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18세기 조선맹자학의 동아시아적 지평-정전제 논의를 중심으로- (East Asian Prospect of the Mencius Studiesin Joseon in the 17th-18th-Focusing on Discussion of the Jeongjoen-je(井田制)-)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22.04
32P 미리보기
17-18세기 조선맹자학의 동아시아적 지평-정전제 논의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문학연구 / 84호 / 191 ~ 222페이지
    · 저자명 : 함영대

    초록

    이 글은 17-18세기 당대 동아시아의 지평에서 조선 맹자학의 특징적인 국면을 살펴보려는 시도이다. 맹자가 주장한 정치경제론의 중요한 논점을 이루는 「등문공상」 3장의 ‘井田制 논의’가 그 관찰 대상이다.
    토지를 나누어 주는 문제를 좀 더 구체적으로 논한 정전제 논의는 ‘어진 정치는 경계를 바로잡는 데서부터 시작한다’는 입장을 명확하게 견지했다. 그 때문에 이후 유교의 이상국가를 건설하는 데 요청되는 최소한의 경제적인 토대를 구축하고자 하는 의식있는 경세가들에 의해 정전제는 꾸준히 호출되며 그 실현가능성이 검토되었다. 개인의 도덕수양이 아니라 국가를 다스리는 기본방략의 차원에서 논의되기 때문에 수기치인의 국면, 곧 경세적 실천인 治人의 맥락에서 이 논점은 그의 경전읽기가 얼마나 경세적 실천의 지향을 지니고 있는가에 대한 점검에 요긴하게 활용될 수 있다. 정전제 논의에서 조선의 儒者들은 당대 동아시아의 지평에서도 그 문제의식의 심각성, 논의의 치밀함, 경세적 방략과의 연결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보여주었다. 이 문제는 굳이 주자의 어떠함과 비교하는 데서 그칠 필요없이 그 자체로 동아시아의 보편적인 논제로 전개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이 논의에서는 실현되지 않았던 경세적 기획의 진정성을 짚어볼 수 있는 최소한의 접근법으로 ‘주석자의 지향과 태도’를 중시하여 그 부분을 좀 더 치밀하게 검토했다. 서로 다른 문화적 환경과 학술사적 전통을 지니는 나라들이 하나의 보편적인 주제로 학술을 논하는 것은 분명 쉽지 않은 일이다. 하지만 하나의 경전을 주제로 서로 상이한 견해가 집결된 경학은 당대의 상호성을 이해하는 하나의 잣대가 될 수 있다. 특히 개인적인 도덕수양의 논제가 아니라 사회적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정전제의 논의와 그에 대한 비교는 단순히 경학 뿐만이 아니라 당대 동아시아를 이해하는데 널리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정전제는 조선학자들이 실현을 염두에 두고 깊은 학술적 노력와 고투를 거듭했기 때문에 그 의미가 남다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take a look at the specific aspects of the under the Mencius Studies of Joseon for the prospect of East Asia in the 17-18th century. Detailed relevant points of observation is the ‘Discussion of Jeongjoen-je (A land tax system advocated by Mencius)’ of Chapter 3 of 「Deungmoongongsang」 that established important point of political economic theory that Mencius asserted.
    The Jeongjoen-je discussed in more details for issues involving the land allocation sustained clear position that, ‘good politics starts from the correctly establishing the boundaries’. Because of this attribute, it had been steadily called upon by the conscious statemen who intended to structure the economic foundation required for building up the idealistic Confucian state and reviewed for its possibility of realization. Since it was a level to discuss the fundamental policies to rule a country, not an issue of developing individual ethics that this point may be critically utilized for checking on how his script reading would strive for the governing practice on this discussion point under the context of the phase of ruler, namely, the governing practice for a ruler. Under the point of Jeongjoen-je, those Confucian scholars of Joseon display a remarkable outcome in East Asia at the time in conjunction with seriousness of critical mind, refinement of discussion and governing policy. This issue may be developed as a general theme of East Asia without a need to stop in comparing with certain issue of Chu Shi.
    Under this discourse, it is considered to be the minimal approach method to take a look at the genuineness of the governing planning that has not realized the direction of the noting party and issue of attitude and this aspect has been reviewed far more refined ways. It is not easy to discuss the academics with a single general theme by the countries that have different cultural environment and academic tradition. However, the Chinese classics that integrate mutually different opinion on a theme of scripture could be one of the barometers to understand the reciprocity of the respective time. In particular, the discussion of the Jeongjoen-je that may bring out the social changes, not an issue of the discussion topic of individual ethical improvement and the comparison thereto would have the possibility to visually expand on understanding of East Asia at the time, not just a simply critical mind of Chinese classic.
    In particular, the discussion on the Jeongjoen-je has conspicuous implication with the standout struggle of Joseon scholars who completed with the profound academic endeavors with the respective concreteness in their min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