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의 소수민족 정책과 민족정체성 변화 : 투쟈(土家)족 사례를 중심으로 (Nationality Policy and Ethnic Identity Reconstruction in China : The Case of the Tujia)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14.06
34P 미리보기
중국의 소수민족 정책과 민족정체성 변화 : 투쟈(土家)족 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아세아연구 / 57권 / 2호 / 111 ~ 144페이지
    · 저자명 : 이병호

    초록

    이 글은 투쟈족 민족식별 및 민족회복 과정과 이에 따른 민족인구 변화 추이를 통시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중국 민족정책의 흐름과 중국식 다문화 만들기 과정의 특징에 대해 논의한다. 중남부 산간지역에 밀집해있는 투쟈족은 한족과 먀오족 사이에 낀 경계인으로서 한족 문화에 동화되면서 고유한 민족적 특징이 거의 사라진 집단이다. 이런 이유로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전에는 대부분 스스로 한족이라고 인식했으며, 1950년대 초에는 단일한 소수민족으로 승인받지 못한 채 먀오족으로 간주되거나 한족으로 분류되었다. 이에 투쟈인은 독립된 민족으로서의 지위를 얻기 위해 노력했고 1957년 독자적 소수민족의 지위를 공식적으로 얻는다. 그렇지만 문화대혁명 시기까지 전국 투쟈족 인구는 100만명 미만에 머물렀고 지역적으로도 호남성과 호북성 지역으로 제한되었다. 하지만 개혁개방 이후 정부가 추진한 민족신분 회복 및 개정에 따라 투쟈족 인구는 단기간에 급증하는데, 1982년 283만여명에서 불과 8년 뒤 1990년에는 572만여명으로 두 배 이상 늘어났다. 이런 비정상적 증가의 대부분은 기존에 한족으로 분류된 사람들이 투쟈족으로 민족신분을 바꾼 것에 기인하는데, 이는 정부의 소수민족 우대정책과도 긴밀한 관련이 있다. 더불어서 해당 지역정부 역시 민족사업 명목으로 상급기관들로부터 지급되는 각종 보조금과 혜택을 얻고자 의도적으로 관내 투쟈족 인구를 늘렸다. 따라서 개혁개방 이후 투쟈족 민족인구 변화추세와 자치지방 설치과정은 소수민족이란 신분이 개인과 지역관리들의 선호와 판단에 따라 선택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결국 지난 수십 년간 투쟈족 민족공동체가 복원되어온 과정은 중국에서 민족이 어떤 방식으로 새롭게 만들어지는지를 잘 드러내는 사례라고 하겠다. 중국적 상황에서 민족신분은 소수자 우대정책의 편익을 얻기 위한 도구이자 수단이며, 민족 사이의 경계는 고정불변한 것이 아닌 정국의 변화에 따라 수시로 바뀔 수 있는 성질을 가진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ethnic realignment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hrough policy changes in its nationality classification scheme. It focuses on the Tujia nationality, whose population is mostly concentrated in mid-south China. The Tujia, whose name literally means “indigenous”, has a hybrid identity as a result of the centuries of interaction with Han settlers and Miao peoples, despite preserving some of its own ethnic markers distinct from both groups. Such nebulous boundary conditions have raised the question of how to identify the Tujia. In comparison with the Miao, the Tujia people were so sinicized that they were not made a separate nationality in the first census of 1953. Even after their official recognition in 1957, the government still restricted the size of the Tujia population. The Tujia were restricted to Hunan and Hubei provinces and their population remained less than one million until 1978. Yet, the growth in size of the Tujia population since the late 1970s is remarkable. A comparison of the 1982 and 1990 censuses indicates that the number of people who identified as Tujia more than doubled from 2.83 million to 5.72 million. A large proportion of this increase was due to the ethnic reclassification scheme in which Han individuals, who had originally belonged to Tujia, could restore their status. The implementation of preferential policies has also affected this boundary-crossing. The nationality policy of the Central Government not just grants the benefits to minority citizens but also transfers fiscal subventions to local governments under ethnic regional autonomy. Such policies evidently provide the incentive for changing ethnic identification to non-Han. This is especially true for Tujia as its ambiguous identity leaves room for both individual agency and local government agency. Examination of the Tujia identity manipulation demonstrates the malleability of ethnic categories and suggests how local government officials in charge of inflating Tujia population carefully mediate between local interests and national polic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7 오전