과 정치적 힘을 강화하는 것이 더 중요한 사안이라고 여겼다. 설사 혁명지도자들이 노예제 이슈를 회피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연합정부나 연방정부는 애초에 그 해결에 개입할 법적 권한을 확보하지 못했다. 지도자들은 새 국가가 동등한 지역들의 연합이며 노예제는 연방의 간섭을 받지 않고 유지될 것에 합의했는데, 이 과정에서 노예들의 해방보다는 ‘공적 안전’과 ‘인종적 질서’가 더 중요하다고 봄으로써 혁명의 자유주의 이념과 정치적 해방 이념은 그에 내포된 인종주의적 속성을 여실히 드러냈다.

    영어초록

    Slavery appeared in the Atlantic atmosphere in the 1770’s as a political and moral issue. Revolutionary leaders in America used ‘slavery’ metaphor widely for English oppression and the real slavery in the colonies came under severe attack. As revolutionary ideology developed, patriot propagandists like Samuel Adams responded to that criticism focusing more on independence than on liberty and silencing slavery issue, utilizing the fear of whites on blacks and slaves. They also defined the concept of liberty as virtue, vigilance, courage, and resisting will, and slaves as ones who are deficient of those qualities. Thus antislavery was not included into propaganda discourse of patriots and was not an objective of revolution. Jefferson was active in opposing slave trade and slavery and tried law-making to limit slavery, but he reinforced his belief in the impossibility of black and white co-existence and thought out-of-country colonization of freed slaves as the only alternative for slavery.
    As war broke out and royalists encouraged slaves to revolt with arms, colonists realized that slavery issue was not just moral one but became a military issue. Defending rights of slaves became very risky and it could be recognized as helping enemies in the war. After achieving independence and recognition of foreign countries, revolutionary leaders were relieved from the pressure to explain the paradox between liberty ideology and colonial slavery. Political independence and slavery were detached as separate issues, and it became clear that abolition was not an objective of representatives in constitutional convention. Revolutionary leaders agreed to allow slavery without intervention of federal government, and liberal ideology of revolution unveiled its hidden attribute of racism with emphasis on ‘public safety’ and ‘racial ord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