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주의 저가발행으로 인한 이사의 임무 위배 문제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A Comparative Study of The Problem of Director’s Breach of Duty In Issuing Shares at Low Price)

5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15.02
51P 미리보기
신주의 저가발행으로 인한 이사의 임무 위배 문제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강원법학 / 44권 / 703 ~ 753페이지
    · 저자명 : 정봉진

    초록

    우리 회사법 역사상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1996년의 소위 삼성에버랜드 사건은 비상장회사인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가 전환가격을 삼성에버랜드 주식의 시가에 훨씬 못 미치는 가액으로 정하여 전환사채를 발행한 후 대부분의 기존 주주들이 실권하자 그 실권주를 삼성에버랜드 지배주주의 상속인들에게 인수시킨 사건이었다. 시민단체가 삼성에버랜드 이사들을 배임죄로 형사 고발하면서부터 시작된 이 사건은 원래 형사사건이었으나 배임죄에서 임무 위배 여부의 판단은 결국 회사법에 근거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상법 제399조의 이사의 회사에 대한 손해배상책임 사건으로 볼 수 있다. 이 사건에서 대법원은 시가보다 현저하게 낮은 가격에 신주를 발행하더라도, 주주배정의 경우에는 회사에 손해가 발생하지 아니하고 이사의 임무위배도 인정되지 않지만 제3자 배정의 경우에는 회사에 손해가 발생하고 이사의 임무위배도 인정된다고 하면서, 삼성에버랜드 사건의 경우 대량의 실권주가 발생하였더라도 주주들에게 신주 인수권 행사의 기회를 주었기 때문에 주주배정에 해당하고 따라서 신주를 저가 발행하더라도 회사에 손해가 없고 이사의 임무위배도 성립되지 않는다고 판시하였다. 그러나 신주인수권 제도는 주주의 이익을 보호하기에 대단히 불충분한 제도이다. 신주를 저가로 발행하면 주주들에게 신주 인수권을 부여하고 주주배정 방식으로 발행하였더라도 모든 주주가 지분비율에 따라 신주를 인수하지 않는 한 기존 주주의 이익은 여전히 침해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이사는 공정한 가격으로 신주를 발행하여 회사와 주주의 이익을 극대화해야 할 주의의무를 부담하고, 실권주의 처분에 있어서도 주주들의 지분 가치가 희석되지 않도록 해야 할 의무가 있다. 그러므로 이사가 아무런 경영상 목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실권주를 저가로 처분하였다면 회사의 손해 발생과 이사의 임무위배가 인정된다고 보아야 한다. 결국 주주배정과 제3자 배정은 이사의 임무위배를 판단함에 있어 의미있는 구분이 될 수 없다. 미국에서는 신주인수권을 “달리 정당한 사업목적이 없는 경우에는 주주가 자신의 주식가치가 희석될 염려를 하지 않고 신주의 인수를 포기할 수 있는 권리”라고 정의하고 있다. 그리하여 미국에서는 기존 주주가 신주 인수권 행사의 기회를 부여받았고 주주 중 일부가 실권하였다면 신주 발행가격이 공정가격보다 현저하게 낮을 경우, 실권 주주는 주식 가치의 희석화에 근거하여 이사의 성실의무 (fiduciary duty) 위반 책임을 물을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따라서 삼성에버랜드 사건에서도 비록 주주 배정을 한 것으로 해석하더라도 이사는 신주의 저가발행으로 인하여 시가와 발행가격과의 차액에 발행주식수를 곱하여 산출한 액수만큼 회사의 재산을 증가시키지 못하는 손해를 회사에 초래하였으며, 그 결과 이사의 임무 위배도 인정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한편, 미국에서는 주주의 소송이 직접 소송인가 아니면 대표 소송인가의 구별을 둘러싸고 오랫동안 견해가 대립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2004년에 이르러 미국 Delaware 주 대법원의 Tooley 판결에 의하여 그 구별 기준이 확립되었다. Tooley 기준에 의하면, 직접 소송인지 또는 대표 소송인지의 판단은 “오직 (1) 누가 손해를 입었는가(회사인가 아니면 개별 주주인가); 그리고 (2) 누가 손해 회복의 이익을 받는가(회사인가 아니면 개별 주주인가) 하는 질문에 따라 행해야 한다”고 하고 있다. Tooley 법원의 표현에 따르면, 첫 번째 기준 (즉, 누가 손해를 입었는가)을 적용함에 있어서 유용한 접근 방법은 “원고가 회사의 손해를 입증하지 않고도 승소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는가”를 질문하는 것이다. 삼성에버랜드 사건에서도 개별 주주의 지분 가치 하락의 손해는 회사의 자산이 증가하지 않은 소위 소극적 손해를 입었음을 먼저 입증하지 않고는 입증할 수 없다. 따라서 개별 주주가 아니라 삼성에버랜드 회사에 손해가 발생하였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겠다.

    영어초록

    The so-called Samsung Everland Case decided by the Korean Supreme Court in 1996 is the case where Samsun Everland Corporation (hereinafter called as “Everland”), a privately held corporation belonging to the Samsung Group, issued convertible bonds at the price much lower than their current price and sold the convertible bonds not subscribed by its shareholders to the heirs of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of the Samsung Group. The Everland Case began when a civil activist group pressed criminal charges against the directors of Everland for their alleged breach of fiduciary duty, claiming that the directors of Everland issued the convertible bonds to the heirs of the controlling shareholder of the Samsung Group at a very cheap price in order to transfer the controlling power over the Everland to the heirs of Samsung Group. This case was originally a criminal case, but since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directors had breached the fiduciary duty under the criminal law or not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rporation Law, the case was in reality one of the Commercial Law cases. In this case, the Korean Supreme Court decided that directors do not breach the fiduciary duty against the corporation if the equity securities are issued to the existing shareholders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their shares and sells the unsubscribed shares to a third party at any price. The Court held that the fact that almost all the shareholders waived their preemptive right and the issuing price was extremely lower than the fair price do not matter in determining directors' liability. According the Court, all that is required for preventing directors from being liable is simply allowing existing shareholders an opportunity to subscribe to the new shares. This paper reviews, from the comparative law point of view, the key issues addressed in the Everland case such as ① the problem of whether the Everland's directors breached the duty of fiduciary when they offered the unsubscribed shares to the heirs of the Samsung Group at a unfair price; and ② the problem of who incurred the damages as a result of issuing shares at low price, Everland or sharehold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원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