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환경권과 소음의 제(諸)문제: 층간소음․집회소음․선거운동 소음을 중심으로 (Environmental Rights and Noise Issues: Focusing on Noise Complaints, Noise at Rallies and Protests, and Noise During Election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23.11
28P 미리보기
환경권과 소음의 제(諸)문제: 층간소음․집회소음․선거운동 소음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 / 20권 / 4호 / 285 ~ 312페이지
    · 저자명 : 한상암, 이철호

    초록

    소음(騷音)은 일상생활에서 인간의 정신과 인체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소음은 의학적으로 일시 적·영구적인 난청(難聽)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순환계, 호흡계, 소화계 등에도 영향을 미친다. 수면장애, 작업 능률이나 학습 저하 등 일상생활에 방해가 되며, 짜증과 불쾌감, 스트레스 등 정서적 불안정을 가져올 수 있다. 심할 경우 두통, 위장 장애, 청력 손실 등의 장애가 생긴다. 소음은 소음이클수록, 낮은 음보다는 높은 음일수록, 지속시간이 길수록, 그리고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소리일수록인체에 치명적이다. 헌법 제35조 제1항은 “모든 국민은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권리를 가지며, 국가와 국민은 환경보전을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라고 규정하여 국민의 환경권을 보장함과 동시에 국가와 국민에게 환경보전을 위하여 노력하여야 할 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제2항에서 “환경권의 내용과 행사에 관하여는 법률로 정한다.”라고 규정하여 환경권의 구체적 내용을 법률로써 정하도록 위임하고 있다. 즉 환경정책기본법, 소음진동규제법 등 다양한 법률을 제정하여 소음과 관련한문제를 규율하고 있다. 소음은 물질의 배출에 의한 다른 환경오염과는 다른 특성을 갖는다. 물질에의한 오염이 물이나 대기를 통한 확산이기에 광역적(廣域的)인데 비하여 소음의 전파는 급속히 감소됨으로써 국지적(局地的)인 경우가 많다. 또한 물질오염이 누적되고 장시간 영향을 주는 경우가 많지만, 소음은 에너지가 순간적으로 소멸하면 발생원이 소멸된다는 점에서 일시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한편 층간소음은 일회성이 아닌 지속성(持續性)이라는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 소음으로 인한 사회문제에는 층간소음(neighbor noise complaints), 집회시위현장에서 발생하는 소음, 선거운동과정 에서 발생하는 소음 등 다양하다. 이웃 간 충간소음 갈등은 폭력을 넘어 살인 등의 범죄행위로 이어지고 있다. 층간소음에 대한 보복으로 화장실에서 담배를 피우거나, 저음이 강한 우퍼 스피커를 통하여 복수까지 하다 보니 갈등이 증폭되고 있다. 또한 집회시위 현장이나 선거운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으로 지역주민의 민원이 증가하고 있다. 본고는 헌법상 환경권과 소음관련 법제를 개관하면 서, 층간소음 현황과 그로 인해 발생하는 범죄를 살펴보고, 층간소음 개선방안에 대한 모색이다. 또한 집회시위 현장과 선거운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문제를 고찰해 보았다.

    영어초록

    Noise has various impacts on human mental and physical well-being in daily life. Apart from potentially causing temporary or permanent hearing loss, noise also affects the circulatory, respiratory, and digestive systems. It can disrupt daily routines, leading to sleep disturbances, reduced work performance or learning difficulties, and emotional instability, including irritation, annoyance, and stress. In severe cases, noise may even result in headaches, stomach discomfort, and hearing impairment. The harmful effects of noise are amplified by its intensity, pitch, duration, and frequency of repetition.
    Article 35, Paragraph 1 of the Constitution stipulates that “All citizens have the right to live in a healthy and pleasant environment, and the state and the people shall strive to preserve the environment.” This provision guarantees the environmental rights of citizens and places an obligation on both the state and the people to work towards environmental preservation. Paragraph 2 of the same Article specifies that “the content and exercise of environmental rights shall be determined by law,” delegating the determination of the specific content of environmental rights to legislation. Consequently, various laws, such as the Basic Environmental Policy Act and the Noise and Vibration Control Act, have been enacted to address noise-related issues.
    Noise pollution exhibits distinct characteristics compared to other forms of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substance emissions. While substance-related pollution can have a global impact due to dispersion through water or the atmosphere, noise propagation is often localized due to its rapid dissipation. Additionally, whereas material pollution tends to accumulate and have long-lasting effects, noise possesses a transient nature, with its energy dissipating instantaneously as the source ceases. On the contrary, noise complaints are typically persistent rather than one-time events.
    Numerous societal challenges stem from noise-related issues, including neighbor noise complaints, noise disturbances at rallies and protests, and noise during election campaigns.
    Noise conflicts between neighbors have, in extreme cases, escalated to violence and criminal acts, including murder. In response to noise complaints, individuals sometimes resort to smoking in restrooms or employing bass-heavy woofer speakers as a form of retaliation, further intensifying the conflict. Moreover, local residents increasingly voice concerns about noise generated by rallies and campaign events.
    This paper undertakes an examination of constitutional environmental rights and the legal framework pertaining to noise-related matters. It assesses the current status of neighbor noise complaints and the criminal activities that may ensue as a result, while also exploring potential strategies for addressing such complaints. Additionally, this study delves into the legal complexities surrounding noise at rallies and during election campaig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치안행정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