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헤겔과 노예제 (Hegel and Slave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18.10
23P 미리보기
헤겔과 노예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새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논총 / 94권 / 4호 / 519 ~ 541페이지
    · 저자명 : 허재훈

    초록

    헤겔의 주인과 노예의 변증법은 근대성의 양면성과 현대사회의 이념적 모델을 파악하는데 핵심적인 요소다. 여기서 헤겔이 노예제를 인지하고 그것을 자신의 철학적 구도에 어떻게 수용했으며, 어떻게 관념적으로 재구성했느냐 하는 점은 무수한 논의의 대상이다. 헤겔은 당시의 다른 철학자들과 마찬가지로 계몽주의와 노예제의 공존에서 혼란을 느꼈으며 이를 구체적으로 파악하려고 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에서 헤겔은 ‘자유’의 문제를 전면적으로 제기하게 되었으며, 자유의 변증법을 전개함으로써 프랑스 혁명과 계몽주의 전반을 성찰하는 ‘정신’의 변증법을 구상하게 되었다. 주인과 노예의 변증법이 은유를 넘어선 현실적 의미를 획득하게 된 것도 이러한 과정 때문이었다.
    주인과 노예의 상호인정의 투쟁은 ‘시민사회’에서 원자적 개인이 무한 경쟁을 통해 자신들의 욕망을 실현하려고 하는 데서 비롯된다. 시민사회의 욕망은 생존하고자 하는 자기유지의 본성에 따라 이루어짐으로써 목숨을 건 투쟁에 이르게 되고, 이를 통해 지배와 예속의 관계가 정립된다. 주인의 지위를 차지한 욕망은 권력욕망 또는 순수욕망의 실현으로, 노예의 지위를 차지한 욕망은 노동욕망 또는 간접욕망(매개된 욕망)의 실현으로 귀결되었다. 이 두 가지 욕망이 근대성의 틀을 유지하는 기본 개념인 셈이다. 이때 주인은 추상적 체계의 원형으로 기능하고, 노예는 근대적 개인의 원형으로서 노동하는 개인의 표상이 된다. 특히 노예는 노동욕망을 가진 개인으로서 생의 자기유지를 위해 불가피한 생산활동과 생산체계에 자의적으로나 타의적으로 편입됨으로써 현대 사회의 대중을 이루게 되었다. 이러한 원형적 개인이 프로테스탄티즘을 내면화하면 비로소 자본주의적 개인이 등장하게 된다.
    헤겔이 말하는 ‘시민사회’의 욕망의 무한경쟁은 바로 부르주아의 무한경쟁을 말한다. 이는 소유하는 개인의 자유라는 근대성의 인간형을 모델화한 것이다. 여기에 헤겔은 노동하는 개인을 덧붙여 욕망과 노동의 근대적 개인을 완성한다. 욕망과 노동은 상호보완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각자의 정신에서 발생하는, 동일성과 비동일성, 또는 동일성과 차이의 동일성을 말한다. 우리가 자본주의적 개인이라 말하는 이념적 존재는 바로 추상적 체계를 대변하는 주인의 의식이겠다. 그러나 구체성을 상실한 추상성의 전개는 윤리적 상황을 비롯한 철학적 상황을 추상성 일변도로 만들었다. 물론 헤겔도 추상성에 대한 전면적인 반성 체계로 주인과 노예의 변증법을 전개했으나 근본적으로는 구체적 추상성이라는 ‘추상적’ 수준에 머물렀다. 이는 헤겔의 윤리학과 인륜성의 전개에서 뚜렷하게 전개된다.
    또한 세계사의 도정을 역사철학적으로 단절/분절시켜 이해하는 것 또한 계몽의 특징이다. 헤겔이 직접 시도한 ‘철학사’ 강의 또한 서구 중심주의의 산물이며 계몽주의 시기의 산물이다. 철학사 서술에서 그리스 철학을 호출한 것도 이러한 보편주의의 요청 때문이었다. 말하자면 헤겔은 구체와 추상을 통일하는 변증법적 과정을 제시했지만 철학적 관성에 따른 추상성의 요구로 인해 다시 서구 일변도의 근대성과 추상성으로 빠져버렸다. 헤겔 사유의 추상성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 식민성과 노예제의 현대적 의미를 다시 살펴보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인륜성을 인식론적 견지가 아니라 존재론적 견지에서 다룬다고 하더라도 추상성의 윤리학의 범주를 넘어설 수 없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Hegel's dialectics of Master and Slave is the key to understand the duality of modernity and the model of contemporary society. The opinions of Hegel's recognition of the slavery and its reflection in his philosophical system are received with various views. Hegel seems to grasp the point that he confudled at the coexistence of enlightenment and slavery. Hegel's concept of freedom was due to this circumstances, which reached the consideration of the french revolution and enlightenment in general. This renders Hegels' Master-slave dialectics to the actual meaning.
    The struggle between master and slave started with fulfilling individual's desire through limitless competition in civil society. The desire of civil society is concluded in the struggle at the risk of individual's life, and consequently the relation of domination and subordination. The desire of master is revealed as the desire for power or the pure desire. At this moment the master functioned as the original form of abstract system. The desire of slave is revealed as the desire for labour or the mediated desire. At the same time the slave as the original form of modern individuality is represented as the labour individual. In particular, the desire of slave runs into the masses in the modern society, being included in productive activity and productive system and internalized the protestantism.
    The limitless competition of desire in the civil society and the labouring individual comes from modeling modern human being as individual's freedom. This ideal model represents the capitalistic individual, which is nothing but the master's consciousness representing an abstract system. A concreteness lost on a abstractness brings the philosophical situation to be absolutely abstract. Although Hegel developed the master-slave dialectics in overall reflections on the abstractness, he remained an ‘abstract’ level of concrete abstractness. As a result, his theory of ethics and sittlichkeit brings to a conclusion that the abstractness-based universalism reaches a very determined racism. Hegel exposed a dialectical process uniting the concrete and the abstract, but has degenerated into a europe-centered modernity. Under critical investigating the abstracness of his theory, a meaning of slavery and coloniality has to be reconsider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