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저인지(低認知) 과학저널리즘과 관행적 뉴스 담론 : 포항지진과 지열발전에 대한 보도를 중심으로 (Hypocognitive Science Journalism and Conventional News Discourse : Focusing on the Reports of the Pohang Earthquake and Geothermal Energy)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23.12
42P 미리보기
저인지(低認知) 과학저널리즘과 관행적 뉴스 담론 : 포항지진과 지열발전에 대한 보도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언론학보 / 67권 / 6호 / 256 ~ 297페이지
    · 저자명 : 주재원, 김창욱

    초록

    2017년 11월 15일, 포항에서 지열발전소의 물주입에 의한 촉발 지진으로 진도 5.4의 지진이 발생했다. 포항지진 이전 한국사회는 지열발전소가 지진을 촉발할 수 있다는 위험성에 대해 심각하게 인지하지 못했다. 이 연구는 지열발전에 관한 한국 사회의 위험인지 부재를 ‘저인지(低認知, Hypocognition)’로 명명하고, 이 현상과 한국언론의 지열발전에 대한 관행적 뉴스 담론의 관계를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1957년 7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총 7개 주요 언론사들 - <경향신문>, <국민일보>, <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매일경제> - 의 기사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한국언론은 지열발전에 대한 논의가 장시간 지속적으로 축적되어 이루어지기보다, 지진이라는 센세이셔널한 이벤트를 중심으로 생산되는 과학저널리즘의 ‘사건 기사화’ 양상을 띄고 있었다. 또한 한국 과학저널리즘의 문제로 지적되어온 받아쓰기 보도 관행, 전문성을 결여한 과학저널리즘, 그리고 정파성에 근거한 보도 관행 역시 발견되었다. 이러한 관행적 뉴스담론은 지열발전이라는 과학기술에 대해 균형 잡힌 정보를 공중에게 제공하지 못했고, 이로 인해 지열발전에 대한 사회적 담론은 거의 부재했다. 이러한 분석에 따라 본 연구는 지열발전에 대한 한국의 과학저널리즘에는 ‘과학’도 ‘저널리즘’도 부재하다는 사실을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A magnitude 5.4 earthquake triggered by a geothermal power plant occurred in Pohang city, South Korea in 2017. Before the earthquake, Pohang and Korean society were unaware of the risks associated with geothermal energy. Based on the concept of ‘hypocognition’,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is lack of risk perception at the social level and the conventional news discourse on geothermal energy in the Korean news media. This study analyzes news articles from seven major newspapers from July 1957 to December 2019 and shows that the Korean news media tends to report on geothermal energy by focusing on sensational events such as earthquakes rather than continuously discussing geothermal energy for a long period. Using a combination of media news frame analysis and critical discourse analysis, it is demonstrated that, prior to the Pohang earthquake, Korean media coverage on geothermal energy consisted of: 1) economic effectiveness of geothermal power as an alternative energy source (economy frame), 2)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advantages of geothermal power and differences from existing energy sources (science and technology frame), 3)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of geothermal energy (environment frame), and 4) the way to develop geothermal power from an energy policy perspective (politics frame). However, after the Pohang earthquake, the Korean media's news frame on geothermal energy shifted toward the cause of the earthquake triggered by the geothermal power plant (science and technology frame), compensation for earthquake damages to citizens, and the controversy over who was responsible for the earthquake (politics frame). Due to this news frame shift, news reports emphasizing the economic benefits of geothermal energy as an alternative energy source, as well as its eco-friendliness, are decreasing. To put it simply, the Korean media discourse on geothermal energy changed from ‘geothermal energy as economic and eco-friendly science and technology’ to ‘geothermal energy as a problematic science technology that causes earthquakes and creates a political dispute regarding who is responsible for the earthquake’ before and after the Pohang earthquake. It is noteworthy that, prior to and even after the earthquake, media reports regarding geothermal energy still rarely include frames on ‘morality/ethics’, ‘scientific/technical uncertainty’, and ‘uncontrollability’ that can arise when certain sciences and technologies are introduced socially. It is doubtful that geothermal power plants could have been installed so easily in regions susceptible to earthquakes if these aspects of social discussion existed in the media frame. Accordingly, Korean society was in a ‘hypocognition’ state, in which the absence of systems of frames relating to the potential problems associated with geothermal energy, and the insufficient and biased reporting of geothermal energy by the Korean media, contributed greatly to this social hypocognition. In addition, this study illustrates that chronic journalistic malpractices in Korean science journalism, including ‘He said/She said journalism’, ‘science journalism lacking professionalism’, and ‘partisan reporting practices’, are also prevalent in geothermal energy reports. By analyzing media discourse as well as journalistic practices on reporting geothermal power, this research ultimately argues that there was neither ‘science’ nor ‘journalism’ in Korean science journal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언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