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연자원의 집합적[또는 공동체적] 관리와 총유제(總有制) (Collective[or Communal] Management of Natural Resources and Collective[or Communal] Ownership)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17.06
33P 미리보기
자연자원의 집합적[또는 공동체적] 관리와 총유제(總有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환경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ECO / 21권 / 1호 / 7 ~ 39페이지
    · 저자명 : 박태현, 이병천

    초록

    하딘은 커먼즈로 불리는 공동자원의 비극이 결국 자원의 장기지속적 보전이라는 관점에서 개별이익이 조정되지 않는데서 비롯된 현상이라고 보며, 공동자원의 보전이라는 공통이익을 유지하기 위하여 국가의 강제적 조정, 관리의필요성을 역설하였다. 하지만 자연자원을 집단적으로 이용하는 사람들에 의해 해당 자원이 장기지속적으로 보전·유지되는 수많은 실증사례가 오스트롬을 비롯한 다수 학자들에 의해 체계적으로 연구되면서, 국가가 아니라 해당자연자원에 직접 연결된 공동체에 의하여 자연자원이 효과적으로 관리될 수있음이 확인되었다.
    한국 민법전은 총유규정을 두고 있다. 이 규정에 따르면 다수가 물건[또는권리]를 집합체로서 소유하는 경우를 총유[또는 준 총유]로 보며, 총유의 경우물건등의 관리처분은 집합체에, 사용수익은 개별성원에게 분속하는 것으로규정하고 있다. 총유는 개별이익의 상위조정주체로 개별 성원들과 유기적으로 결합된 집합체[또는 공동체]를 상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오스트롬이 관찰한자원의 집합적 관리형태와 유사와 형태를 띠고 있다. 그렇다면, 자연자원의지속가능한 보전을 위한 법체계의 구축에 총유제[또는 총유론적 사고]가 일정한 이론적 또는 제도적 기여를 할 수 있지 않을까. 필자들은 일단 판례를 통해총유의 기본적 기능 두 가지를 확인하였다. 첫째, 총유가 각 성원의 물건등의개별이용을 인정하는 한편, 집합적 의사결정을 통해 개별이용을 조정함으로써 성원 전체의 공통이익을 보존·유지한다. 둘째, 물건등의 총유적 귀속은 각성원이 소속감을 유지하기 위한 물적 기반이자 대표등의 불법/부당 처분이라는 일탈행위에 대항하는 법적기초로 작용한다. 필자들은 제주의 콩팥이자 허파로 생태경관자연의 보고이자 최대지하수함양지인 공동목장의 활용을 통한자연의 보전 사례로부터 자연의 집합적[공동체적] 관리에 있어 총유제의 기여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다수 이해관계자들 간의 개별이익의 상호조정을 통해 공통이익을 유지한다는 총유론적 사고는 이른바 젠트리피케이션의문제의 해결에서도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언급하며 향후 연구과제로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Hardin’s tragedy of the commons is phenomenon stemming from the fact that a myriadof individual uses of natural resources were not controlled and accommodated to thelong- term preservation by a higher authoritative entity. As its consequential logic, coerciveactions by state are necessitated and justified for the conservation of natural resources.
    Elinor ostrom and other commons scholars, however, have studied a great number of casesexamplifying that natural resources were aptly being conserved by certain groups the resourcescollectively, which led related scholars to a perception of the possibility that naturalresource could be used at the sustainable level by an collectivel[or communal] entity connectedto the resources.
    There exists collective[or communal] ownership as a type of co-owneship in civil-lawsystem of korea, under which the right of use is exhorted by individual users respectivelywhile the powers of resources management and disposal are ascribed to the collective[orcommunal] entity consisting of the users.
    Collective[or Communal] ownership would be expected to make contributions to theestablishment of legal systems that could empower the upper entity to control the individualuse with no consideration of conservation toward the furtherance of a common[acollective or communal] interest in the form of sustainable conservation of naturalresour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ECO”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5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